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13 19:03:21
Name 핫자바
Link #1 https://www.voanews.com/east-asia-pacific/burmese-expert-china-helping-military-establish-cyber-firewall
Subject [정치] 미얀마 쿠데타는 중국의 중요한 승리가 될까요? (수정됨)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 중국산 인터넷 만리장성이 깔린다는 정보가 있나 봅니다.

미얀마 군부 선거 패배 > 쿠데타 > 인터넷 통신 차단 > 공항에서 화웨이 통신장비와 중국 IT 기술자들 포착
(중국식 인터넷 검열 강화 세팅...??)

이런식으로 미얀마 군부를 중국이 후원하게 되면
중국이 염원하던 인도양 진출에 성공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철도 + 군항을 얻으면 말라카해협을 우회할 수 있게 되고,
인도 동북지역을 압박할 수 있게 됩니다.
제 생각에는 중인간 재래식 전면전이 발발하면 중국이 인도 동북부 전부
(시킴, 메갈라야, 아삼, 아루나찰프라데시, 나갈랜드, 마니푸르, 미조람, 트리푸라)를 확보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중인전쟁때 이미 공격에 성공했기도 하고, 현재는 군사력 차이가 더 벌어진 것 같기도 합니다.

미얀마에서 디에고 가르시아까지 거리는 일본에서 진주만까지보다 2000km가량 가깝습니다.
중국은 인도양에서도 패권 경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미중간 그레이트 게임에서 중국이 먼저 선빵을 때리는 느낌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13 19:26
수정 아이콘
중국이 승리를 운운하려면 미얀마가 중국 함대의 미얀마 기항을 용인하는 수준까지 가야죠.

미얀마 군부가 (사실상 외세의 침입인) 그걸 용인하기도 쉽지 않거니와 군부가 용인하더라도 시민들이 가만있지도 않을 거예요.

미영을 비롯한 서구권 세계가 시민들을 지원하면서 내전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거고...
핫자바
21/02/13 19:2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중국 정부는 해당 사항을 추진할텐데 미얀마 군부가 어떻게 대응할지가 중요하겠지요.
+ 미얀마 시민사회의 역량 수준을 잘 모르겠네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을지...
서지훈'카리스
21/02/13 20:51
수정 아이콘
미얀마 군부가 집권인데 기정사실 일 거 같은데요
SkyClouD
21/02/13 19:45
수정 아이콘
중국 개입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면서 선을 넘으면 역으로 민주화 세력에게도 노골적인 지원이 들어갈겁니다.
트럼프와는 다르게 바이든은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죠. 파병을 제외하곤 뭐든 할걸요.
크레토스
21/02/13 19:46
수정 아이콘
권위주의 국가가 중국 감시,검열 기술 수입하는 거야 너무 흔해서.. 무려 36개국에나 수출했죠.
심지어 남중국해 갖고 티격태격 하는 베트남조차 중국에게 전수받았습니다.
핫자바
21/02/13 19:4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그래도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 전에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났다고 하니 어느정도 중국 후원을 받는 것 같기는 합니다.
아마 이권 제공을 약속했겠지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1/02/13 19:59
수정 아이콘
미얀마 군부가 중국 후원을 받는다는거야 40년 넘어가는거라 새로울건 없죠. 이권 제공 보다는 윗선 허락 (...)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핫자바
21/02/13 20:14
수정 아이콘
윗선 허락...
한국화약주식회사
21/02/13 19:50
수정 아이콘
인도가 만만해보이긴 하지만 중국이 점령을 쉽게 할만한 대상도 아닙니다. 중인전쟁은 거의 50년전 이야기고 그 뒤로 인도가 나사빠진 모양새처럼 보이긴 하지만 중국도 만만치않게 빠져있고...
아케이드
21/02/13 20:02
수정 아이콘
뭐 최소한 중국 경제권이 넓어지는 정도의 효과는 있겠죠
21/02/13 20:13
수정 아이콘
저는 중국이 좀더 바짝 엎드렸다가 일어났으면 상황이 더 좋았을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현재 기준으로는 중국의 앞날이 과연 밝은것 인가에 대하여 회의적입니다.

1. 가장 무서운 중진국의 함정을 넘지 못했다. (이제부터 해결해야죠)
2. 중국 또한 급속한 노령화를 견뎌야 된다.
3. 기존의 수출기반으로 성장하던 모델은 더 이상 중국이 지속하기 어려우며. 내수 베이스의 자급자족 경제 정상적인 전환은
하루이틀에 되는것이 아니다.
4. 사방이 적이다. (사면초가)
5. 대국은 기본적으로 소국과 달리 . 승리하면 패권을 전세계에 투사하는것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패권다툼에서 패할경우
그 후유증은 어디까지가 바닥인지 알 수 없다. (ex; 소련의 몰락)
핫자바
21/02/13 20:25
수정 아이콘
시진핑을 보면 빌헬름 2세가 오버랩됩니다.
블랙번 록
21/02/13 20:31
수정 아이콘
그럼 우리는 네덜란드이고 싶은 벨기에?
핫자바
21/02/13 20:55
수정 아이콘
으아아 그래도 이제 20세기 초 네덜란드급은 되지 않을까요?
(아 인도네시아가 없군요)
벨기에... 레오폴드가 없어서 무효입니다.
하심군
21/02/13 20:14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미얀마에 미국이 개입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게 중국의 계산일겁니다. 일단 말은 거창하게 해놨는데 그렇다고 미얀마에 항공모함을 보내는 건 오버액션이고 경제력을 이용한 압박은 더이상 80년대가 아니라 통하지가 않죠. 아이러니 하게도 트럼프가 UN을 박살내놔서 UN을 통한 압박도 쉽지는 않을거고....바이든이 망가진 국제협력을 얼마나 빠르게 복구하느냐가 이 사태의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그건 그렇고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미얀마에 넣어놓은게 많아놔서 미얀마의 한국의 자산을 보호하는 게 일단 한국으로선 제1임무겠네요.
핫자바
21/02/13 20:27
수정 아이콘
미얀마 군부에 한국 자본도 자금을 꽤 넣은거 같기는 합니다.
계층방정
21/02/13 21:20
수정 아이콘
로힝야족 문제 때문에 아웅산수치도 중국 쪽에 기울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중국측에선 미얀마 대빵이 누구건간에 자기 영향권 아래에 넣을 수 있다는 얘기 아닐까요?
21/02/13 21:25
수정 아이콘
인도는 핵보유국이라 영토 침략은 어렵죠
아리쑤리랑
21/02/13 22:56
수정 아이콘
오히려 원래 잘 통제되고 있던 미얀마란 벌집을 들쑤셔놓아서 미얀마 국민들의 반중감정이 사상 최대치로 증폭되는데 이러면 단기는 몰라도 장기는 실입니다
핫자바
21/02/13 23:59
수정 아이콘
그럴수도 있겠네요...
오리와닭
21/02/14 01:08
수정 아이콘
미얀마 군부가 생각외로 중국에 친화적인것 같지는 않습니다.
작년에 무려 인도에서 잠수함을 받아냈거든요.
그리고 몇주전 인도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지원받는 등
가운데서 알맹이만 쏙쏙 빼먹는 실력이있는것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804 [정치] 통일교 입장: “소수의 잘못 갖고 특정종교 전체 매도 안 돼” [20] 기찻길5666 25/08/19 5666 0
104803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7] 공기청정기3296 25/08/19 3296 0
104802 [일반] 널리 알려졌거나 매력적으로 표현되었다면 때는 이미 늦은 것 [2] 번개맞은씨앗4376 25/08/19 4376 2
104801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윤정권 원전 계약이 논란이네요 [54] 이게대체8538 25/08/19 8538 0
104800 [일반] 집에서 진행한 방탈출 놀이 - 육아만렙을 꿈꾸며 [17] 오타니3858 25/08/19 3858 20
104799 [일반] 약사들은 '우려' 소비자들은 '만족'... '창고형 약국' 구석구석 살펴보니 [64] 페이커757203 25/08/19 7203 0
104798 [정치] 현재 국민의힘은 한국판 국민전선, AFD로 전락했습니다 [92] 베라히11035 25/08/19 11035 0
104797 [일반] 교토, 여름이었다 [44] 及時雨5692 25/08/19 5692 8
104795 [정치] [단독] 검찰, 건진법사 ‘관봉권’ 추적 단서 전부 유실…감찰도 안 해 [188] Crochen13172 25/08/18 13172 0
104794 [일반] PGR21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친일 의견에 대해서.. [125] 헤일로10965 25/08/18 10965 9
104792 [정치] 원전 관련 윤정부 큰 문제가 터졌네요 [219] 청운지몽19817 25/08/18 19817 0
104791 [일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27] 번개맞은씨앗6428 25/08/18 6428 1
104790 [정치] 양궁 국가대표 장채환, SNS에 '대선 조작' 극우 성향 게시물 [153] 유머11472 25/08/18 11472 0
104788 [정치] 이재명 51.1%, 민주당 39.9%…사면 여파로 내려간 與 지지율 [185] 윤석열12638 25/08/18 12638 0
104787 [정치] 윤미향 판결문, 저도 다시 봤습니다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에 대한 반박) [367] Quantumwk21121 25/08/18 21121 0
104786 [일반] 요즘 젊은애들은 일본을 어떻게 생각할까? [126] 럭키비키잖앙11882 25/08/17 11882 3
104785 [일반] 이스라엘, ‘가자 주민 이주’ 5개국과 논의… ‘인종청소’ 현실화하나 [43] 베라히7923 25/08/17 7923 5
104784 [일반] <스탑 메이킹 센스> - 기묘한 폭발력과 에너지. [2] aDayInTheLife3936 25/08/17 3936 1
104783 [정치]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 [198] 사부작17360 25/08/17 17360 0
104782 [정치] VIP와 조국은 은연 중에 긴장관계죠. [91] petrus9141 25/08/17 9141 0
104781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4] 일신2446 25/08/17 2446 5
104780 [정치] 건강한 공론장과 개인들의 역할 [33] 딕시5674 25/08/17 5674 0
104779 [정치] 서부지법 폭동 징역 4년 [52] 조랑말8164 25/08/17 81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