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28 23:22:33
Name 텅트
File #1 astra.png (67.0 KB), Download : 51
Link #1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20)32661-1/fulltext
Subject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고령자 대상 효과에 얽힌 논란 정리


고령자 상대로 백신 효과가 8%밖에 되지 않는다는 보도가 나왔다가

그게 전체 참가자 중 8%를 오해했다는 반론이 나왔다가 왔다갔다했는데

정리가 되는 모양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65세 이상 고령자들 대상으로

[실험군 341명 중 1명 감염, 대조군 319명 중 1명 감염]으로

point estimate을 하면 효과 8%가 맞긴 한데 신뢰구간이 워낙 넓어서 아무런 의미 없는 결과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이 워낙 코로나 대처를 엉망으로 하다 보니 대조군 감염자 수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서

생각보다 백신 검증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 반면

독일은 상대적으로 대처를 잘했고 고령자들은 특히 고위험군인만큼 더욱 주의를 하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네요.

참고로 18-64세는 실험군 5,466명 중 29명 감염, 대조군 5,510명 중 100명 감염으로 71% 효과 (95% 신뢰구간은 56~81%)를 보입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이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특별히 아스트로제네카 백신이 고령자 대상으로 효과가 적을 거라고 생각할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애초에 백신으로부터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이 고령자임을 고려했을 때

실험 설계 단계에서 고령자들을 더 많이 대상으로 하지 않았는가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기 힘들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마추어샌님
21/01/28 23:26
수정 아이콘
자료 감사합니다!!
이런 일이었군요.
OvertheTop
21/01/28 23:29
수정 아이콘
화이자나 모더나가 고령자에게 효과가 있으니 아스트라제네카도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라...

전 전제가 틀렸다고 봅니다. 모른다가 정답이겠지요.
21/01/28 23:37
수정 아이콘
일단 고령자 대상으로 백신을 통한 항체 형성은 확인이 되었습니다.
항체 형성은 고령자나 일반 어른이나 똑같이 일어났는데
고령자들만 유난히 백신이 효과가 없기 위한 설득력 있는 기작 없이
그냥 '증거가 없으니 모른다'는 회의론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라고 봅니다.
OvertheTop
21/01/29 07: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문장에 대한 의견입니다. 화이자가 효과 있으니 아스트라도 효과 있다 이런 전제가 틀렸다고 생각한단 말입니다.
DownTeamisDown
21/01/29 00:26
수정 아이콘
항체가 문제가 아니라 실제 효과가 있는지는 맞은 모수 그리고 생각보다 낮은 확산율 때문에 신뢰하기 힘들다는거겠죠.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기위해서는 위약군 대비해서 얼만큼 코로나-19에 확진되었나로 파악하는데 위약이어도 여러가지 이유로 확진되는 사람이 적다면 실험의 유효성에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건 한국에서 코로나-19 3상 임상실험을 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몇명을 맞춰야 유의미한 차이가 날지 생각해보면 말이죠
안정성에 대한 실험이야 가능하지만 효능에대해서는 불가능입니다.)
그래서 다른 독일에서의 실험으로는 알 수 없다입니다.
양쪽 모두 한명이 걸린거다 보니 말이죠.
OvertheTop
21/01/29 07:21
수정 아이콘
윗 답변으로 갈음할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386 [일반] 유럽과 미국의 양아치짓에 된서리 맞은 일본 백신 공급 [72] 나주꿀15507 21/02/11 15507 2
90380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에 대한 알려진 근거와 접종 허가에 대한 의견 [37] 여왕의심복12134 21/02/11 12134 36
90372 [일반] 일본, 주사기 잘못 사서…백신 1천200만명 분 버릴판 [98] 어강됴리16375 21/02/10 16375 3
90339 [일반] 코로나 백신 업데이트와 해외 유입차단의 중요성 [83] 여왕의심복14074 21/02/08 14074 54
90316 [일반] [코로나] 2월 6일 코로나-19 관련 뉴스 모음 [15] 메타졸8920 21/02/06 8920 0
90251 [일반] 모더나 백신 접종 짧은 후기 [31] 쭈니14587 21/01/31 14587 19
90249 [일반] 2021년 1월 IMF GDP 최신 보고서. [31] 아리쑤리랑12332 21/01/31 12332 16
90240 [일반] 노바백스, 얀센 백신 결과 업데이트 및 남아공 발견 변이 관련 전망 [17] 여왕의심복11631 21/01/30 11631 47
90221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고령자 대상 효과에 얽힌 논란 정리 [6] 텅트7078 21/01/28 7078 4
90207 [일반]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 발표, 코로나19 의료진부터 내달 첫 백신 접종 [68] Davi4ever10639 21/01/28 10639 7
90130 [일반] 파나소닉, 휴대용 냉동보관용기 개발 [19] 서린언니9257 21/01/23 9257 0
90055 [일반] 백신 맞아야하는데 머리로는 알겠는데 [29] Python10967 21/01/17 10967 1
90051 [일반] 백신 접종의 윤리적 딜레마? - 노르웨이 요양병원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사망 논란 [41] 여왕의심복15452 21/01/17 15452 57
90004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현실적 우려- 발암성 관련 [58] 사딸라12783 21/01/13 12783 4
89944 [정치] 한 국회의원의 백신 인식에 대한 실망 [88] 여왕의심복16396 21/01/09 16396 0
89920 [일반] (코로나) 캐나다 백신 이야기 [31] 엔지니어9327 21/01/08 9327 4
89891 [일반] 화이자 백신 1회 접종 후 알러지 반응에 대한 정보 [54] 여왕의심복15610 21/01/07 15610 50
89886 [일반] [경제] 이전 글에 대한 리뷰와 코스피 3000 초읽기 [33] 김유라10600 21/01/06 10600 22
89878 [일반] 해외 백신 관련 기사들 모음 [56] 자두삶아11045 21/01/06 11045 4
89873 [일반] 미군에게 코로나 백신 접종은 의무사항일까요? [70] 초갼10289 21/01/06 10289 20
89771 [일반] 우리나라 백신 접종 전략 수립: 영국의 1회 접종 전략 검토 [78] 여왕의심복14560 21/01/01 14560 71
89753 [정치] 모더나와의 계약이 완료되었다고 합니다. +내용 추가. [369] 22648 20/12/31 22648 0
89745 [정치] 코로나 백신이 나오면 바로 접종 하실건가요? [127] 맥스훼인12283 20/12/31 122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