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09 18:10:54
Name 及時雨
File #1 IMG_20210109_174913_061.jpg (345.3 KB), Download : 97
File #2 IMG_20210109_174913_062.jpg (84.3 KB), Download : 21
Link #1
Subject [일반] 한강이 꽁꽁




오늘 산책하다보니 한강이 얼어붙어있더라고요.
완전 꽝꽝 언 건 아니라지만, 그 넓은 강이 멈춰선 걸 보니 새삼 한파의 무서움을 느낍니다.
추운 가운데서도 신기함이 앞서 강변을 쏘다니며 얼어붙은 강 사진을 찍어봤어요.
예쁘긴 예쁜데 밖에 오래 있자니 추워서 집 돌아오느라 혼났네요.

예전에는 강 전체가 완전히 얼어서 위에서 썰매도 타고 강을 건너가기도 했다던데, 지금보다 훨씬 더 추웠던건가 싶어지기도 하고...
요 며칠새 정말 한파가 무섭게 들이닥치고 있는데, 주말에는 다들 이불 속에 들어가 따뜻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다음 주에는 출근길 퇴근길이 조금 더 따뜻한 한 주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성수
21/01/09 18:14
수정 아이콘
뛰어서 건너가고 싶게 사진을 잘 찍으셨네요. 잘 봤습니다~
자작나무
21/01/09 18:24
수정 아이콘
몇 분전에 안전안내문자가 왔습니다.

[강추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외출을 자제하시고 부모님께 안부전화를 합시다. 수도관 보온조치, 온열기 화재사고 예방 등에도 주의바랍니다.]

pgr 여러분들도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부모님께 안부전화도 하시구요. 코로나를 비롯해서 다들 힘든 시간이네요.
21/01/09 18:25
수정 아이콘
등평도수만 익혔어도..
타카이
21/01/09 18:40
수정 아이콘
유게에도 있지만 세탁기 돌리다 얼거나
동파사고 엄청난 요즘입니다
유의하세요
플라톤
21/01/09 18:57
수정 아이콘
옛날에는 꽁꽁 얼면 걸어서 건너기도 했다는데 얼마나 추웠던 건지 크크
醉翁之意不在酒
21/01/09 18:59
수정 아이콘
업무상 필요해서 일본 도쿄의 근 30년간 기온변화를 조사해본적이 있는데 평균 겨울온도가 한 5도 높아진거 같더군요.
서울이라고 다를거 없겠죠.
DownTeamisDown
21/01/09 19:21
수정 아이콘
언제가 옛날인지 모르겠지만 80년대에 한강 수중보 하기 전이라면 지금보다 수심이 얕아서 더 잘얼긴 했을겁니다.
지금은 수심이 깊어서 잘 안얼죠
MicroStation
21/01/09 20:00
수정 아이콘
썰매타고 놀던 시절이 있었다면 연식 인증하는 거겠죠? 크크
manymaster
21/01/09 18:58
수정 아이콘
요즘 목욕탕 방문 손님 대부분이 수도관 얼어서 집에서 물을 못 쓰는 손님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마리아 호아키나
21/01/09 19:01
수정 아이콘
오늘 한강나가서 사진 찍고 싶었는데 추워서 다시 이불속으로..
이렇게 대리만족 하네요. 감사합니다.
판을흔들어라
21/01/09 19:06
수정 아이콘
집근처 한강을 봐도 살얼음 느낌나더라구요
여우별
21/01/09 19:07
수정 아이콘
우왕
덕분에 한강 언 것도 다 보구 헿
노을이 감싼 하늘과 언 강의 조화가 아름답네요
CapitalismHO
21/01/09 20:00
수정 아이콘
17년? 18년? 그쯤 겨울이 엄청 추워서 한강이 전부 언적이 있지 않았었나요. 크크
서린언니
21/01/09 20:30
수정 아이콘
1월에 2-3일 빼고 전부 영하라서 한강이 꽁꽁 언 적이 있죠 몇년이더라
레드드레곤~
21/01/09 20:40
수정 아이콘
어제 저녁뉴스에 보니간 한강 얼면 쇄빙선이 돌아다니면서 깬다고 하더군요
얼핏 들어서 잘 기억은 안나는데 수상택시나 뭐 이런것들이 돌아다니는데 방해된다고 하는거 같더라구요
동년배
21/01/09 20:48
수정 아이콘
예전 한강은 우리나라 하천이 다 그렇지만 겨울이면 바지 걷고 건넌다고 할 정도로 하상계수 차이가 컸는데 지금은 김포 신곡에 수중보가 있어서 거대한 호수가 되어서 쉽게 얼지 않죠.
고분자
21/01/09 23:00
수정 아이콘
한파... 춥긴 한데 새벽마다 오토바이 굉음이 안들려서 좋아요. 연관성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대문과드래곤
21/01/10 11:50
수정 아이콘
눈이 와서 출근 안하는 사람도 많고 사고나는 사람도 많고 그렇죠.
공항아저씨
21/01/10 00:31
수정 아이콘
사진 되게 예쁘네요. 밤중에 눈호강하고 갑니다.
츠라빈스카야
21/01/11 12:22
수정 아이콘
옛날엔 한강이 지금처럼 큰 강이 아니었죠....지금은 수중보 때문에 거의 반쯤은 호수에 가까운 상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21 [일반] 추억돋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00년전의 전세계 시가총액 탑텐 기업들 [16] 이게무슨소리5404 25/10/16 5404 2
105220 [일반] 마누라 교체에 2조? 대법, 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파기환송 [94] atlas7899 25/10/16 7899 0
105219 [정치] 조국 비대위원장이 서울시장을 염두에 둔 정치적 액션을 보이고 있네요. [98] petrus6737 25/10/16 6737 0
105218 [정치] 한국 미국 관세협상 [75] 만우10532 25/10/16 10532 0
105217 [정치] '이재명 사건' 3월 28일부터 봤다던 대법원…공식문건엔 4월 22일 [245] 베라히15005 25/10/15 15005 0
105216 [정치] 이재명 선거법 대법원 파기환송심 위법? [21] 삭제됨4802 25/10/15 4802 0
105215 [정치] 보유세 인상에 반대하는 이유 [135] 유동닉으로7465 25/10/15 7465 0
105214 [정치] 미국주식, 금, 그리고 대치은마 아파트 [79] 사업드래군9312 25/10/15 9312 0
105213 [일반] 금 1돈 85만원까지 올라 [53] 손금불산입8131 25/10/15 8131 0
105212 [일반] 우리는 어째서 인문학 '따위를' 공부해야만 하는가 [57] 솔로몬의악몽5704 25/10/15 5704 40
105211 [정치] 범여, 3+3+3년 전세 개갱신 ‘임대차법’ 발의…시장선 "나라 말아 먹을 법" [264] petrus11971 25/10/15 11971 0
105210 [정치] 5선 이상민 의원, 별세 [32] 빼사스9849 25/10/15 9849 0
105209 [정치] 임대주택 이야기. 36m^2, 44m^2 [23] nearby4016 25/10/15 4016 0
105207 [정치] 수도권 15억 넘는 집, 이제 주담대 4억 이상 안 나온다 [10·15 부동산대책] [507] 윤석열15160 25/10/15 15160 0
105206 [정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관련 뉴스들 [96] 전기쥐8366 25/10/15 8366 0
105205 [정치] (아이디어) 주택연금을 받으면 종부세를 깍아주자 [18] VictoryFood4094 25/10/15 4094 0
105204 [정치] 왜 민주당이 집권하면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할까? [345] Hydra이야기17882 25/10/14 17882 0
105203 [일반] 스파르타 전사의 삶을 알아보자 [24] 식별7672 25/10/14 7672 16
105202 [일반] ??? : 전원 구조 준비 완료되었습니다 [62] 라주미안10222 25/10/14 10222 0
105201 [정치] [단독] 서울 전역+분당·과천, 부동산 규제지역 유력(오늘 중앙일보 1면) [355] petrus16628 25/10/14 16628 0
105200 [일반] 영포티론에 대하여 – 40대 남성은 20대 여성을 욕망해도 되는가 [138] 솔로몬의악몽11230 25/10/14 11230 12
105199 [일반] 댄스 필름 촬영을 이어오면서의 소회. [19] 메존일각4660 25/10/14 4660 26
105198 [정치] 12월 3일 계엄의 밤, 국무회의실 CCTV 대공개 [194] 빼사스12253 25/10/13 122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