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08 16:07:50
Name 숨결
Subject [일반] 당신의 식당은 안녕하십니까
제 가족 중 2분이 공동으로 식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분이 식당 운영하는 걸 보면서, 코로나가 없더라도 자영업이라는게 참 어렵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파악한 대략적인 경영구조는 이렇습니다. 우선 다른 사람은 쓰지 않습니다. 동네 장사이기 때문에 임대료가 높지 않은 만큼, 판매단가도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잘되면 월 매출 1500만원, 잘 안되면 월매출 1000만원 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 중 임대료, 재료비, 공과금, 세금 제외하면 잘 되는 달에는 두 분이 각각 인건비로 400만원 정도를 챙길 수 있고, 잘 안되는 달에는 200만원 정도를 챙길 수 있습니다. 작지 않은 돈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두 분 모두 하루종일 고생하는거 생각하면 높은 소득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개업 후 7년 정도 지났습니다. 초기에는 적자가 날만큼 어려웠지만, 지금은 동네 단골도 많이 생기고, 제가 먹어도 상당히 맛있는 편이어서 지속가능성은 높은 편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포장은 하지만 배달서비스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9년 중순쯤 옆 가게 사장님들이 대부분 배달의 민족 등 배달 서비스에 가입해서 음식을 팔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두 분 역시 고민을 했습니다. 그런데 두 분 모두 나이가 많은 편이어서 변화에 적응하기 어렵고, 배달주문과 홀주문이 꼬이면 오히려 식당운영이 더 힘들것 같으며, 마케팅비용도 추가로 든다고 해서 고민끝에 배달서비스는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하셨죠.

그리고 문제의 코로나가 터졌습니다. 동네장사라서 손님이 갑자기 줄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조금 감소하기는 했지만 현상유지할 정도는 되는 것 같더군요. 하지만 2020년 11월 코로나가 대규모로 확산되면서 그야말로 손님이 확 줄었습니다. 반면, 건물주는 임대료를 단 한푼도 안깎아 주더군요. 뭐 강제할 수는 없지만, 좀 야속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어쨌거나 근본적인 문제는 손님이 확 줄었다는 것이고, 결국 가게는 열어두지만 적자가 지속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나마 다른 가족들은 월급쟁이어서, 힘들 때 조금씩 보태자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언제까지 이런 어려움이 지속될지 모른다는 점에서 참 고통스러운 나날들입니다.

PGR에도 가족이 자영업을 하거나, 본인이 자영업을 직접 운영하시는 분들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들 정말 어려운 시기를 보낼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허망한 이야기이지만 힘내자는 말로 서로 응원하고 위로하는 수 밖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1/08 16:19
수정 아이콘
어머니가 식당을 운영하십니다. 애초에 아버지 요양비와 본인 인건비 정도만 나오시면 만족하시면서 운영하고 계시는데 코로나로 인해 상황이 심각해지셨습니다. 처음엔 직원수를 줄이셨습니다. 지금 최소 인원 어머님 포함 세분만 일하시고 직원들 휴일엔 거의 어머님 혼자 일하십니다. 매출은 반토막났는데 일은 더 힘들어지셨답니다.
1.5->2->2.5 단계가 갈때마다 생각보다 큰폭으로 줄어들었습니다만 가장 결정적인건 5인이상 집합금지가 컸다고 합니다. (사실 그래서 5인이상 모임금지가 효과가 있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적자만 안나면 다행인거고 대출과 제가 좀 보태드리고 해서 버티고 있습니다. 제가 가게를 처분하더라도 코로나 끝날때 까지만 버티자고 말씀드렸습니다. 그전에는 사실 처분도 불가능하고요. 권리금은 그렇다 쳐도 새로 인수할 사람이 없으면 보증금도 못찾게 생겼으니까요...
여러므로 자영업자에겐 가혹한 겨울입니다...
21/01/08 16:25
수정 아이콘
5인이상 집합금지가 진짜 치명타이긴 했어요. 제 가족분의 가장 큰 고민은 5~6명의 손님이 와서 두 테이블로 따로 앉을테니 그냥 받아주면 안되냐고 했을때입니다. 거절하고 있긴한데, 시간이 지나고 적자가 쌓이면서 먀냥 거절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가 아닌가 생각하고 계시더군요.
21/01/08 17:56
수정 아이콘
회사 근처에 식당이 몇 있습니다. 구내 식당에서 많이들 먹지만 근처 식당으로도 꽤 다닙니다. 그런데, 식당에 가 보면
절반 이상이 같은 회사 동료들입니다. 어차피 다 아는 사람들인데, 이거를 같이 동시에 5인 이상 오면 막고 따로 문열고 들어오면
안막는게 맞는건지 의문이네요. 식당은 70 ~ 80% 들어차 있고요...
차라리 업종 상관없이 공간 대비 동시 수용 인원을 제한하는게 더 나아보입니다.
metaljet
21/01/08 16:28
수정 아이콘
사업이 망하는 것은요 월급쟁이 실직과는 비교도 안되는 큰 재난이죠... 아래 제빵사들보다 더 열악한 상황에서 낭떠러지에 서있는 자영업자가 수십만인데 빨리 이 겨울이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힘내세요
21/01/08 16:32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재난이네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자들 희생으로 코로나 막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그래도 언젠가 끝나겠죠.
21/01/08 16: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 힘들겠습니다.
21/01/08 16:57
수정 아이콘
다 힘들다는 말로 퉁치기에는 너무 상황들이 다 다르죠. 그냥 못모이고 마스크 쓰는게 답답하다까지 힘들다는 범주로 넣는게 아니라면요.
실제로 표를 내진 않지만 코로나로 이득본 사람들, 직군들도 많죠. 그에 비해 자영업자 특히 헬스장 같은 2.5단계에서 영업금지까지 당한 업장은 그냥 다 힘들다라는 말도 곱게 들리지 않을 겁니다. 그러기엔 너무 죽을 만큼 힘들고 나는 힘든데 여기저기서 주식올랐다 집값이 두배가 됐다 코인이 얼마다 하니 진짜 혼자서 지옥에 떨어진 기분이 든다고 하더라고요.
내맘대로만듦
21/01/08 1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게요 쓸데없는 금지법만들지 말고 기만질금지법 만들어서 "이 글에는 자본수익변동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됩니다"라고 앞에 대놓고 표시하게 했으면

저 아는분은 평소에 주식하시다가 자영업 버티느라 다 팔았는데 주식할때 다니던 커뮤니티나 알던 친구들 주식 소식 들을때마다 자살하고싶다고 하시더라고요
21/01/08 16:44
수정 아이콘
저희집도 시골에서 세손가락 안에드는 큰 식당인데. 이번달 매출보니 작년대비 6분의1 수준밖에 안되더라구요.. 시골이라 배달로 바꿀수도없고.. 관광객 위주로 받았고 단체로 오는 손님들이 쏠쏠했는데 타격이 심각합니다...
pc방 점장
21/01/08 16:46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들 쓰러지기전에 호흡기 붙여줘야 하는데 답답해요
Cafe_Seokguram
21/01/08 16:59
수정 아이콘
대충...임대료멈춤법인가...하는 법안 같은게...통과되어서...자영업자, 건물주,그리고 그 건물주에 대출해준 은행까지...관련있는 3자가 다 고통분담했으면 합니다...

월세나, 인건비 등의 고정비용이...재난지원금 같은 걸로 버텨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닌거 같아요...
21/01/08 17:16
수정 아이콘
항상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1월에 장모님 가게 폐업했는데 다시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기억들로 가득하네요. 쓰고 싶은 말이 많지만 의미없을테고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경험안해보면 모르죠. 진짜. 저도 글로만 알았으니까요.
Janzisuka
21/01/08 17:22
수정 아이콘
참 어려워요 ㅠㅠ
금지업종은 제한업종 부러워하고 제한업종안에서도 카페하는 저같은 사람은 주변 식당 보면서 부럽네요
우린 거리두고 마스크도 쓰는데 저긴 그냥 다 앉아서 술마시고 노는구나....이게 몬가 싶고 전체적으로 매출등은 배달이 아니라면 다 줄었을거에요 참 어렵죠
21/01/08 17:48
수정 아이콘
기존 자영업하다가 배달업이라도 뛰어들어야지 싶어서 배달전문점 하나 차려서 오픈하려고 하는 중인데...
워낙 배달업종으로 몰리니 시작이 엄청 지연되네요
거기에 기존 하던 일은 코로나 시작되면서 매출이 3분의1 아니 4분의 1토막난 상태인데 어떻게든 버티곤 있습니다.
그런데 주변에 좀 크게 장사하시는 지인들은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더라고요 애초에 금액이 다르다보니...
속삭비
21/01/08 17:52
수정 아이콘
2018년에 자영업시작했는데 2019년 대비 2020은 매출이 그냥 1/3 으로 주저앉아버렸습니다. 거래처중에도 폐업한곳이 많은데 혼자서 하는 거라 그냥 저냥 버티고 있는데
이게 2019년 소득 기준으로 소득이 잡히다 보니 의료보험이나 국민연금으 오히려 더 올라버렸네요 ㅠㅠ
그래도 가정이 있으니 어쩌겠어요. 죽어라 버텨야지요.
다들 힘내십시다.
21/01/08 18:00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정부는 의료보험이나 연금, 세금이나 좀 줄여주면 좋겠습니다.
21/01/09 00:11
수정 아이콘
사실 5인이상 집합금지가 일반 음식점에게

9시이후 운영금지가 주류파는 음식점에게 큰 영항을 준건 사실이죠.

빨리 끝나야할텐데요
세인트루이스
21/01/09 05:15
수정 아이콘
코로나가 어떻게 극복이 되어도 제2의, 제3의 코로나급 전염병이 올 수 있기에, 온다면 자영업자들이 너무 취약하기에, 향후 산업구도/직업선택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 같습니다... 1년이나 지속될줄 몰랐고, 여름만 해도 한국은 이제 해방된줄 알았는데.. 힘내세요
군림천하
21/01/09 08:46
수정 아이콘
저도 식당하지만 이젠 홀 크게 해서 사람 많이 쓰는 식당은 끝입니다.혼자서 배달대행 쓰면서 배달위주로 장사해야 됩니다.
세상이 바뀌었습니다.혼자서 할수 있도록 메뉴구성 및 간소화해서 찍어내는 식으로 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890 [일반] 상가 투자는 신중하게 해야 되는 이유 [96] Leeka9998 24/02/13 9998 4
100618 [일반] 뉴욕타임스 12.17. 일자 기사 번역(중국 조폭의 인신매매, 사기) [2] 오후2시6585 24/01/02 6585 4
100389 [일반] 서면 NC백화점 내년 5월까지 영업하고 폐점 [30] 알칸타라14159 23/12/03 14159 1
99943 [일반] The Marshall Project 8.31. 일자 번역 (사형수의 인간성 회복) [7] 오후2시7657 23/10/02 7657 7
98332 [일반] 예쁜 직원(알바)와 매출 상승의 상관관계(?) [46] Croove18483 23/04/01 18483 14
98284 [일반] 아들의 부상과 치료 방랑기, 그리고 느낌 [36] 답이머얌10934 23/03/27 10934 17
97461 [일반] 12월 FOMC 요약: 파월의 자신감에 확신과 혼란이 가득했던 연설 [25] 김유라13566 22/12/18 13566 29
96987 [일반] 학생 절도를 어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97] 한사영우17344 22/10/28 17344 20
96882 [일반]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빌런 올림픽 2부 [26] Croove11959 22/10/16 11959 20
96759 [일반] [경제이야기] 혼세마왕이 강림한 미국의 주택시장, 분노한 제레미 시걸 [58] 김유라18883 22/10/01 18883 20
96365 [일반] 방콕에서 자고 먹고 [43] chilling11017 22/08/16 11017 26
96347 [일반] [판타지] 행복한 대한민국 [51] Amiel11378 22/08/15 11378 3
96311 [일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는 러시아 [205] 어강됴리24220 22/08/11 24220 18
95958 [일반] (스포) 단 1화 만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빠진 이유 [80] 마스터충달12988 22/07/06 12988 18
95623 [일반] 채굴판의 모순과 증강현실 게임으로서의 코인판 [26] 쥬라기재림교12637 22/05/15 12637 23
92867 [일반] (미국주식) 거 비관론자들 얘기나 한 번 들어봅시다(난이도 초급수준으로) [31] 기다리다18531 21/08/08 18531 14
92777 [일반] 불안, 알랭드보통(2004) 중에 (고용) toheaven10944 21/08/02 10944 3
92011 [일반] 조심스럽게 제 가정사를 꺼내려고 합니다. [84] 가슴아픈사연14577 21/06/08 14577 3
90881 [일반] [번역] 미얀마의 노동자들은 군사쿠데타에 저항하기 위해 총파업에 나섰다. [29] 위대함과 환상사이10048 21/03/14 10048 8
90107 [일반] '이제 다 와간다.' - 3차 유행 후 올해 상반기 전망 [80] 여왕의심복16578 21/01/21 16578 195
89923 [일반] 당신의 식당은 안녕하십니까 [19] 숨결7717 21/01/08 7717 11
89825 [일반] 넋두리(집합금지 자영업자) [74] 신촌로빈훗13089 21/01/04 13089 85
89431 [일반] LH 공실임대 주택 14,229가구. 전세형 임대로 공급 & SH 공실 임대 5,556가구 조건 상향 [26] Leeka11339 20/12/21 11339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