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8 04:30:07
Name 라쇼
Subject [일반] 90년대 애니메이션 한국판, 일본판 주제가 모음 (수정됨)
저번 글에 8,90년대 추억의 애니 한국 주제가를 올렸었는데 노래를 듣다보니 원곡을 못들어본게 많더라고요. 그래서 비슷한 노래와 주제를 반복하는 걸 무릅쓰고 90년대 애니메이션 한국판과 일본판 노래들을 같이 올려봅니다. 한국판 노래들은 번안곡도 있고 오리지널 곡들도 있는데 일본판 노래와 비교해서 들으니 한 번에 두가지 맛을 느끼는 쏠쏠한 재미가 있네요. 그럼 한국, 일본 버전 노래를 둘 다 올리느라 분량이 좀 많지만 9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주제가들을 들어봅시다.





드래곤볼 한국어판


드래곤볼 일본어판


드래곤볼 Z 한국어판


드래곤볼 Z 일본어판

지금까지 애니 노래 글을 올리면서 드래곤볼 노래는 처음 올리는 것 같네요. 드래곤볼Z 주제가인 CHA-LA HEAD-CHA-LA는 참 명곡입니다. 번안곡인 한국어판 주제가도 오역은 좀 있지만 상당히 잘 불렀네요.







쾌걸 근육맨 2세 한국어판


쾌걸 근육맨 2세 일본어판

질풍가도가 워낙 원곡 초월로 잘뽑혀서 그렇지 일본판 주제가인 Hustle Muscle도 열혈 넘치는 명곡이죠. 질풍가도만 들어보신 분들께 Hustle Muscle도 한 번 들어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슬램덩크 한국어판


슬램덩크 일본어판

슬램덩크 팬덤에선 일본판 주제가를 더 높게 평가하시는데 저는 sbs에서 방영해줬던 슬램덩크를 먼저 접해서 그런가 박상민이 부른 너에게 가는 길이 더 좋더라고요.







요리왕 비룡 한국어판


요리왕 비룡 일본어판

일본어판 주제가도 좋은 노래이지만 한국어판보다 약간 심심한 느낌을 감출 수가 없네요. 자드가 부른 엔딩곡까지 포함하면 일본어판 노래가 더 좋긴한데 요리왕 비룡 엔딩은 자드 노래 글 쓸때 올려야겠군요.







슬레이어즈 TRY  한국어판


슬레이어즈 TRY 일본어판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한국어판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일본어판


원곡을 부른 가수들이 하야시바라 메구미에 사카모토 마아야라서 아무래도 가수가 아닌 최덕희 성우가 부른 한국어판 노래들이 못부른 감은 있죠. 그래도 전문분야가 아닌데 연습해서 열창하신 최덕희 성우가 대단합니다.







마법기사 레이어스 한국어판


마법기사 레이어스 일본어판


한국어판도 나쁘진 않은데 아무래도 타무라 나오미의 고유한 음색을 따라가기엔 무리겠죠. 마법기사 레이어스 주제가는 타무라 나오미만을 위한 전용 노래 같은 느낌입니다. 원곡의 고음을 넘나드는 허스키 보이스 너무 좋아요.






피구왕 통키 한국판


피구왕 통키 일본어판

노래 찾으면서 피구왕통키 주제가가 번안곡이었다는 걸 처음 알게 됐네요. 원곡은 동요처럼 소녀가 부르는 느낌이군요. 피구왕 통키 한국판 주제가는 음질 좋은게 없어서 서연이 부른 버전으로 대신 올립니다.






쾌걸 조로 한국어판


쾌걸 조로 일본어판

쾌걸조로 일본판 주제가는 가오가이가 오프닝 용자왕 탄생! 의 엔도 마사아키가 불렀더라고요. 한국어판 주제가가 오리지널 곡임에도 좋은 노래이고 추억보정 때문에 상당히 좋아하는데 일본판 주제가도 거기에 못지 않은 명곡이군요.







내일의 죠 한국어판


내일의 죠 일본어판

이름도 묻지마라 고향도 묻지 마라~ 내일의 죠는 김종서가 부른 한국판 주제가가 더 듣기 좋은데 일본어판도 죠의 인생여정을 담은 깊이가 느껴지는 노래로군요.






빼가수스 환타지


페가서스 판타지

세인트 세이야 주제가는 원곡인 페가서스 판타지가 훨씬 잘불렀는데 왕룡 감독이 부른 한국판도 촌스럽지만 뭔가 사나이의 미학이 느껴져서 좋더라고요.






란마 1/2 한국어판


란파 1/2 일본어판

저번 글엔 제목을 착각했었는데 1기 오프닝이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였더군요. 소녀감성 풍으로 부른 원곡이 제목에 더 어울리긴 하네요.






천공전기 슈라토 한국어판


천공전기 슈라토 일본어판

수라왕 슈라트는 원곡이나 티비에서 방영해준 한국어판이나 꽤 듣기 좋은 노래인데 비디오판은 왜 그따구로 만들었는가 모르겠어요. 못불러도 너무 못불러서 슈라트 노래는 괴상한 노래였지라고 오래 기억에 남게 할 정도였으니까요. 여러분들의 소중한 고막을 보호하기 위해서 비디오판 노래는 올리지 않겠습니다.






NG기사 라무네&40 한국어판


NG기사 라무네&40 일본어판


라무네 노래는 후속작들이 더 좋은데 글 분량상 넘어가겠습니다. 다음에 다룰 기회가 있으면 좋겠네요. 한국어판 주제가의 샤우팅이 매우 비범하군요. 정의에 용사 라무우~~!







아벨탐험대 TV판 주제가


아벨탐험대 비디오판 주제가


드래곤퀘스트 용자 아벨의 전설 일본어판

일본어판 노래는 오프닝이 아니라 엔딩곡입니다. 한국 비디오판 주제가는 일본판의 오프닝과 엔딩곡을 짜집기해서 적당히 편곡한 노래죠. 두 노래다 잔잔하니 듣기 좋네요.






시간탐험대 한국어판


시간탐험대 일본어판


참 노래 글을 올리다보니 시간탐험대 원곡도 다 들어보게 되네요. 애니 노래 글을 올리다 보면 못 들어본 노래를 들어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빨간망토 차차 한국어판


빨간망토 차차 일본어판

빨간망토 차차 애니는 재밌게 봐서 좋아하지만 일본판 노래는 별로였단 기억이 남았었는데 다시 들어보니 생각보다 훨씬 좋네요. 왜 인상이 안좋게 남았는지 모르겠어요.







명탐정 코난 한국어판


명탐정 코난 일본어판

한국판 빛이 될거야도 좋지만 수수께끼가 너무 좋은 노래라서 개인적으론 일본판 주제가에 손을 들어주고 싶군요. 둘다 좋은 노래이긴 해요.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오프닝 한국어판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오프닝 일본어판


신비의 세계 한국어판 엘하자드 엔딩 한국어판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엔딩 일본어판

개인적으로 엘하자드 오프닝은 원곡이 낫고 엔딩은 한국어판이 훨씬 잘불렀다 싶더라고요. 한국판 엔딩곡이 음질 좋은게 정말 찾기 힘든데 저번 글 올릴때 발견해서 은근 기뻤죠.









포츈 퀘스트 L 한국어판


포츈 퀘스트 L 일본어판

포츈퀘스트 노래는 일본어판이 좀 별로라서 한국판이 더 좋았습니다. 가사가 조금 유치하고 오글거리는 감이 없진 않지만 초보 모험가들의 따뜻한 이야기를 담은 스토리를 감안하면 나름 잘 어울리더라고요.






기동전함 나데시코 한국어판


기동전함 나데시코 일본어판

가사 번안을 좀 더 잘했다면 한국판 주제가를 부른 가수의 가창력이 좋아서 더 훌륭한 노래가 나왔을텐데 아쉽네요. 원곡 가수인 마츠자와 유미는 더 노래를 많이 불러도 될법한 실력을 지녔는데 한곡갑인게 의아합니다.






대운동회 한국어판


대운동회 일본판

대운동회 노래를 듣다보니 리메이크될 신작 노래도 잘 나올지 기대가 되네요. 작화는 어째 구작보다 퇴보했던데 노래도 그럴지 살짝 걱정되는군요.






용자왕 가오가이가 한국어판


용자왕 가오가이가 일본어판

한국어판도 잘불렀지만 용자왕 탄생이 워낙 레전드인 명곡인지라 조금 빛이 바래는 느낌이 있네요. 여담으로 용자왕 탄생을 작곡한 타나카 코헤이가 부인으로부터 가가가만 계속 반복하는데 이딴 노래가 어떻게 히트하겠어하고 핀잔을 들었다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애니송 중 불후의 명곡이 되었다는게 재밌네요 크크크.




전설의 용자 다간 한국어판


전설의 용자 다간 일본어판


아, 다간 노래는 한국어판도 일본어판도 무지무지 좋습니다. 일본어판은 특히 셋-다간! 하고 힘주어 부를때 저도 모르게 주먹을 불끈 쥐게 되네요. 들어도 들어도 참 좋은 노래에요.





마동왕 그랑조트 한국어판


마동왕 그랑조트 일본어판


황금용자 골드란 한국어판


황금용자 골드란 일본어판


로봇수사대 케이캅스 한국어판


용자경찰 제이데커 일본어판

골드런 노래는 소찬휘의 가창력이 월등해서 한국판 주제가가 듣기 좋긴한데 가사가 조금 아쉽긴해요.

케이캅스 노래는 전주부분만 빼면 다른 노래네요. 일본판 주제가가 더 듣기 좋긴 한데 추억보정상 케이캅스하면 mbc 주제가가 제격이긴하네요 크크.







꼬마 마법사 레미 한국어판


꼬마 마법사 레미 일본어판

한국판 일본판 둘다 거의 다른점이 없이 비슷하게 불렀는데 한국판 주제가가 좀 더 듣기 좋더라고요.




괴도 세인트테일 한국어판


괴도 세인트테일 일본어판

천사소녀 네티 주제가는 번안곡이라고 하기엔 애매하고 좀 변주해서 불렀더군요. 일본판 주제가를 유튜브에서 정말 찾기 어려운데 한참 찾다가 평소에 구독해뒀던 채널에 고음질 주제가가 있었다는 걸 떠올렸지 뭔가요. 사람이 머리가 좋아야 몸이 덜 고생을 하나봐요...





마법의 천사 스위트민트 한국어판


마법의 천사 스위트민트 일본어판

뾰로롱 꼬마마녀 노래는 동요풍인 한국판 주제가도 나름 이미지에 어울려서 나쁘지 않지만 카사하라 히로코가 부른 원곡은 저의 최애 애니송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저 청아한 목소리를 듣다보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지더라고요.





애천사 전설 웨딩피치 한국어판


애천사 전설 웨딩피치 일본어판

노래 이미지는 일본판이 더 어울리긴 한데 한국어판의 락 스피릿 넘치는 창법 때문인지 이쪽이 더 듣기 좋더군요. 액션성이 강한 초대 프리큐어에 어울리는 노래 같아요 크크크.





슈가슈가룬 한국어판


슈가슈가룬 일본어판

슈가슈가룬 노래는 한국어판을 압도적으로 좋아합니다. 처음엔 번안곡이라 생각햇었는데 이게 왠걸 오리지널 곡인데 일본판 노래보다 훨씬 신나게 잘 불렀더군요. 가수 정보를 보니 김령희라는 분이 불렀다고 하는데 유튜브 영상에 다시 노래를 불러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정여진, 전영호 같은 분들이 유튜브에 근황을 알리는 겸 노래도 불러주고 하던데 슈가슈가룬 부른 가수는 어째 소식이 없더라고요.






카드캡터 사쿠라 한국어판


카드캡터 사쿠라 일본어판

일본판 캐치유캐치미도 좋은 노래임은 틀림없는데 정여진이 부른 한국판 주제가가 워낙 레전드인지라, 한국에선 플라티나보다 관심이 떨어지는 편이죠. 중간에 멜로디를 따온 부분이 보이긴 하는데 한국판 캐치유캐치미는 정말 잘만든 명곡입니다.






보노보노 한국판 엔딩








무책임함장 타일러 한국판


무책임함장 타일러 일본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멍멍이개
20/12/28 04:42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봤습니다. 보노보노가 혹시 있을까 했는데 없네요. 보노보노 엔딩곡은 정말 갓띵곡입니다 여러분
20/12/28 05:29
수정 아이콘
저번글과 똑같이 노래 올리긴 뭐해서 몇곡 추가했긴했는데, 한국 주제가와 일본 주제가를 비교해서 들어보자는 취지라 빠진 90년대 애니 노래가 많을거에요. 분량상 본문 로딩이 심해서 신청곡을 못올리는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jjohny=쿠마
20/12/28 08:36
수정 아이콘
캡틴 테일러 일어판/한국어판 넣어주세여 징징
https://youtu.be/f-mTnl3NmG4 (일어판)
https://youtu.be/FfYJqrW5pG0 (한국어-투니버스판)

훌륭한 원곡 - 탁월한 번안곡 조합에서 상위권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28 08:53
수정 아이콘
무책임함장 타일러 노래 정말 좋죠. sbs판 노래가 별로여서 안올렸었는데 투니버스판을 미처 생각못했네요. 올려드리자니 본문에 노래를 너무 우겨 넣어서 로딩이 ㅜㅜ 으.. 쿠마님 신청곡만 올리긴 그러니 윗분이 신청하신 보노보노 노래도 같이 올려야겠군요.
20/12/28 09:08
수정 아이콘
서.. 선가드가 없다니.. (...)
로봇물 번안곡중에서는 선가드도 참 좋았단 생각인데 말이죠.
다간은 kbs버전도 있었던걱 같은데 참 별로였던거같고 (....)
20/12/28 09:14
수정 아이콘
노래를 너무 많이 올려서 지금 올리기는 힘들고 다음에 용자물 시리즈로 모아서 올려보겠습니다 ㅜㅜ 다간 kbs 주제가는 좀 별로인데 sbs판 주제가가 너무 잘빠져서 더욱 비교가 되더라고요 크크.
덴드로븀
20/12/28 10:22
수정 아이콘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20/12/30 05:46
수정 아이콘
선생님께서도 항상 제글을 찾아주시니 감사함에 몸둘바를 모르겠네요.
20/12/28 11:32
수정 아이콘
이거 이런식으로 주제가 정해지면 한 100편정도 재밌게 볼 수 있을느낌이 막..
동굴곰
20/12/29 23:45
수정 아이콘
닥간~ 닥간~ 거리는 KBS판도 나쁘지 않았...
사실 고향집이 시골이라 유선 들어오기전에 SBS가 안나왔죠. 그래서 SBS에서 해준 애니 이야기하면 추억이 없네요.
체리만 친구집에서 봤습니다. 그리고 오덕의 길로...
20/12/30 05:48
수정 아이콘
앗 아아 sbs가 안나오는 그런 슬픈 사연이 ㅜㅜ 본의아니게 kbs판 다간 주제가를 폄하해서 동굴곰님의 추억을 방해했다면 미안합니다. 저도 다간은 kbs판으로 봤어요 크크크.
이런이런이런
20/12/30 04:08
수정 아이콘
전부 다 올리기엔 너무 많아서 안 하신 건지...아니면 취향이 아니셔서 안 하신 건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는 챔피언 오프닝하고 씽씽캅 오프닝이 없네요. 뭐 꼭 올리시라는 건 아니고 그냥 생각나서 댓글 적습니다.
20/12/30 05:51
수정 아이콘
노래가 30곡 넘어가면 로딩의 압박이 심해서요 ㅜㅜ 우리는 챔피언 노래 좋죠. 다음에 스포츠물 주제로 애니노래글 올릴때 포함시켜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489 [일반] 90년대 일본의 국민 여동생 히로스에 료코 [21] 라쇼17159 21/02/18 17159 2
90477 [정치] 한국산 특수주사기 미국 FDA 정식승인, 미국&일본에서 대량주문 [44] 아롱이다롱이13334 21/02/18 13334 0
90386 [일반] 유럽과 미국의 양아치짓에 된서리 맞은 일본 백신 공급 [72] 나주꿀15511 21/02/11 15511 2
90376 [일반] KBS 다큐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3국 고령화 쇼크에 무너지는가]를 보고 [42] 헤이즐넛커피13411 21/02/10 13411 2
90372 [일반] 일본, 주사기 잘못 사서…백신 1천200만명 분 버릴판 [98] 어강됴리16379 21/02/10 16379 3
90287 [일반] 기억에 남는 일본 실사영화 BEST 20선 [50] 삭제됨11009 21/02/03 11009 2
90265 [일반] 일본의 역사왜곡은 심각할까? [90] 헤일로16242 21/02/01 16242 14
90210 [일반] 기억에 남는 일본 애니메이션 오프닝/엔딩 테마곡 BEST 40입니다. [7] 삭제됨12651 21/01/28 12651 1
90185 [일반] [보건] EU, 일본 여행허용국가서 제외예정 [89] 어강됴리12105 21/01/27 12105 0
90137 [정치] 일본 아베총리는 정말 위안부 문제를 사죄한적이 없을까? [157] 삭제됨11623 21/01/23 11623 0
90114 [일반] 일본 동요대회 은상 노노카와 가수 태연과 이상한 사람들 [57] 판을흔들어라12723 21/01/21 12723 3
90096 [일반] 한국과 일본의 긍정적인 식습관과 건강 지표 [13] 데브레첸10132 21/01/20 10132 4
90077 [일반] 일본이 코로나 팬데믹 대처에 취약한 이유 [92] 흰둥15070 21/01/19 15070 2
89887 [일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일본 코로나 감염자 상황 [262] 아롱이다롱이22360 21/01/06 22360 0
89843 [일반] 일본정부, 9개월만에 다시 "긴급사태" 선언.. 도쿄등 수도권 대상 [187] 아롱이다롱이19724 21/01/05 19724 2
89795 [일반] 일본인 15만명이 뽑은 진심으로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 [49] 라쇼12899 21/01/03 12899 3
89695 [일반] [역사] 20세기 초 영국, 일본 그리고 미국의 패권경쟁 [4] aurelius8579 20/12/29 8579 22
89652 [일반] 90년대 애니메이션 한국판, 일본판 주제가 모음 [13] 라쇼10478 20/12/28 10478 2
89627 [일반]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1/4일부터 접종 시작, 일본 외국인 입국 금지 [46] Leeka11484 20/12/27 11484 2
89601 [일반] 일본에서 선정한 2020 한국의 10대뉴스 [27] 어강됴리11497 20/12/26 11497 5
89495 [일반] 일본은 언제부터, 얼마나 백신을 확보했나 [44] Dresden13386 20/12/23 13386 15
89487 [정치] 일본은 내년상반기에 1.2억명분, 한국은 천만명분도 언제 받을지 모르죠 [23] 싶어요싶어요9314 20/12/22 9314 0
89399 [일반] 닌자는 어떻게 일본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하편- [13] 라쇼10715 20/12/19 10715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