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7 09:45:53
Name 인민 프로듀서
Subject [일반] 브릿팝 4천왕 (+@) (수정됨)
바다건너 미국의 대안이 그런지였다면, 본토 섬나라에서는 브릿팝.
시끄럽고 난폭한(?) 그런지였다면, 브릿팝은 달콤하고 부드러운 기타팝.


1. Blur

브릿팝 남북전쟁의 한 축. 브릿팝에 사형선고를 내린(?) 장본인.


2. Oasis

브릿팝을 넘어선, 영국 록큰롤의 적자 바통을 확실하게 넘겨받은 오아시스.


3. Suede

90년대의 데이빗 보위, 브렛 앤더슨. Beautiful Ones도 좋지만, 아아 버나드 버틀러....


4. Pulp

계급사회 영국의 단면을 이렇게 달콤하고 부드럽게. 자비스 코커는 천재야.


+@. Manic Street Preaches

90년대 브릿팝 흐름에서 반 발자국 떨어져있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0/12/27 09: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Suede는 약간 다른 계열의 느낌이 있지만, 흐흐

Oasis는 애매하고 (좋긴 한데 취향은 아니랄까)
나머지 세 밴드는 참 좋아했네요.
인민 프로듀서
20/12/27 09:56
수정 아이콘
사실 아래 그런지도 그렇고 브릿팝도 그렇고, 음악 스타일은 참 많이 다르죠.
K-뭐뭐처럼 그냥 네이밍을 갖다 붙인거죠 하하하.
야크모
20/12/27 10:18
수정 아이콘
suede ㅠㅠ
버나드 버틀러가 빠진 후 3집부터는 사실 다른 밴드죠.
너무 아쉬운 그룹입니다.
인민 프로듀서
20/12/27 17:15
수정 아이콘
그쵸, 다른 밴드죠. 제일 알려진게 3집이긴 하지만.
버나드 버틀러 시절의 기억을 공유하시는 분이 계시다니 반갑네요 ^^
20/12/27 10:18
수정 아이콘
라디오헤드 트레비스도 넣어주세욘...
우주전쟁
20/12/27 10:33
수정 아이콘
스웨이드의 Everythign will flow...약 안 빨아도 듣고 있으면 약 빤 것 같은 몽환적인 노래...그립읍니다...ㅜㅜ
20/12/27 10:43
수정 아이콘
매닉스를 넣어주다니...굿
재활용
20/12/27 11:17
수정 아이콘
오우 아래글 포함 플러스 알파 한 밴드들 다 최애인데 크크 everything must go 10주년 앨범에서 데모트랙에 빌리 코건이 안녕? 나 빌리 코건이야 하고 갑툭튀하던데 아는 사이인가 보더군요
20/12/27 12:11
수정 아이콘
저 이 사실을 방금 알았네요...
스마스마
20/12/27 12:08
수정 아이콘
스웨이드 최고.
1~2집은 진정 명반이구 심지어 싱글 B사이드만 모아 발표한 더블앨범도 엄청 훌륭했습니다.
야크모
20/12/27 14:12
수정 아이콘
suede 1집도 정말 좋지만 2집은 영국 100대 명반에 넣어줄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인민 프로듀서
20/12/27 17:12
수정 아이콘
버나드 버틀러 시절이 정말 좋았죠....
세인트루이스
20/12/27 13:45
수정 아이콘
덕분에 오랜만에 beautiful ones 듣고 갑니다.
20/12/27 15:03
수정 아이콘
스웨이드, 펄프는 흐름이고 매닉스는 아닐 이유가 있나요? 오히려 사운드는 다른 펄프, 매닉스가 비슷한 점이 나머지 밴드보다 더 많을지도
20/12/27 16:17
수정 아이콘
매닉스를 좋아하는데... 위의 네 밴드 음악을 거의 듣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매닉스의 음악과 나머지 밴드들의 음악이 느낌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음알못이라 사운드의 유사성 같은 것은 모르겠지만...)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Britpop )를 대충 읽어봤는데 위의 네 밴드가 big four라고 평가받는 것 같네요.
그리고 네 밴드는 England(London, Manchester, Sheffield) 출신이고, 매닉스는 Wales (blackwood) 출신이네요.
매닉스 위키피디아 내용 중에 장르에 Britpop이 없네요.
같이 묶이지 않는게 이상하진 않은 것 같고, 넓게봐서 같이 묶여도 될 것 같고...
인민 프로듀서
20/12/27 17:11
수정 아이콘
보통 위의 4밴드를 묶어서 브릿팝 big4로 보고, 여기에 매닉스는 임의로 넣어봤습니다 하하하
사운드는 사실 네밴드가 전부 다 다르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984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가문의 영광 [39] 성상우10002 21/01/12 10002 8
89964 [일반] 흑인역사문화박물관 in Washington, DC [8] Ms.Hudson7887 21/01/11 7887 12
89953 [일반] 초강대국, 패권등 국제정치 개념 정리. [43] 아리쑤리랑15977 21/01/10 15977 41
89902 [일반] 무엇이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가? [39] 아리쑤리랑19788 21/01/07 19788 61
89705 [일반] 삼국지 판에서 까이지만 학계에선 주목받는 인물 [5] 현아추9178 20/12/30 9178 3
89663 [일반] [도서] 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흥망사: 1902-1972 [2] aurelius7359 20/12/28 7359 10
89626 [일반] 브릿팝 4천왕 (+@) [16] 인민 프로듀서6831 20/12/27 6831 1
89601 [일반] 일본에서 선정한 2020 한국의 10대뉴스 [27] 어강됴리11500 20/12/26 11500 5
89405 [일반] [중국사] 마지막이 좋지 않았던 네 명의 장군들 이야기. [9] 성아연8228 20/12/19 8228 10
89326 [일반] [인물]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누구인가? [18] aurelius9656 20/12/16 9656 18
89197 [일반] 생존을 위한 패션, 군복 [18] 트린8811 20/12/11 8811 13
88674 [일반] [미국] 미국은 과연 대선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을까? [46] aurelius12777 20/11/06 12777 10
88497 [일반] 오늘 결혼합니다 [124] 신류진12513 20/10/24 12513 97
87858 [일반] 현대세계를 관통하는 2가지 : 세계체제 그리고 초양극화 [55] 아리쑤리랑58827 20/08/29 58827 72
87440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 식민 지배 [17] aurelius10468 20/07/30 10468 6
87293 [일반] 족보(?)가 없는 한국어 [71] 우주전쟁16553 20/07/19 16553 17
87118 [일반] 당나라에서 배향했던 역대 중국의 명장 75인. [55] Love&Hate15715 20/07/07 15715 6
87111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15 [3] PKKA6606 20/07/07 6606 12
87078 [일반] 후경의난 완결. [8] Love&Hate12653 20/07/05 12653 24
87071 [일반] 대만은 민족주의를 탈피한 아시아 민주주의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를 것인가? [31] metaljet10566 20/07/05 10566 6
87054 [일반] 을지문덕이 선비족일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하게 만든 부족 울지부. [7] Love&Hate13284 20/07/03 13284 24
86990 [일반] 후경, 마침내 남조를 무너뜨리다. [6] Love&Hate13238 20/06/30 13238 21
86970 [일반] 남북조시대는 어떻게 종결이 되었나. 후경의난. [17] Love&Hate13195 20/06/28 13195 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