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5 11:37:09
Name Leeka
Subject [정치] 올해 아파트 증여수, 압도적인 차이로 역대 1위 기록 (수정됨)
* 증여수 기간의 경우 1월~11월까지의 증여 기준입니다. (12월이 안끝나서)


2015년 - 30,349건
2016년 - 35,310건
2017년 - 42,209건
2018년 - 59,962건
2019년 - 58,117건

으로

정권이 바귄 이후 6만건 근처로 높은 증여율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만

2020년 - 81,968건

으로..  '기존하고는 차원이 다른, 33% 이상의 상승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 -.- 를 올해 기록했습니다.


다주택자 양도세, 보유세를 강화하면 매물이 나올거라고 생각했던거 같습니다만

현실에선 전문가들이 경고한대로.. '그 양도세 내고 파느니, 그냥 증여세 내고 증여한다' 가 되버리면서.
시장에 팔지 않고 전부 증여로 털어버리는 결과가 나왔고.
증여로 다주택까지 회피하면서 보유세도 감면.

또한 '미리 증여하면 집값이 오르는걸 고려했을때. 실질적으론 더 이득'이 되어버렸습니다.
(10억일때 증여했는데, 3년 지나도 10억이면.  미리 증여한게 손해지만
10억일때 증여했는데, 3년이 지나니 20억이면.  미리 증여한게 개이득이고. 그걸 현실에서 달성하고 있다보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각여삼추
20/12/25 11:38
수정 아이콘
이제 증여취득세도 12%로 올려놨죠? 내년 내후년 불지옥 예상합니다. 세금 뜯기는 만큼 또 어디선가 가져와야 균형이 맞지 않겠습니까.
거짓말쟁이
20/12/25 11:41
수정 아이콘
세금 많이 내는 나라가 물가도 높듯이 당연한 수순인데 정부는 이걸...
강희최고
20/12/25 11:39
수정 아이콘
밑에 글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이질감이 느껴지는군요. 크크
파이어군
20/12/25 11:49
수정 아이콘
그 글은 논리가 없는걸 넘어서서 좀 무서운 수준이라서...

솔직히 삼권분립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으며 뉴노말이 어쩌고 얘기 꺼낼때 머리가 진짜 띵하더군여
강희최고
20/12/25 11:52
수정 아이콘
답정너일테니까요. 크크 답 정해놓고 논리를 만들면 뭐 이것저것 뭐 있어보이는거 다 끌고와야지 설득력 있어 보이지 않겠습니까 크크
왜날뷁
20/12/25 12:14
수정 아이콘
근거가 객관적인 지표에서 나오는게 아니고 머릿속에서 생각하는 대로 나오니까요...
20/12/25 11:40
수정 아이콘
증여하고 증여세는 그대로 세입자한테 전가되겠죠.
20/12/25 11:47
수정 아이콘
경제학원론과 싸우는 정부네요.
다크폰로니에
20/12/25 11:57
수정 아이콘
심하게 동감합니다.
L'OCCITANE
20/12/25 11:56
수정 아이콘
내년-내후년은 올해와는 차원이 다른 불지옥일텐데 그때까지도 민주당식 부동산정책 지지하는 사람 있나 지켜보렵니다
안필드원정출산
20/12/25 12:22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지지했으면 그때가서 달라질리 없겠죠.
L'OCCITANE
20/12/25 13:34
수정 아이콘
다들 먹고살 만한가 보네요.
20/12/25 14:32
수정 아이콘
괜히 대깨가 아니죠.
수미산
20/12/25 1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있는 집이 대대로 물려줘서 결국 더 이득이 되겠네요. 올초가 증여하기 참 좋은 시절이었는데 말이죠
다크폰로니에
20/12/25 11:59
수정 아이콘
시장은 개나 줘버려라.
국민은 서민들만 국민이고 , 먹고 살만한 놈은 모두 적폐이다.
지금 정부의 생각은 이거 아닌가요?

아니 집을 가지고 싶다는 꿈꾸는 서민들에게 평생 임대아파트에서 사세요~
이게 대안인가요? 그냥 평생 가난하게 사셨으면 좋겠어요 란 뜻이지.
20/12/25 12:15
수정 아이콘
반대로 보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 정부의 정책은 철저히 50대를 중심으로 한 고소득 고자산 고학력 대도시거주 중산층 이상 계층의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맞춰져 있습니다.
그게 퍼센테이지로는 한 10%쯤 될까요.

10%만 국민이고 나머지 90%는 어떻게 되든 신경을 안쓰는거죠.
아니, 신경을 안쓰는거면 차라리 다행인데, 현실에서는 90%를 쥐어짜낸 고혈을 10%에게 몰아주고 있는 형국입니다.
엔터력
20/12/25 12:05
수정 아이콘
40%분들 집은 있으신지?
20/12/25 12:58
수정 아이콘
그럼 60%는 집도 주식도 없는 사람일까요.
여수낮바다
20/12/25 13:09
수정 아이콘
kien님은 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만족스런 결과가 있으신지요?
20/12/25 13:14
수정 아이콘
주식은 좀 만족스럽군요.
여수낮바다
20/12/25 13:31
수정 아이콘
본문도 부동산 이야기고 저도 부동산으로 여쭈었는데 답도 부동산으로 주시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정책, 만족스러우십니까?
20/12/25 13:35
수정 아이콘
저는 별로 신경 안 쓰는데요. 주가에 문재인 책임있는 정도로 문재인 책임이 있다고 보는 정도입니다. 그리고 부동산 정책에 만족을 못 해도 다른데 만족하면 지지할 수도 있다는 거죠.
Grateful Days~
20/12/25 12:06
수정 아이콘
법을 도깨비방망이처럼 뚝딱거려서 만든 결과물이죠.. 현재 부동산 사태의 원흉이기도하고..
왜날뷁
20/12/25 12:08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에 무지한 자들이 지지자들이 그렇게 싫어하는 부의 대물림 제대로 해줬네요.
그럼에도 무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인 건지...
끄엑꾸엑
20/12/25 12:11
수정 아이콘
아 님들 개천에 꽃도 달아주고 수초도 심어준대자나여!
Grateful Days~
20/12/25 12:16
수정 아이콘
인조 꽃과 수초일겁니다..
해질녁주세요
20/12/25 12:37
수정 아이콘
부동산 실거래가 보다가 뜬금없이 낮게 거래된 매물보고 처음엔 시세를 모르고 사기당해서 팔았다고 생각했었네요.
알고보니 그런 매물은 증여거래로 보는게 맞다고 하네요.
수원역롯데몰
20/12/25 12:38
수정 아이콘
지금이라도 정책실패 인정하고 시장주의로 노선을 전환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대로라면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시장이 망가질것 같아요..
담원20롤드컵우승
20/12/25 12:40
수정 아이콘
그럴생각이 1mg도 없어보이시는분이 새로 오시던데요..
수원역롯데몰
20/12/25 12:43
수정 아이콘
ㅜㅜ
트라팔가 로우
20/12/25 12:40
수정 아이콘
비겁한 투기꾼놈들 증여를 하다니...
여수낮바다
20/12/25 13:11
수정 아이콘
누구나 자기 자신의 이득을 극대화하는게 너무 당연합니다
그러니 김조원씨도 민정수석을 날리고 차라리 갤팰을 지켰죠
정부 정책을 강제로 강요한다 해서 거기에 다 따르지 않습니다
괴물군
20/12/25 13:18
수정 아이콘
이러는데 제도적으로 하강할 준비가 되었다는 글 보고 근거통계로 갱신율 가져오는거 보고 머리가 아픕니다.

정책실패를 인정하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야 할거 같은데... 그럴리는 절대 없을꺼라 스스로 답이 나온다는게 무섭습니다.
일각여삼추
20/12/25 13:20
수정 아이콘
대통령이 사과라도 하란 말이야 외치는 참모들인데 정책실패 인정 가능할까요? 북한만큼 어려워 보입니다.
괴물군
20/12/25 13:2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리 생각합니다. 그래서 답답하구요 쇼통조차도 안하는 대통령 같아서요
맥스훼인
20/12/25 13:56
수정 아이콘
수령 무오류론 모르시나요 크크크
괴물군
20/12/25 16:03
수정 아이콘
처음 들어보는 단어지만 한방에 이해가 간다는게 크크
맥스훼인
20/12/25 16:22
수정 아이콘
https://news.joins.com/article/23881503

제가 만든것 같지만 놀랍게도 국정원도 인정하는 이론이죠 크크
안필드원정출산
20/12/25 13:29
수정 아이콘
?? : 미성년자 증여금지법 발의, 불로소득의 세습 막아야...
20/12/25 13:30
수정 아이콘
세금을 쌔게 하면 저 빚쟁이들이 집을 던지겠지?
라는 단순논리로 정책을 지지하는거겠죠.

현실은 다주택자들 대다수가 계산기 돌리는데에는 이골이 난 사람들이고, 지금 당장 증여해줄 대상이 없어도 버티고 가는게 당연한거죠. 왜 투자하고 자산불리고 합니까.

나, 나의 가족 그보다 더한건 '내 자식에게 물려준다'. 이게 인간의 기본 욕구이자 목표인데 그걸 인정조차안하려하니 바보같은 정책만 계속하는거죠.
20/12/25 13:32
수정 아이콘
19 -> 20 년 58,117에서 81,968 이면 41% 상승 아닌가요?
당근케익
20/12/25 13:39
수정 아이콘
지본주의를 역행하려니 이따위지
자연스러운
20/12/25 14:52
수정 아이콘
뭐 자연스러운 흐름 같은데요?? 시기가 좀 빨라진거지 다른게 있나요??
20/12/25 15:51
수정 아이콘
뭐든 급하면 체하는 법이긴 하죠..
서서히 오르면 부작용이 적었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643 [일반] 미국에서 집 사기 [101] 몽키.D.루피18441 21/03/02 18441 45
90634 [정치] 역대 최저 출산율 '충격'...대비 없으면 국가존립 흔들 [228] 박세웅23485 21/03/01 23485 0
90589 [정치] 출산율에 대한 문제원인도 해답도 이미 알고있습니다. [184] 챗셔아이20251 21/02/25 20251 0
90573 [일반] 집단우울증에 걸린 대한민국 아닐까요?? [132] 챗셔아이18986 21/02/24 18986 78
90542 [정치] 불안한 30대, 서울 아파트 '영끌 중' [149] Leeka16080 21/02/22 16080 0
90494 [일반] 인플레이션 시대 무주택자가 벼락거지되는 이유 [103] 브라이언12764 21/02/19 12764 6
90481 [정치] 실거래가 신고 시점을 등기 이후로 하는 법안 발의. [43] 맥스훼인9010 21/02/18 9010 0
90432 [정치] 민간택지 85~90% 분양가에 걸리지 않는 분상제 지역 정리 [9] Leeka8130 21/02/15 8130 0
90384 [일반] (첫글)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란 무엇인가? [67] 발이시려워9558 21/02/11 9558 4
90318 [정치] 변창흠 국토부장관은 대중교통 요금을 알고 있을까요? [194] Leeka15757 21/02/06 15757 0
90268 [정치] 2019년 12월 부동산 정책을 예견했던 블라인드 글과 잡담 [100] Leeka16868 21/02/01 16868 0
90196 [정치] 서울시의 층수 규제 완화 [15] LunaseA14012 21/01/27 14012 0
90115 [일반] 30대 후반...결혼을 앞둔 돈없는 남자의 이야기 [84] 좋구먼19171 21/01/22 19171 37
90105 [정치] 계속되는 4인가구 만점 통장 청약 실패. [95] Leeka13343 21/01/21 13343 0
90095 [정치] 2021년.. 법인 양도세 중과로 인한 물량의 효과는? [16] Leeka7645 21/01/20 7645 0
90006 [정치] '벼락거지' 탄생시켰다, 文정부가 확 벌려놓은 인생격차 [414] 미뉴잇26617 21/01/13 26617 0
89824 [정치] 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47] Leeka12030 21/01/04 12030 0
89724 [정치] 서울시 6억이하 아파트, 6개월 사이 30%가 사라졌다. [69] Leeka10144 20/12/30 10144 0
89713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16] Leeka7903 20/12/30 7903 1
89698 [정치] 문재인대통령 : 변창흠 비판받을만 해, 집값 안정시켜달라 [101] Leeka14103 20/12/29 14103 0
89644 [일반] 정부 통계 기준. 올해 집값이 가장 오른 지역들은? [36] Leeka9806 20/12/27 9806 2
89603 [일반] 내년부터 오르는 부동산 관련 세금/제한 조건 정리 [69] Leeka10465 20/12/26 10465 9
89575 [정치] 올해 아파트 증여수, 압도적인 차이로 역대 1위 기록 [44] Leeka9770 20/12/25 97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