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16 20:43:25
Name 덴드로븀
File #1 20201212_WOC057.png (81.3 KB), Download : 73
Link #1 https://news.nate.com/view/20201216n38296?mid=n0412
Subject [일반] 이코노미스트, "한국, 코로나19 장기 경제 손상에 가장 덜 취약해"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0/12/15/which-economies-are-most-vulnerable-to-covid-19s-long-term-effects
[Which economies are most vulnerable to covid-19’s long-term effects?] Dec 15th 2020

https://news.nate.com/view/20201216n38296?mid=n0412
["한국, 코로나19 장기 경제 손상에 가장 덜 취약해"]

구체적으로 에볼라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07∼2009 금융위기 등 과거의 경험을 통해 경제적 취약성을 평가하는 31개 기준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경제 구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소비자 신뢰 등이 모두 포함됐다.
코로나19 장기 취약성을 0에서 10까지 지수화한 결과 한국은 3점으로 평가대상 국가 중 가장 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경제 분석 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모델을 이용한 자체적인 조사로 위와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국민 + 의료진 + 정부(a.k.a. K-방역) 의 힘이라고 봐야겠죠?

과연 2021년의 대한민국은 저 표처럼 경제적 장기 취약성에 강한 모습을 보여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20/12/16 20:44
수정 아이콘
상대적으로 잘했죠.. 일단 3단계 짧게 거는게 더 멀리봤을때 맞을거같은데
라임오렌지나무
20/12/16 20:46
수정 아이콘
이제까지는 잘했는데 요즘 확진자 추이가 다시 기로에 섰죠.
공항아저씨
20/12/16 20:51
수정 아이콘
예상과 현실은 다를 수 있으니 긍정적으로 지켜보며 응원과 비판을 해야겠죠. 일단 평가 자체가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것 보다 훨씬 좋아서 다행이네요. 좋은 내용입니다
20/12/16 20:51
수정 아이콘
초중반에 정말 각자 다 잘 했는데 점점 상황이 악화되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칼라미티
20/12/16 20:52
수정 아이콘
내년이 문제죠. 백신은 늦는데 확진자는 늘어만 가고..
할매순대국
20/12/16 20:52
수정 아이콘
대만 통계만 따로 떼어지면 아마 대만이 1등 할 수도 있을거에요
아케이드
20/12/16 20:54
수정 아이콘
요즘은 이런 수치를 뽑아내기 위해서 3단계 격상 안하는게 아닌가하는 의심도 듭니다.
라디오스타
20/12/16 21:50
수정 아이콘
말도안되죠. 합리적 비판을합시다
아케이드
20/12/16 22:56
수정 아이콘
일일 1000명 일평균 800명이 넘는 상황에서도 3단계 격상 안하는 이유가 경제논리 말고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합리적인 고견을 들어보고 싶네요...
라디오스타
20/12/16 23:05
수정 아이콘
통계나 수치를 뽑아내기위해 고민하는 것과 국내 경제상황을 고려하는것과는 큰 차이가 있죠.
그리움 그 뒤
20/12/17 09:07
수정 아이콘
본인은 의심을 얘기하면서 상대에게는 합리적인 고견을 요구하는 건가요?
AaronJudge99
20/12/17 18:25
수정 아이콘
경제논리 맞죠
국내 경제상황 당연히 고려해야하는거 아닙니까?
그런거 고려하면서 대책 세우라고 정부가 있는거잖아요
그말싫
20/12/17 10:15
수정 아이콘
빨리 올렸으면 위기감 조성해서 국민을 컨트롤하려는 거 아닌가 의심하셨을 거잖아요
아케이드
20/12/17 10:41
수정 아이콘
전혀 아닌데요?
그말싫
20/12/17 10:44
수정 아이콘
이런 수치를 뽑아내기 위해서 3단계 격상 안하는 것도 전혀 아닐겁니다
무테안경
20/12/16 20:55
수정 아이콘
미국 영국이 코로나 종식 선언할때 우리는 허덕이면
코스피 1500 다시 보겠죠
이른취침
20/12/16 21:09
수정 아이콘
오히려 해외 여건 좋아져서 수출 호재라 더 오를 것 같은데요?
20/12/16 21:17
수정 아이콘
지금 코스피는...우리가 방역잘해서 오른 건 아니어서...
chilling
20/12/16 21:40
수정 아이콘
주가가 수많은 변수의 함수이긴 하나 방역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죠.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방역을 통해 조업 중단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그래서 수출기업들의 실적도 작년 대비 오히려 좋아진 곳이 상당수입니다. 다른 나라에서 돈을 풀어 소비 진작을 유도하더라도 우리가 방역을 못해 생산이 멈췄다면 팔고 싶어도 팔 재고가 부족하겠죠.

보통 돈 풀어서 오른 거 아니냐는 얘기를 많이 할텐데요. 틀린 말은 아니지만 반만 맞는 게, 우리보다 훨씬 더 많이 푼 유럽 주요 국가들의 시장 인덱스보면 처참합니다. 사실상 선진국이라고 부를 수 있는 국가 중에 유일하게 양적완화를 하지 않은 국가가 우리나라인데, 이 정도 수치는 방역을 빼놓고 설명하기 매우 어렵긴 합니다.
OvertheTop
20/12/16 22: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틀린말도 아니지요. 미국이 엄청난 받침대를 해주니... 미국은 방역을 못해도 무너지지 않는다는...
미국이 무너지지 않는다면 사실상 크게 무너질 일은 없지요. 거기다 중국까지 버티니 한국의 최대 고객 두곳이 버텨버리니 한국이 나쁠일이 없지요.
전 한국 방역이 무너졌더라도 코스피가 무너졌을까? 지금까지 못왔을까?에 왔을꺼라 답하고 싶네요.

우리보다 방역을 못했다는 일본 니케이도 5년내 사상 최고수치죠...
chilling
20/12/16 23:16
수정 아이콘
일본은 양적완화를 넘어 3월에 코로나 대책으로 BOJ의 주식 직접 매입 한도를 2배(...)나 늘린 나라입니다. 전세계에서 좋게 말하면 가장 적극적이고, 나쁘게 말하면 무리수를 가장 남발하는 나라라, 일본은 비교할 때 논외로 두는 게 더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OvertheTop
20/12/16 23: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브라질도 5년이내 최고치 근처... 인도도 사상 최고치... 걔들도 방역 잘해서 그런거겠지요?
chilling
20/12/17 00:11
수정 아이콘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수많은 변수의 함수죠. 당연히 EM 자금 유입 트렌드로 인해 득을 본 면도 없지 않습니다.

다만 코로나 대확산 이전 지수로 복귀하는 시기를 보면 우리나라는 대략 7월 말에서 8월 초로, 브라질이나 인도보다 훨씬 빠르게 회복했지요. 브라질이나 인도는 백신 각이 얼추 나오며 이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될 시기에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와 말씀하신 두 나라의 회복 시차는 방역에서 왔다고 해석해도 크게 이상하진 않을 겁니다.
덴드로븀
20/12/16 21:19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따지면 지금 상황에선 코스피는 오히려 3500 을 생각하는게 훨씬 자연스럽긴 합니다. 크크크

뭔개소린가 싶어도,
우리나라가 백신 못구하고 확진자/사망자 넘쳐나도 미국/유럽 수준으로 가기도 정말 힘들거니와,
그렇게 됐다치고 우리나라 내수가 폭망해도
이른취침님 말씀대로 미국/유럽이 백신덕분에 경제 정상화 속도가 올라가면 우리나라의 수출제품들 수요가 더 늘어나고
현재 코스피 시총상위권 회사들중 네이버/카카오 빼곤 다 수출기반 회사들이라 실적이 좋아질수밖에 없어지죠.
회사실적이 곧 주가는 아니지만 뭐 그렇다는겁니다.
아케이드
20/12/16 22:59
수정 아이콘
미국 유럽이 회복해도 우리나라 회사들이 코로나로 조업을 못하면 수출을 못합니다... 상식적으로...
20/12/16 2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반말 사용은 제재 대상입니다(벌점 4점)
한국안망했으면
20/12/17 02:36
수정 아이콘
리얼 크크
저도 우리나라 큰일난건 아는데 코스피 1500은 무슨..
코스피 1500이절대안온다는 말은 아니고 누구나 예상할수있는 악재로 1500에대해 확신을 가지시는게 참..
Dr.박부장
20/12/16 21:06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는 관리가 잘 되어 총 확진자 수가 90번째라 경제 여파가 크지 않게 나타난 거 같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자영업 하시는 분들 많이 힘드실텐데 해외에서는 어떻게 버티는지.
많은 검사수와 추적시스템으로 2020년은 잘 버티었는데 천명대 확진자가 계속되면 추적이 점점 불가능해져서 유럽처럼 되지는 않을까 걱정입니다. 정책도 잘 세워야 하겠으나 만남과 접촉을 줄이는 노력이 더욱 절실한 것 같네요.
암스테르담
20/12/16 21:12
수정 아이콘
코로나의 끝은 전쟁일 거 같아서 두렵네요. 국지전이나 분쟁이 커지지 않을까요?
일단 수치가 안 좋은 나라는 죄다 정권 바뀌고 군부가 다시 등장할 나라도 있어보입니다.
20/12/16 21:13
수정 아이콘
배달문화가 잘돼서 그런 거 같아요
유료도로당
20/12/16 21:20
수정 아이콘
뭐... 우리가 지금 천명 넘었다고 호들갑이지만 서구 주요 국가에 비하면 사실 어처구니없이 적은것이니까요.
이정도면 별거 아니라거나, 우리가 지금 잘하고있다고 칭찬하고 자만하는 꼴이 될까봐 하기 힘든 얘기긴 하지만. 최근에 어디 기사에서 독일을 배워야 한다 이런 얘기도 나온 모양인데 그래프를 같은 스케일로 그리면
https://twitter.com/TAEDONGGANGBEER/status/1338783634329722887/photo/1
https://pbs.twimg.com/media/EpRQnq6UwAAGrJw?format=jpg&name=900x900
이런 꼴이 나오죠. 물론 우리도 겨울이 오고 추위가 오니 점점 더 상황이 안 좋아지는것 같아서 걱정스럽습니다만.
다크서클팬더
20/12/16 21:28
수정 아이콘
bbc보니까 독일은 1월 첫주까지 셧다운 수준으로 강화했더군요. 크리스마스 가족모임도 완화해서 1가구 4인 제한...
이른취침
20/12/16 22:03
수정 아이콘
만점에서 1등급 컷으로 떨어진 애한테 3등급에서 2등급으로 오른 학생 본 받으란 소리랑 비슷하죠.
20/12/16 21: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한국 같이 인구밀도 높은 나라에서 이정도로 방역 성공하고 있는게 신기한거긴 하죠.
방역당국의 유능함 + 의료진의 노고 + 국민들의 협조 + 사실상 섬나라라 어느정도 외부 통제가 되는점 등의 4박자가 잘 맞아 떨어진거라고 봅니다.
코로나와의 전쟁도 이제 후반이니 후반전 잘 마무리 해야죠.
20/12/16 21:30
수정 아이콘
'한국 경제'와 '내수 경기'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 후자가 폭망이라도 전자는 멀쩡할 수 있습니다. 내수비중이 워낙 작아서..
게다가 해외여행으로 빠져나가는 돈도 엄청 많은데 지금은 안나가고 있는지라 그 점도 꽤 크죠.
김홍기
20/12/16 21:34
수정 아이콘
수출이 코로나 직전만큼 올라왔던데.. 그래서 코스피가 올라가나? 흐
20/12/16 21: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수출이 오르고 내리는건 제품의 양과 가격의 변동에 달린거고, 그게 위쪽으로 변동한다는건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오르는 것과 같은 의미이므로 주가는 그에 선행 혹은 동행/후행해서 움직입니다.
물론 주가가 그 전에 이미 수년 이상 단위의 장기적으로 너무나도 많이 올랐다면 판매하는 제품의 양이나 가격이 오른다고해도 주가는 오히려 하락할수도 있지만, 최근 수개월 전 및 현재 시점의 코스피는 지나치게 낮은 수준에서 적당히 낮은 수준 가량에서 움직이고 있었던 중이라 그에 해당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BOHEMcigarNO.1
20/12/16 21:32
수정 아이콘
확진자추이 최신 자료를 못받았나 했더니 과거 경험까지 고려가 되었네요. 원인은 모르겠지만 한국이 이상하게도 남들이 휘청거리고 고꾸라질때 버텨서 지나고나면 위로 올라가있죠. 97도 그랬고 2008도 그랬고..
이른취침
20/12/16 21: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97은 지나고 보니 근본적 위기였다기보단 정책실패에 가까워서 그랬고
2008은 중국의 엄청난 성장세에 우리가 제일 꿀 잘 빨았고
이번엔 메르스의 경험과 의료를 포함한 기초 제조산업 기반이 튼튼했던 게 주효했죠.
과대해석 같기는 한데 작년에 아베짱이 예방주사 쎄게 잘 놔줬던 것도 이제와서 보면 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네요.
Air Jordan1
20/12/16 21:33
수정 아이콘
고생하시는 의료진분들, 자발적이고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잘 협조하고 있는 국민
그리고 정부가 어느정도 방역은 잘 해주고 있으니 다행입니다 그나마

하루빨리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서 고생하시는 자영업자분들도 미소짓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아우구스투스
20/12/16 22:48
수정 아이콘
제발 그랬으면 합니다.
20/12/16 21:37
수정 아이콘
한국과 경제 규모가 비슷한 캐나다가 현재 확진자 순위 27위입니다.

"그" 미국 위에 있는 것 치고는 굉장히 선방하고 있고, 북미 + 유럽쪽 국가들 중에서는 독일 다음으로 잘하고 있다고 평가할만한 국가입니다.
트럼프가 그 난리를 치는 와중에도 100만명당 확진자 수는 미국의 25%, 100만명당 사망자는 40%선이니까요.
캐나다가 이렇게 관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물론 초기에 미국과의 육상 경계를 봉쇄한 것이 가장 크고 (아직도 안열었습니다), 두번째로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경기 부양책을 썼다는 겁니다.

그 결과 캐나다는 8개월간 "매일" 하루 평균 $952m 달러, 한화로 약 8천억이 넘는 돈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토털로 합산하면 약 $240B, 2400억 달러로 한국돈으로는 200조가 넘네요. 현재 한국의 국가채무의 약 반의 반쯤, 국가예산의 40%쯤 되는 돈을 8개월만에 썼습니다.

이 돈들은 반은 개인에게, 반은 기업으로 갔고 대부분 실직자나 소상공인들에게 갔습니다. 예를 들면 CERB(Canada Emergency Response Benefit)이라고 실직자들은 월 2000불을 쭉 받아왔고 여기에 나간돈만 81B.. 810억 달러네요.

저도 학생이라 대학생에게 나오는 월 1250불씩 달달하게 챙겼지만, 전 국민이 백신 5회분 맞을 분량 샀다는 뉴스 보고 어처구니가 없다못해 좀 무섭습니다. 포스트 코비드가 오면 이 부채는 결국 누군가는 갚아야 할텐데 말이죠.

여기도 1월초까지 모든 모임 금지령 나왔는데도 확진자는 매일 700명씩 나옵니다. 캐나다 전체가 아니라 500만이 듬성듬성 사는 BC주에서요.
코비드가 끝나고 뭐가 올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대부분의 국가들에 비하면 한국이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나 선방하고 있는건 맞습니다.
엔지니어
20/12/17 11:27
수정 아이콘
CERB랑 CESB 신청 기준이 너무 낮아서 진짜 돈을 퍼줬죠.. 파트타임 하면서 한달에 500불도 안벌던 사람이 2천불씩 챙기는거 보고 좀 놀라긴 했네요. 학생들한테도 돈 퍼주는거 보면 트뤼도가 정치 쇼는 참 잘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코비드 끝이 보이는 요즘은 포스트 코비드가 더 무섭기도 하네요.
눈물고기
20/12/16 21:38
수정 아이콘
희안하네요....
같은 싸이트가 맞나 싶을정도로 댓글 반응이 달라서 좀 놀랍습니다...

어떤글에서는 무서울정도로 정부까는 분위기인데...
또 이 글에서는 그렇지 않네요...
20/12/16 21:40
수정 아이콘
댓글 다는 회원들이 다릅니다.
영호충
20/12/16 21:42
수정 아이콘
무작정 실드치는 사람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20/12/16 21: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기는 무작정 까는 분들이 없는 게시물이에요.
다리기
20/12/16 21:5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깔 게 없으면 까는 분들이 없는데
쉴드 칠 게 없을 땐 쉴드 치는 분들이 있더라구요
20/12/16 22:00
수정 아이콘
꼭 그렇지는 않더군요. 그 반대쪽만큼 그런분들도 많습니다.
다리기
20/12/16 22:20
수정 아이콘
뭐 꼭 반반무마니로 이쪽 반대쪽 이야기는 아닙니다.
세상을 그렇게 나누는 건 넌센스죠
20/12/16 22:23
수정 아이콘
그렇다는 이야기지 딱 가르는건 불가능하죠.
이른취침
20/12/16 21:56
수정 아이콘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논제네요. 흐흐흐
간손미
20/12/16 21:49
수정 아이콘
지금 비판하는 사람들이 나라 경제가 망해간다고 비판하고 있는게 아니니까요.
그래서 무조건 어 너 여당 비판하면 저쪽편이야? 라는 식으로 무조건 이분법으로 생각하면 안되는 거죠.
20/12/16 22:18
수정 아이콘
이미 정게는 호드와 얼라의 전장과도 같은 상황이라...
대충 특성도 비슷하군요.
20/12/16 22:21
수정 아이콘
그분들은 유리한 맵에서만 싸우려고 들거든요. 불리한 맵은 아예 쳐다도 안보는겁니다.
20/12/16 22:47
수정 아이콘
그거야... 반대쪽도 마찬가지라고 하려고 했는데 쉴드로 욕먹는 분들이 있는걸로 봐선 맞는말 같기도 한데... 반대쪽 분들도 몇 분은 있는 듯 싶으니 별 차이는 없는 듯 싶네요.
블랙박스
20/12/17 10:28
수정 아이콘
크크크 테란유저로서 옛날에 1:1 로템 방만 만들었던게 생각나는군요
티모대위
20/12/16 22:49
수정 아이콘
사안마다 의견이 달라진다는 거니까요.
정부 싫다고 무조건 정부 까는 그런 사람들이 아니라는 거죠.
그래서 피지알은 좋은 사이트입니다.
Air Jordan1
20/12/16 23:15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이런글은 선택적으로 안보일거라서요..
cruithne
20/12/16 23:15
수정 아이콘
보통 지는 싸움은 잘 안하죠
번개크리퍼
20/12/17 00:41
수정 아이콘
이제는 많이 바뀌었어요.
정치건 사회건 스포츠건 연예건 이제는 야 이걸 실드치냐? 난 싫고 틀리다고 생각해서 패는데 넌 왜 실드쳐?
실드 꼴보기 싫어 너 같이 실드치는 사람이 문제야. 실드치니까 글 타래 늘어나니 그냥 닥치고 있어
이런 분위기 입니다.
20/12/17 07:34
수정 아이콘
까일만한 건 까이는게 당연하니까요. 병상이 없어서 임산부가 사망했다는 글에 경제적으로 우린 선방하고 있으니 잘하고 있으니 정부를 칭찬해 라고 하는건 싸이코패쓰죠.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죠.
삶은 고해
20/12/17 10:23
수정 아이콘
정치탭이 아니라서요
20/12/16 21:46
수정 아이콘
나라 망해가는줄만 알았는데 전혀 아니네요.
이른취침
20/12/16 21:55
수정 아이콘
선대인 믿고 집 안샀던 사람들이 어찌 됐는지만 봐도...

물론 늘 위기의식을 가져야겠지만
현재보다 상황이 10배쯤 악화되도 유럽보단 나을 겁니다...
20/12/16 21:5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올해는 대단했네요.내년에 기저효과로 착시현상이 좀 나타날 것 같은데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그 때 지표가 대선향방도 가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2/16 22:02
수정 아이콘
내년 성장률이야 타 국가 비해 낮아지겠죠. 그래서 망한다는 언론기사도 많이 나올겁니다
20/12/16 23:10
수정 아이콘
그런거까지 감안한 기사가 나오길 기대중인데 기자가 기자할 것 같긴합니다.
나주꿀
20/12/16 22:03
수정 아이콘
뭐 그래도 유럽보단 낫죠. 그런데 우리가 나은 상황이 뭐 한국인의 국민성이 우수해서 코로나를 더 잘 버텨냈다고 하긴 뭐하다고 생각해요.

유럽, 미국 사람들 원래 현금 저축같은거 안하고 들어온 만큼 쓰는 건 다 아는 사실이고 (월세라든가 모기지론으로 나가는 돈도 만만치 않죠)

그런데 아시아 사람들은 경기 위축이나 락다운 이런것도 저축해둔 예금으로 버틴거죠.

요즘와서 단계를 올리냐 마냐 하는데 시끄러운 것도 슬슬 저축해둔 예금이 바닥을 드러내니까 셧다운 해라 하지마라 싸우는 거고.
20/12/16 22:18
수정 아이콘
k방역은 잘해왔다고 생각하는데 백신 계약 안한것은 좀 의문이네요

지금 지지율도 코로나 정국덕을 본다고 생각중인데 과연 일본은 백신 다맞고 멀쩡히 돌아다니는데우리만 마스크 쓰고 있어도 그 지지율이 나올지 궁금합니다.
20/12/16 22:25
수정 아이콘
곧 나온다니 보면 알겠죠. 근데 항체 지속기간이 짧으면 매년 맞아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우구스투스
20/12/16 22:27
수정 아이콘
별개의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백신 남아서 폐기하면 해당 공무원 징계랍니다.
깜짝 놀랐습니다.
덴드로븀
20/12/16 22:28
수정 아이콘
???? 근거가 있는건가요?
아우구스투스
20/12/16 22:29
수정 아이콘
이재갑 교수님이 페이스북에 관련된 내용을 언급해주셨었죠.
20/12/16 22:31
수정 아이콘
적게 구매하는 이유가... 참
20/12/16 22:30
수정 아이콘
어 독감백신 남았다고 들었는데 그거 어떻게 되는건가요? 이번에 언론에서 한 역할 한걸로 보이던데요.
아우구스투스
20/12/16 22:31
수정 아이콘
이번 독감백신은 모르겠어요.
이번은 언론이 참 진짜로 큰 일을 했죠.
20/12/16 22:21
수정 아이콘
인구밀도 때문에 아차하면 가는터라 방심은 금물인데 여름이후로 조바심+안일함 때문에 정부가 제대로 방심했다 생각합니다
한쪽으론 국내관광독려 외식권장을 해도 반대쪽으론 병상을 늘렸어야...
antidote
20/12/16 22:35
수정 아이콘
이게 사실 중국, 제조업 이 두가지 키워드로 설명되는 차트일겁니다. 일단 경제대국으로 지난 30년간 견조하게 높은 성장을 해온 나라가 중국이고요.(물론 당연히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성장률은 낮아졌습니다만 그래도 아직은 현재 비슷한 국민소득 수준 국가중에서는 높은 축에 듭니다.)
독일, 한국, 오스트레일리아라는 세 나라는 공통점이 없어보이지만 대중 수출 비중이 꽤 높습니다.
독일, 한국은 공업제품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원자재를 중국으로 수출하죠.
그리고 중국, 독일,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굉장히 높은 나라들입니다.
이 네 나라가 차트상 최하위권이네요.
그리고 의외로 스웨덴도 제조업 비중이 꽤 되는 편입니다.
서지훈'카리스
20/12/16 22:38
수정 아이콘
한국이나 일본 이쪽 국민들이 말을 잘 듣는 구성이 많은 것이 요인 같아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0/12/16 22: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일반 카테고리 글에 정치와 연관짓는 댓글을 게시하여 제재합니다.(벌점 4점)
{착오가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아우구스투스
20/12/16 22:44
수정 아이콘
헌데 여기 일반탭입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0/12/16 22:46
수정 아이콘
?? 일반 문건에서는 정치얘기 못하나요?
아우구스투스
20/12/16 22: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강제는 아닌데 정치댓글이 다수가 되면 정치탭으로 되기에 다들 지양하는겁니다.
20/12/16 22:51
수정 아이콘
정말 뜬금없지만 율리우스 카이사르님의 댓글에 아우구스투스님이 댓글을 다니까 뭔가 재미있어서 웃었습니다.
아우구스투스
20/12/16 22:53
수정 아이콘
앗 저번에도 어떤분께 비슷한 이야기 들은거 같아요.
20/12/17 10:37
수정 아이콘
7월 vs 8월
유료도로당
20/12/16 23:10
수정 아이콘
?? 너무 당연한거 아닌가요..? 그럼 카테고리 구분이 왜 있는건지..
율리우스 카이사르
20/12/17 00:28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위에 비아냥 대는 정치류 댓글들이 있어서 흠. 뭐 저도 조심하는게 좋을 것 같긴합니다만.. 그렇게 당연해보이지는 않네요. 전 이정부가 코로나를 정치적으로 이용한것이라고 전 보기 땜에.. .. 다만 그건 동의안하셔도 이 정부가 코로나 때문에 정치적으로 수혜를 입은건 동의하시죠?
아우구스투스
20/12/17 01:07
수정 아이콘
당연한건데요.
강제는 아니겠지만 그래도 지양하자고 만든게 정치탭이겠고요.
그리고 코로나 초기에 엄연히 대응 못했다면서 지지율 빠졌었는데 수혜라기에는 좀 그렇긴 하죠.
율리우스 카이사르
20/12/17 06:47
수정 아이콘
그게 절묘한 수혜였죠. 친박 태극기 찌끄레기들 지들 이길줄알고 구태의연하게 있다가 막상 총선 가까워 올수록 반전.
cruithne
20/12/16 23:17
수정 아이콘
안되는건 아닌데 보통은 알아서 피하는 편이죠. 정치 얘기 시작하면 더이상 생산적인 논의 비슷한건 불가능하니까요.
암스테르담
20/12/16 22:45
수정 아이콘
확실히 3차 유행 때는 나사가 빠졌죠.
배고픈유학생
20/12/17 01:14
수정 아이콘
본문 경제글인데 하고 싶은 말씀은 많아도 좀 주제에 맞는 댓글을 쓰는게 좋을 거 같은데요. 안 그럼 정치글로 바뀌니까요.
이 본문에서 공수처 댓글이.. 왜 나오는지
PureStone
20/12/17 06:37
수정 아이콘
위에 비아냥대는 댓글들을 본다면 이미 정치글이 된듯 합니다. 그리고 아직 코로나가 종식도 안됐는데 잘했다 못했다 평가하는게 성급하다고 봅니다. 특히 한국은 백신 확보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해서 내년까지 발생할 대유행이 더 걱정인데 자화자찬하는 것은 이번 백신 사태를 또 자초하는 것이죠. 과정이 아무리 좋아도 결과가 안좋으면 그건 실패한 겁니다.
번개크리퍼
20/12/16 22:52
수정 아이콘
우리가 덜 취약하다는데도 지금 다들 힘들어 죽을려고 하는데 도대체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은 나라는 어떤 지경인건지 감이 안오네요
티모대위
20/12/16 22:58
수정 아이콘
그 나라들은 미리미리 힘들어 두지 못해서 박살나는중인거라..
우리나라가 그래도 좋은나라인것이... 코로나 때문에 바로 주변사람들이 막 죽고 쓰러지고 그런 상황이 아닌데도 어쨌든 기관에서 발표하는 숫자를 보며 경각심을 느끼고 통제를 따른다는것이죠. 서구권 국가들이 만약 5천만 인구에 일일 신규확진자수 천명이다? 코로나는 실체가 없다, 마스크를 벗자며 시위행진하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을 테지요.
암스테르담
20/12/16 23:01
수정 아이콘
병원 화장실에 사람이 죽어있는데 방치하는 정도랍니다.
그 와중에 시위하고 크리스마스 트리 보러 사람들이 모여있는 지경이라 백신 없이는 가라앉지 않을 겁니다.
Capernaum
20/12/16 23:41
수정 아이콘
다른 것을 떠나서

관광 산업에 의존하는 부분이 거의 없는 국가인 점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아요,,

정부는 무능했지만 국민들이 잘 대처해준 것도 있고요
아우구스투스
20/12/17 00: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뒷부분 생각은 다르나 앞부분은 말씀해주신대로 관광업에 거의 의존하지 않은게 크긴 하네요.
맥스훼인
20/12/16 23:42
수정 아이콘
K방역도 있겠지만 더 큰 요인은 c(시?)방역으로 중국 경제성장율이 선방한 원인도 클 겁니다. 한국 경제는 2010년대부터는 환율이나 수출 중국의 영햘을 크게 받는 편인데 중국이 빠르게 회복하면서 내수와 수출이 좋아져서 그 혜택을 국내기업도 같이 보고 있긴 하죠
암스테르담
20/12/16 23:50
수정 아이콘
RCEP 달달합니다~
양파폭탄
20/12/17 01:14
수정 아이콘
뭐... 공장 잘 돌고 물건 잘 팔리면 청신호겠죠.
대만이 경제성장률 최상위권 찍을걸로 예상되는 것도 tsmc 하드캐리가 컸고요.
코로나 잘 잡은 뉴질랜드 폭망한건 관광업 위주라 그렇다는건 다 아는 사실이죠.
Prilliance
20/12/17 02:19
수정 아이콘
방역이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는 좀 위태위태한 느낌이긴 하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훌륭하고, 설령 여기서 상황이 더 나빠진다고 해도 유럽같은 그런 상황은 오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데미지 자체가 작으니 회복도 빠를거고...

백신이 늦어진건 아쉽긴 하지만, 제조업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라 다른 나라만 회복되면 우리의 접종이 늦어진건 아주 큰 영향은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백신으로 인한 집단면역이 이루어진 나라들의 우리 국민에 대한 입국제한 같은건 남아있겠지만, 사람은 못가도 물건은 갈테니 진짜 온나라가 코로나로 뒤덮혀 대부분의 공장들이 문을 닫아야 하는 수준이 아니면 괜찮을 거라고 봅니다. 거기에 여행 수지 적자를 조단위로 꼴아박는 나라니 못오고 못가면 이런 면에서 보는 이득도 좀 길어지는 셈일테구요.

다만 이건 국가 전체적으로 보는 관점이고, 세부적으로 보면 잘나가는 회사는 더 잘나가고 박살나는 회사는 더 박살나고 내수경기침체로 자영업자도 박살나고 이런 상태니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전체적으로는 플러스여도 업종별 계층별 양극화가 지금 이상으로 더욱 심화될텐데 이게 좀 걱정이긴 하네요. 코로나 사태는 코로나가 진정되고 나서야 진짜로 시작되는건 아닐까 두렵습니다.
20/12/17 04:39
수정 아이콘
이건 어느정도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뉴질랜드 방역 이야기 나오면 나오는 이야기중 하나가 셧다운 해서 경제성장률이 망했다는건데 솔직히 그건 사실을 호도하는거죠. 뉴질랜드 경제가 망한건 셧다운이 아니라 국경봉쇄로 관광업이 망해서 그런겁니다. 그렇기에 관광업 의존도가 적은 한국은 코로나로 인한 경제 영향이 적을수 있구요
공정사회
20/12/17 09:56
수정 아이콘
이코노미스트도 좌빨 언론인가요 이시국에도 훌륭하게 국정운영을 해내는 우리 이니와 정부, 민주당의 노고를 인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엑시움
20/12/17 13:13
수정 아이콘
공장들이 멀쩡하게 돌아가고 있으니까요. 내수가 쥐똥이고 관광업 비중 적은 게 전화위복이 되었네요. 깡말라갖고 살집이 없어 총알이 스쳐지나간 느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979 [정치] 갈수록 점입가경이 되어가는 전당대회... [42] 12897 23/02/24 12897 0
97780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백신패스와 마스크 패스 [96] 부평오돌뼈16099 23/01/27 16099 2
97254 [일반] 좋은 미드 2개 추천하고 갑니다. [22] This-Plus11779 22/11/27 11779 8
94660 [정치] 안철수 후보 삼프로 영상(좀 많이 깁니다. 요약이라기보단 주요 내용) [71] Crochen19514 22/01/02 19514 0
93957 [일반] 한국 최초의 일본 라이트 노벨, 판타지 & 어드벤처 노벨 [14] 라쇼12417 21/11/05 12417 2
92768 [일반] 델타변이바이러스에 대한 미국 CDC 보고서 요약 및 해석 [93] 여왕의심복20580 21/08/02 20580 108
92427 [일반] 델타 바이러스와 백신에 대한 질의응답 [34] 한이연20012 21/07/07 20012 10
90043 [일반] 인간과 지옥의 대결 오컬트물 애니 노래 모음 [21] 라쇼12513 21/01/16 12513 5
89322 [일반] 이코노미스트, "한국, 코로나19 장기 경제 손상에 가장 덜 취약해" [107] 덴드로븀12649 20/12/16 12649 10
89235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박근혜 정부의 코로나 대응 자화자찬이 어처구니가 없네요. [109] 수부왘15539 20/12/12 15539 0
89049 [일반] 알파고의 후예 알파폴드와 인류과학의 진화 [28] 숨결10941 20/12/04 10941 18
88885 [일반] 봉쇄 종료 후 우한에서 약 1천만 주민 SARS-CoV-2 핵산 스크리닝 검사 결과 [33] 아난14811 20/11/24 14811 0
87638 [일반] [서브컬쳐/스포있음] 나루토 후속작 보루토 이야기 [8] TAEYEON9781 20/08/13 9781 5
87050 [일반] 동아시아 3국의 젓가락, 숟가락 [26] 겨울삼각형10252 20/07/03 10252 7
86196 [일반] (비전공자가 쓴)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백신에 대해 [3] 해바라기7897 20/05/13 7897 4
86007 [일반] [역사] 로마는 사실 전염병 때문에 멸망했다? [27] aurelius12546 20/05/03 12546 27
85892 [정치] 왜 보수는 인터넷에서 약진하고 총선에서 대패했는가? : 억텐, 뇌절, 먹금 [153] 판댜17088 20/04/27 17088 0
85729 [일반] 코로나 뉴스모음 사이트 [4] 싶어요싶어요9253 20/04/17 9253 3
85682 [일반] 내 인생의 감기, 독감-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 경험.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생각하며. [8] Locked_In8252 20/04/13 8252 5
85610 [일반] 아프리카, COVID-19 백신 임상 (에이즈, 황열병, 말라리아) [14] 모모스201316319 20/04/08 16319 9
85576 [일반] aurelius님께서 추천해주신 기사를 번역해보았습니다. [27] 간옹손건미축14250 20/04/06 14250 68
85524 [일반] [보건]코로나 바이러스에 더 많이 노출되면 더 위험한가? [36] osbal11901 20/04/03 11901 4
85518 [일반] [보건] 가디언지의 영국 코로나19 검사 대란에 대한 분석 [94] worcester15927 20/04/02 15927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