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09 21:56:02
Name 댄디팬
Subject [일반] 아버지와 식물이야기 (수정됨)
안녕하세요 댄디팬입니다. 요즘은 육아때문에 정말 고단하네요. 아이를 기르면서 드는 생각은 "아니 나를 어떻게 키운거야 우리 부모님은...?"하는 생각입니다. 아직 말도 못하는 아이가 내 행동 하나하나를 따라해서 좋지 않은 행동을 하고 저는 아내한테 등짝을 내주는 일이 반복되면서 고향에 계신 아버지 생각이 참 많이 납니다. 어머니도 생각이 많이 나긴하는데, 어머니는 언제나 저를 지지해준다는 느낌이었다면 아버지는 이렇게 살으란 말야! 하면서 말하고 그게 또 듣기 싫었던 제가 티격태격하면서 친구처럼 많은 이야기를 나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친구처럼 이야기할 수 없었던 순간이 있습니다. 아버지가 옛날분이라 워낙 착오와 확신에 의한 거짓정보(-_-)를 주시면 그걸 제가 부정하고 티격태격했지만, 아버지의 전공인 '식물'에 관해서는 저는 아는 것이 없으니 그저 들어야 했거든요. 아버지는 일평생 농업에 종사하시면서 농업을 연구하고 자격증도 따셨습니다. 식물을 보면서 인생을 이야기하는 걸 즐기셨고 40여년을 그렇게 사시다보니 식물 이야기할 때는 정말 어깃장을 놓을 염두도 안 나더라구요.(결혼식 축사조차도 식물이 꼭 들어가십니다...)

그런 아버지께 들었던 몇가지 식물이야기를 나누고 기억하기 위해 이 글을 적습니다.


# 오동나무와 모내기
저는 다른 건 잘 기억하는데 식물은 좋아하면서도 기억을 잘 못합니다. 그런 저도 쉽게 기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오동나무였는데요, 천변에 엄청 큰 잎으로 멀대같이 자라고 있는 풀이 바로 오동나무입니다. 저게 뭐냐고 물었을때 아버지가 오동나무라고 해서 놀랬었죠. 저건 풀인데요...? 라는 제게 아버지는 말씀하셨습니다.

"저게 커서 나무가 되지. 처음에 잎을 넓게 벌리고 쭉쭉 자라. 그래서 아래 식물들이 살지 못하게 만들지. 저런 식물을 선구식물이라고 하는데, 일종의 선구자지.(덧: 한자는 선구식물이랑 선구자랑 다른데 영어로 정말 파이오니어를 쓰더군요...) 저렇게 자기 자리를 잡는거야."

네 맞습니다. 오동나무는 일종의 사다리 걷어차기를 하고 있는 식물이었습니다. 처음부터 건실하게 크는 게 아니라 자리를 잡기 위해(즉 주변의 식물들을 제압하기 위해) 풀인 것 처럼 잎을 크게 벌리고 좀 약할 지언정 높게 쭉쭉 올립니다. 그리고 우리가 아는 그 튼튼한 오동나무로 바뀝니다. 아 뭐든지 이렇게 선점하는게 중요하구나. 그리고 저 평화로워보이는 식물들 사이에서도 자리 잡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구나.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생명은 이토록 역동적인 것이라는 생각도 함께요.

그러고 나니 모내기가 이해가기 시작했습니다. 모내기는 벼가 다른 잡초에 비해 먼저 생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벼가 잡초와의 경쟁에서 이기게 해줍니다. 물론 그 틈을 뚫고 나오는 잡초들도 있지만. 그래서 직파법이 아니라 이앙법 이앙법했구나... 이런 생각도 들었구요. 과거에는 그냥 아 몰라 이앙법 최고!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런 원리가 적용될 수 있겠다 싶더라구요. 이러한 모내기 원리를 이해한 저는 아버지께 동원되어 새참제조, 모판 나르기에 동원되었고 이번 추석 때는 콤바인 보조에도 끌려갔습니다.


#벼꽃냄새
어느날 아버지를 따라 산책을 하다가 묘하게 고소한 냄새가 코에 다가왔습니다. 은은했지요. 아버지는 말씀하셨습니다.

"벼꽃냄새가 좋다."
"네?"
"이거 벼꽃냄새여. 옛날사람들은 벼꽃냄새 맡으면 밥짓는거 같이 행복하다고 했어."

대부분의 식물을 꽃을 피웁니다. 다만 우리가 꽃을 잘 못보는 식물이 많지요. 제게는 벼꽃이 그런 존재였습니다. 촌에 살면서도 벼꽃은 몰랐네요. 그런데 벼는 꽃마저도 냄새가 구수하더라구요. 강하게 고소한 느낌은 아니고 정말 은은한 정도의 냄새긴 했는데 하필 논과 논 사이에 놓인 길이라서 그 냄새를 제가 맡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날 저는 벼꽃을 처음 알아서 호구잡힌 나머지 아버지에게 아직 영글 않은 볍씨 내부에 대한 강의를 들어야 했습니다. 와... 벼꽃 필무렵의 볍씨는 안이 쌀알이 아니라 액체형태더라구요.(딱 그 벼꽃이 핀 벼의 볍씨를 가른 것이 아니라 그 즈음의 다른 볍씨를 갈라서 보여주셨습니다.) 아침햇살 희석액이 노란 볍씨 안에 있는 느낌? 여하튼 벼에도 꽃이 있고 그 냄새가 누군가에게 위안을 줬다는 것을 알고나니 논이 조금 달리 보였습니다.


#로제트
어느 겨울이었습니다. 아버지와 저는 길을 걷고 있었는데 아버지가 갑자기 땅을 보시더니 말씀하십니다.

"저거 봐라 땅에 딱 붙어있지?"
"네(아니 무슨 새삼스럽게)"
"저걸 로제트라고 한다. 추위를 이기려고 땅에 딱 달라붙어있는거야. 그리고 저 식물들이 봄이 되면 로제트를 풀고 다시 자라나는 거지. 너도 이제 로제트를 풀고 세상에 나가는거다."
"..."

아버지와 다니면서 가장 뭉클했던 순간이었습니다. 일이 참 안풀리고 있다가 조금 희망을 보았을 때였거든요. 그런데 그냥 지나치는 식물이 그걸 조금 더 잘 버티고 살겠다고 땅에 바싹 붙어서 퍼져있다가 봄이 오면 풀려서 솟아나고 자라난다니. 왠지 모르게 저 로제트식물들도 제 친구같아지는 그런 느낌이 들더군요.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기 위해 저렇게 진화한 식물들이 삶의 스승같이 느껴지는 그런 순간이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나니 오늘따라 아버지가 더 뵙고 싶네요. 농한기인데 코로나때문에 놀러 못다니시는 아버지를 찾아뵈러 조만간 다녀와야 겠습니다. 가서 식물 이야기 더 듣고 위로도 받고, 나중에 저장해놨다가 딸내미한테도 들려줘야지 싶네요. 추운 겨울인데 모두들 봄에 로제트를 풀기 전까지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전쟁
20/12/09 22:15
수정 아이콘
저는 식물에 대한 특별한 애정은 없지만 식물 좋아하는 사람치고 악한 사람 없는 것 같습니다...글쓴이이 아버님도 아마 그런 분이지 싶습니다...
댄디팬
20/12/10 08: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욕심이 없으시고 성실하신 농부시라 늘 본받고자 합니다.
사술생
20/12/09 22:25
수정 아이콘
오오 흥미롭네요... 벼랑 로제트는 평소에도 꽤 많이 봤는데 벼꽃하고 액체상태 이야기, 그리고 '로제트'라는 단어는 처음들어보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댄디팬
20/12/10 08: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12/10 00:23
수정 아이콘
좋아용.
댄디팬
20/12/10 08: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12/10 00:34
수정 아이콘
몇 년 전부터 식물공부를 꼭 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고만 살고 있어와서 글 제목 보자마자 반갑게 들어와 다 읽었네요
다녀오시고 또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잘 읽었습니다
댄디팬
20/12/10 08:08
수정 아이콘
네 좋은 이야기 공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575 [일반] 심인성 발기부전인거 같습니다. [44] 몽블랑집안18471 21/02/24 18471 9
90545 [일반] 2011년 집단 괴롭힘 사건, 그리고 10년후 [52] 나주꿀13449 21/02/22 13449 5
90474 [일반] 도대체 중국은 누가, 어떻게 통치하는가? - 중국의 엘리트 정치 [12] 모모스201314750 21/02/17 14750 3
90465 [일반] 미국인 4명 중 1명은 천동설을 믿는다고 [35] 아난9843 21/02/17 9843 3
90332 [일반] 모두, 사기 조심하세요.(탐욕에 눈이 먼 이야기) [37] Lucifer011794 21/02/07 11794 25
90245 [일반] 며칠 전 시카고 대학교에서 있었던 일.. 2-2 [4] 아난10622 21/01/30 10622 12
90157 [일반] [번역]설탕은 왜 중독되는가, 설탕은 어쩌다 80%의 식품에 들어가게 됐나 [77] 나주꿀12505 21/01/24 12505 28
90146 [일반] 코로나바이러스의 새 브라질 변종과 남아프리카 변종 [6] 아난8141 21/01/24 8141 1
89991 [일반] 화재 이야기입니다 [5] 피알엘7213 21/01/12 7213 4
89902 [일반] 무엇이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가? [39] 아리쑤리랑19977 21/01/07 19977 61
89750 [일반] 올해 찾은 (영어) 유튜브 채널들 중 추천드리고 싶은 것들 [7] esotere7356 20/12/31 7356 9
89370 [일반] 용병의 역사 2 - 현대편 [7] 트린7046 20/12/18 7046 13
89158 [일반] 아버지와 식물이야기 [8] 댄디팬5281 20/12/09 5281 6
89049 [일반] 알파고의 후예 알파폴드와 인류과학의 진화 [28] 숨결10869 20/12/04 10869 18
88674 [일반] [미국] 미국은 과연 대선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을까? [46] aurelius12886 20/11/06 12886 10
88422 [일반] 2020년 10월 IMF의 각국 국내총생산 발표가 있었습니다. [251] 앙겔루스 노부스15525 20/10/16 15525 7
88168 [일반] 시대의 불운아 루드비히 볼츠만 [32] cheme14035 20/09/21 14035 31
88164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25] 공기청정기7179 20/09/21 7179 1
88120 [일반] 금성의 대기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67] cheme17220 20/09/16 17220 37
87946 [일반] 국제정세와 역사를 볼 때 유의해야할점 몇가지 [73] 아리쑤리랑25683 20/09/03 25683 128
87871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1 [120] cheme27181 20/08/30 27181 89
87700 [일반] 개신교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됐을까 [162] 엔지니어21119 20/08/19 21119 28
87638 [일반] [서브컬쳐/스포있음] 나루토 후속작 보루토 이야기 [8] TAEYEON9764 20/08/13 9764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