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1/24 01:05:28
Name Leeka
Subject [일반] 1인가구 내집마련 - 보금자리론 활용하기 (수정됨)
- 1인가구는 기본적으로 청약... 넵..  추첨 or 미분양 아니면 택도 없습니다..  

따라서 1인가구는 기본적으로 매매를 베이스로 봐야 하는데요.


- 서울이나 수도권은 전부 투기과열지구 이상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담대는 LTV의 40%(9억이하) 가 베이스가 되는데요.


- 6억 이하의 집을 구입할 경우, '보금자리론' 이라는 희망의 카드 한장이 있습니다.




1. 1인 가구의 보금자리론 조건은?

>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만 만족하면 됩니다.
(무주택자 기준)

2. 보금자리론의 혜택은?

> 6억 이하의 집에, LTV 70%가 나옵니다 (단, 최대 3억까지만)
(정확히는 5억~6억은 LTV 60%긴 한데.. 5억의 60% 해도 3억이라서.. DTI가 내려가는것만 의미있는 정도라.)

단순 비교를 해볼까요?

4억 집 매매 -> 주담대 1.6억
5억 집 매매 -> 주담대 2.0억
6억 집 매매 -> 주담대 2.4억
7억 집 매매 -> 주담대 2.8억

까지 나옵니다..

하지만 보금자리론!! 카드를 짠 쓰면

4억 집 매매 -> 보금자리론 2.8억
4.3억 집 매매 -> 보금자리론 3억
5억 집 매매 -> 보금자리론 3억
6억 집 매매 -> 보금자리론 3억

7억짜리 집을 사도 주담대가 2.8억이 나오는데
보금자리론을 쓰면 4.3억 짜리 집을 사는데 3억이 나옵니다.. (여기서부터 6억까지는 쭉 3억...)



즉 보금자리론을 쓸 경우엔 여력이 된다면 4~6억대 집을 구입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또한, 보금자리론 카드 때문에. 집들의 가격이 생각보다 6억에서 1차 허들..이 걸리기 때문에 은근 물건들이 있습니다.


바꿔말하면
3억짜리 집 구입 시 -> 내돈 9천만원 필요
3.5억짜리 집 구입 시 -> 내돈 1억 5백만원 필요
4억짜리 집 구입 시 -> 내돈 1억 2천만원 필요
4억 3천짜리 집 구입 시 -> 내돈 1억 3천만원 필요 (* 취득세, 등기, 이사비, 복비를 제외시)

라서 여기까지는 '집값 올라가는거 대비. 실제 시드머니가 크게 오르지 않습니다.
이 이후부터는 오르는 족족 내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슬슬 압박감이 쎄지긴 합니다만..



3. 보금자리론의 또다른 혜택은?

30년 고정금리 2.23% (우대 없이...)
+ 체증식상환가능 (만 40세 이하면)..

30년 고정금리는 현 저금리에선.. 안전성을 보장해줄 수 있고 (미래에 금리가 올르더라도 나는 고정이니)
체증식은 '당장 상환금액이 엄청 줄기 때문에, 이자 부담으로 인해 생활이 변하는 일을 막아줍니다.'



4. 종합하면?

만 24세부터(한국나이로는 25~26)..  돈을 1년에 천만원씩 모을 경우
만 30세가 되면 6~7천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신용대출 + 보금자리론을 합치면 4억초반 집 매매는 가능합니다.
(시드가 더 많다면 더더 위로 가능하겠지요.)


추후 연애나 결혼까지 생각한다면.  전용 59를..
입지를 좀 더 중요시 여기고 혼자 사신다면 전용 44~49까지는 조정하는것도 괜찮습니다.
(이거보다 작아지면.. 나중에 팔기 어렵습니다 ㅜㅜ)


1인가구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몇 안되는 혜택이 보금자리론.. 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쪼아저씨
20/11/24 01:09
수정 아이콘
오피스텔 보유자는 받을 수 없겠죠?
20/11/24 09:17
수정 아이콘
무주택 요건 기준..을 공사에서 살펴보시는게 빠를거 같습니다.
+
유주택으로 인정되더라도, 1주택은 처분서약 쓰면 받을 수 있습니다.
슈퍼파워
20/11/24 01:55
수정 아이콘
3.5억짜리 집 구입 시 필요한 돈 1억5백은 대출이 될까요? 된다면 얼마나 될는지.. 모아놓은 게 6천 정도밖에 없어서 그렇습니다.. ㅠㅠ
사당보다먼
20/11/24 08:1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직장 있으시면 신용대출로 그 1억 5천도 어느 정도까지 커버가 가능했습니다. 이걸 영끌이라고 불렀고요. 요새는 신용대출도 옥죄고 있고 DSR이라고 소득 대비한 대출 규제도 빡세지는 걸로 알고 있어서 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슈퍼파워
20/11/24 09:40
수정 아이콘
이런 거 잘 모르고 살아왔는데 이제 좀 공부해야갰네요 ㅠ 답변 감사합니다!
20/11/24 09:15
수정 아이콘
그건 케바케라서.. 직접 은행등에서 대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단, 11/30일부터는 1억 이상 대출한 상태로 주택 매매 불가합니다. (그전에 받은 대출은 가능..)
따라서 사실상 그정도는 안나오겠지만.. 모아두신게 있다면 6천정도 받을 수 있다면 매매는 가능하실거 같네요
슈퍼파워
20/11/24 09:41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년 정도 내에 매매 계획이 있어서.. 연구해봐야갰어요. 끙
20/11/24 07:55
수정 아이콘
저도 오늘 이걸로 집계약하러가요~
20/11/24 09:17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20/11/24 08:26
수정 아이콘
이미 집값이 너무 올라버린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어차피 실거주 목적이라 저도 이거 받아서 서울서 경기도로 내려왔습니다.
20/11/24 09:18
수정 아이콘
경기도로 내리면 보금자리론 해당되는 집이 생각보다 많죠.. 1인가구면 59도 정말 넓은 집이다보니..
20/11/24 08:35
수정 아이콘
아직 집없는 세대원(부모님집에 살고 있습니다) 해당되는건가요?
20/11/24 09:18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은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안되더라도, 잠시 세대주로 바꾸셔서 사고 독립하시면 될꺼에요.. )
운운이
20/11/24 08:43
수정 아이콘
만 30세 제한이 있었나요...?
https://www.hf.go.kr/hf/sub01/sub02_01_01_01.do#/jwxe_main_content
상품 안내 페이지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20/11/24 09: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디딤돌대출 조건하고 착각을 ㅡ.ㅡ 수정했습니다
피식인
20/11/24 08:48
수정 아이콘
굉장히 좋은 상품인데 결혼 앞둔 분들은 미리 잘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부부합산 소득 8천5백만원 제한있는데(자녀 있을시 한도 약간 증가), 1인가구 소득 7천만원 제한이라 결혼하고 받을 수 없는 경우, 미혼일때 1인가구로 미리 받아두는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20/11/24 09:16
수정 아이콘
본문은 1인가구 기준이라 안적긴 했는데..
부부합산은 맞벌이면 허들이 확 내려가서..
해당되면 혼인신고해서 우대금리 받는게 좋지만, 아니면 그냥 미혼일때 받는게 좋긴 합니다.
담원20롤드컵우승
20/11/24 09:41
수정 아이콘
이부분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20/11/24 12:51
수정 아이콘
이런게 정말 잘못된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결혼하면 피보는 상황이 너무 많아요.
이득 되는게 극히 드뭄
아이즈원
20/11/24 11:03
수정 아이콘
디딤돌에서 보금자리로 갈아탈 수 있을까요??
소이밀크러버
20/11/24 11:27
수정 아이콘
오... 안그래도 투기과열지구 때문에 좀 갑갑했는데 이거보니까 숨통이 완전 트였네요. 감사합니다.
리자몽
20/11/24 11:37
수정 아이콘
1인가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시대에 좋은 부동산 안내 자료네요 :)
20/11/24 12:25
수정 아이콘
6억 허들이 너무 낮은것같아요..
20/11/24 12:26
수정 아이콘
이번 정부 들어서 폭등.. 해서 그러지..
17년 초 기준으로 서울시내 아파트 50%이상 보금자리론이 가능했습니다... 원래는 넉넉한 허들이였죠...
20/11/24 12:33
수정 아이콘
대전은 18년도 하반기 이후 슬금슬금 오르더니 19년도에 신도시 아파트는 국평기준 죄다 6억이상 찍기 시작했거든요

신도시는 들어가지말란 허들같이 느껴져서요
20/11/24 12:50
수정 아이콘
1인가구가 보금자리론으로 대출 받아서 집을 샀는데
배우자의 명의로 집이 있어서 1가구 2주택이 되는 경우는
대출금을 몇 년 내로 상환해야 되나요?
피식인
20/11/24 12:56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 기준은 대출받을 시점 기준만 만족하면 됩니다. 대출 후에 결혼해서 다주택자과 되는건 상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11/24 14:2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알라딘
20/11/24 23:27
수정 아이콘
몇달새 금리가 0.2 % 더 낮아졌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62 [일반] 상반기에 찍은 사진들 [16] 及時雨3634 25/07/06 3634 15
104461 [정치]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41] 물러나라Y10695 25/07/06 10695 0
104460 [일반]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감상(긴 글 주의!) [34] 카페알파5579 25/07/06 5579 9
104459 [일반] [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2842 25/07/06 2842 1
104458 [일반] 오징어게임 시즌 3 감성평 (스포일러 없습니다.) [40] 성야무인7144 25/07/05 7144 3
10445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2)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4) [3] 계층방정3587 25/07/05 3587 5
104456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95] 밥과글13842 25/07/05 13842 46
104455 [일반]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11] 번개맞은씨앗5865 25/07/05 5865 15
104454 [일반]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155] 전기쥐14674 25/07/04 14674 9
104453 [정치] 박선원 "멀쩡한 드론통제차량 폐차 시도…증거인멸 정황" [155] 로즈마리15413 25/07/04 15413 0
104452 [정치] 북극항로, 대왕고래와 같은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인가? [47] 삭제됨8630 25/07/04 8630 0
104451 [일반]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 못해" [65] EnergyFlow8877 25/07/04 8877 0
104450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8 [10] Poe3520 25/07/04 3520 20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61] 철판닭갈비8841 25/07/04 8841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41] 깃털달린뱀7056 25/07/04 7056 5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52] Davi4ever13283 25/07/03 13283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10] 번개맞은씨앗3825 25/07/03 3825 2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9] No.99 AaronJudge4285 25/07/03 4285 10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5] 휘군8319 25/07/03 8319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5] 철판닭갈비8767 25/07/03 8767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7] 물러나라Y10227 25/07/03 10227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71] lightstone12221 25/07/02 12221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4] aDayInTheLife3728 25/07/02 3728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