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1/06 13:46:55
Name 비타에듀
Subject [일반]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과 S&P500 ETF 소식
1.  기존 국내 상장된 나스닥 ETF은 2개.

- 2010년 10월 18일 TIGER 미국나스닥100 (현물 + 환노출) 상장 (연보수 0.49%)
- 2018년 08월 30일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 (H) 상장  (연 보수 0.45%)


2. 많은 사람들이 TIGER 나스닥을 주로 구매했는데 일단 상장된지 10여년이 지나 주당 6만원 정도 되니 부담스러워 하는 분위기 + 0.49%라는 연보수에 아쉬워하는 분들도 많았죠.

KODEX나스닥은 환헷지 + 선물이라 그렇게 선호하진 않고..

3. 그러던 와중

2020년 10월 29일 KINDEX 미국나스닥100 (현물 + 환노출)상장 (연보수 0.09%)
2020년 11월 6일 KBSTAR미국나스닥100 (현물 + 환노출)상장 (연보수 0.07%)

후발주자인 KINDEX 와 KBSTAR에서 엄청 싼 연보수의 나스닥을 현물+환노출 ETF를 상장했죠.

KBSTAR야 오늘 상장됐고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KINDEX 나스닥 상장될때  기존 TIGER 나스닥 보유자 중 연보수가 비싸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KINDEX 나스닥으로 갈아탔죠. 특히 연금저축계좌로 운용하시는 분들이....


4. 근데 후발주자의 추격에 TIGER가 오늘 반격을 가함
TIGER미국나스닥100 ETF의 연보수를 0.49% -> 0.07%로 11월 12일부터 확 낮추기로..
기존에 갈아타던 사람들은 으어어어어어


5.
그리고 타이거가 2차 반격(?)을 가하는데 저번 8월 상장한 TIGER미국S&P500 (현물+환노출) 상품 연보수가 0.30%

국내 첫 미국S&P500 (현물 + 환노출)이라 다들 환영했는데 똑같은 날 KINDEX가 같은 미국S&P500(현물+환노출)을 상장한데다가 거기는 연보수가 0.09%

그래서 기대했던것만큼 TIGER S&P500이 환영을 못받았죠
그런데 역시 11월 12일부터 TIGER 미국 S&P500도 연보수를 0.07%로 확 인하해버림

----------------

역시 기업간의 경쟁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리드
20/11/06 13:48
수정 아이콘
좋네요
국내 ETF 수수료 넘 비쌌죠~~
20/11/06 13:49
수정 아이콘
와 국내 ETF가 너무 구려서 살일없고 해외ETF 위주로 갔던거 같은데 이젠 좀 변하겠네요.
20/11/06 13:49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타이팅
20/11/06 13:50
수정 아이콘
보이지 않는 흥민이가
20/11/06 13:52
수정 아이콘
와 국내 etf 진짜 도둑이 따로 없었는데 조금씩 나아지긴하나보네요.
파르티타
20/11/06 13:53
수정 아이콘
어랏? 이러면 세금이나 수수료 생각하면 QQQ나 SPY에서 무조건 갈아타야 하는 각이 아닙니까?
덴드로븀
20/11/06 13:58
수정 아이콘
그럼 호랑이500 사러 가면 되는건가요?
취준공룡죠르디
20/11/06 14:03
수정 아이콘
QQQ SPY '게섰거라'
된장찌개
20/11/06 14:07
수정 아이콘
단 원화로 투자하게 되는거죠?
그리고 이건 수익이 일정이상 나면 배당이나 이자쪽으로 계산되어서 종합금융거기 해당되는거 맞죠?
저는 qqq를 달러라서 가지고 있고 양도세 22%만 내면 되서 투자하는데
혹시 아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한국안망했으면
20/11/06 16:19
수정 아이콘
1)맞구요
2)맞아요 고소득자+고액투자자시면 애ㅡ매
3)근데 원화라는게 거의 의미가 없는게 환 노출상품이라 원달러환율이 반영이 됩니다.
갑의횡포
20/11/06 14:10
수정 아이콘
아 모르겠다. 피지알엔 부자가 개 많다는건 알겠다.
JJ.Persona
20/11/06 14:21
수정 아이콘
이거랑 부자가 개 많은거랑은 아무 상관 없는거 같은디용...
20/11/06 14:29
수정 아이콘
전문적으로 투자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온라인 게임에 패키지 지르듯이 10만, 20만 정도 투자하고
이익나면 환매해서 자랑하면서 치킨먹고, 손해나면 환매해서 한탄 하면서 남은 돈으로 소주 먹으면 꿀잼입니다.
꿈트리
20/11/06 14:48
수정 아이콘
IRP같은 걸로 연말정산 때문에 하기도 합니다.
리자몽
20/11/06 15:08
수정 아이콘
주식은 부자가 아닌 사람도 투자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수단이지요 @_@
-안군-
20/11/06 15:35
수정 아이콘
ETF 같은건 여윳돈 있으면 수십~수백 정도 넣어둘만 합니다. 수억씩 투자하는 그런게 아니에요;;
갑의횡포
20/11/06 15:3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막 복잡한 단어 내용이라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안군-
20/11/06 15:39
수정 아이콘
원 글이 복잡해서 그렇지, 그냥 통장 만들듯이 입금해놓고 가끔 수익율 조회하면 되는겁니다;;
펀드 종류가 다 그렇죠. 운용사들이 돈 모아서 일정 수고료(?)를 떼고 나머지 돈을 굴려주는 거니까요.
물론 공부를 많이 하면 좀더 수익률이 좋거나 더 안정적인 펀드를 찾을 수 있겠지만요.
박수연
20/11/06 14: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이런식의 해외 etf는 가격반영이 어떻게 되나요?
자고일어나면 자동으로 주당가격이 반영되어있나요?
제리드
20/11/06 14:24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일단은 한국장 거래 시간에만 가격이 움직이긴 합니다. 내부가치는 미국 장일때 변하겠지만...
20/11/06 14:31
수정 아이콘
NAV, 괴리율, LP 같은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해보세요.
어느 정도 돌아가는 원리는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HA클러스터
20/11/06 14:58
수정 아이콘
요 몇년간 환헷지옵션은 하는게 좋았나요 아니면 안하는게 나았나요.
맥스훼인
20/11/06 15:06
수정 아이콘
들어가는 타이밍에 따라 다르긴하죠.
환헷지가 있으면 환차손의 영향은 덜 받는데 헷지비용이 나가는지라(나브에 계산됨)
근데 원화가 계속 강해질 추세라 헷지하는것도 좋은듯해요
리자몽
20/11/06 15:0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요즘 미장 변동성 때문에 ETF로 바꿀려고 했는데 이쪽도 고려해야 겠네요
최종병기캐리어
20/11/06 15:37
수정 아이콘
배당은 어떻게 하나요? 미국 spy는 분기당 배당을해서 꽤나 짭짤한데...
20/11/06 15:38
수정 아이콘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은 수수료 내릴 예정 없나..환헷지 비용이라 쳐도 너무 많이 차이나니까 조만간 내릴 가능성이 높겠죠?
20/11/06 15:44
수정 아이콘
지금 들어가도 되나요? 미국 지수 역고점 찍고 다시 회복하는 느낌이던데
됍늅이
20/11/06 15:54
수정 아이콘
사실 장중에 사고파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인지라 미국지수 추종ETF를 한국개장시간에 맞춰 사고 팔아야 하는 국내ETF는 하기 싫어지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Albert Camus
20/11/06 19:39
수정 아이콘
ETF는 어짜피 단타 잘 안치지 않나요?
20/11/06 16:20
수정 아이콘
나스닥이 현물이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해외 주식은 한국장에서 사려면 선물로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아닌가보군요..
됍늅이
20/11/06 16:44
수정 아이콘
그쵸. 막상 사고팔수있는 한국장 개설시간에는 미국장이 쉬니까요. 그 시간에서의 움직임은 선물지수추종일 겁니다(?)
StayAway
20/11/06 17:29
수정 아이콘
한국도 etf가 좀 더 다양해졌으면 좋겠어요. 개별종목으로 포트짜는거 너무 어려움..
이라세오날
20/11/06 17:34
수정 아이콘
별개의 질문이긴 한데 지금 ita 들어가볼까 하는데 상반기 하락 후 반등을 못 하네요

회원님들은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카서스
20/11/06 17:57
수정 아이콘
주식계좌통장 없이 일반예금통장으로 거래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은행업무시간에 들릴 방법이 없는데...
Albert Camus
20/11/06 19:38
수정 아이콘
비대면 주식계좌개설이요
Albert Camus
20/11/06 19:38
수정 아이콘
오 봐서 갈아타야겠네요
지금은 Arirang S&P500 헷지 상품에 투자중인데
Scavenging Hyena
20/11/06 23:10
수정 아이콘
세금혜택 때문에 연금저축펀드나 퇴직연금계좌로 하면 좋죠.
나름쟁이
20/11/07 09:39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계속 적립중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12 [일반] 서유럽 지도를 걸레짝으로 만든 원인, 중프랑크 왕국 [5] 계층방정6205 25/06/29 6205 22
104411 [일반] 2022-2025 (미장 중심의) 주식 투자 후기 [18] 오징어개임4008 25/06/29 4008 1
104410 [일반] 불행은 행복의 부재. (일상글) [4] aDayInTheLife2896 25/06/28 2896 4
104409 [일반]  [경매이론1] 복잡성의 시대와 자유경쟁 시장의 변화 [1] 오디세우스2460 25/06/28 2460 6
104408 [일반] [잡담] 기쁜데 슬프고, 좋은데 시무룩해지는 그런 느낌 [6] 언뜻 유재석2946 25/06/28 2946 8
104407 [정치] 윤석열이 출석한 내란 특검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96] 물러나라Y9288 25/06/28 9288 0
104406 [일반] 이제 좀 있으면 우리 조카 생일입니다 [8] 공기청정기2544 25/06/28 2544 1
104405 [일반] 오겜3 간단 후기(스포) [32] 하이퍼나이프5750 25/06/28 5750 5
104404 [일반] 왜 영웅은 여장남자 사이코패스일까? [5] 식별5643 25/06/28 5643 9
104403 [정치] 김건희 퇴원(퇴원후 정정한 모습 추가) [57] 제논13722 25/06/27 13722 0
104402 [일반] 열심히 일하고 저축만하면 "가난" 해지는 돈이 고장난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54] SOXL11178 25/06/27 11178 41
104401 [일반] 미국지수 투자 후기 [34] Chandler7673 25/06/27 7673 6
104400 [일반] (정치글이 전혀 아닌) 남경필 전 도지사 이야기 [17] 감모여재7154 25/06/27 7154 24
104399 [일반] 요즘의 근황 (ft. 난 과연 동오의 제왕이 될 수 있을까?) [4] 간옹손건미축4431 25/06/27 4431 15
104398 [정치] 내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원…다주택자엔 아예 금지 [303] 바둑아위험해16485 25/06/27 16485 0
104397 [일반] 테러,살해예고 협박범, 마침내 잡히다 [40] 유머10243 25/06/26 10243 5
104396 [일반] 게임이용장애(=게임중독) 질병코드의 과학적 근거 없다 [161] Regentag6725 25/06/26 6725 16
104395 [일반] 일자리 알선한 이야기 [15] 공기청정기4022 25/06/26 4022 5
104394 [정치] 윤 "비공개 출석 보장 안 하면 특검 출석 힘들어" [87] a-ha11098 25/06/26 11098 0
104393 [정치] 李대통령,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 NBS 여론조사 [102] 철판닭갈비11560 25/06/26 11560 0
104391 [일반] <F1 더 무비> - 딱 매력적인 표면까지만. (노스포) [31] aDayInTheLife4914 25/06/26 4914 8
104390 [정치] '일시금' 퇴직금 시대 끝?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70] 시린비11699 25/06/25 11699 0
104389 [정치] 문형배 "'세종시 수도 이전 위헌 결정', 내 생각엔 합헌…관습헌법도 '관습'일 뿐" [94] 전기쥐12162 25/06/25 121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