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17 20:26:32
Name aurelius
File #1 netflixrevolution.JPG (93.6 KB), Download : 77
File #2 revolution2.JPG (47.2 KB), Download : 25
Subject [일반] [넷플] 라 레볼뤼시옹, 프랑스판 킹덤이네요




어제 넷플릭스에 "라 레볼뤼시옹"이라는 프랑스 시리즈가 공개되었는데 오늘 정주행 완료했습니다. 


시대적 배경은 프랑스혁명 전야이지만, 내용은 아마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당통과 로베스피에르의 등의 활약 그런건 전혀 아니고, 환타지 좀비 스릴러 활극입니다. 그래서 프랑스쪽 매체평을 검색해봤는데 역시나 혹평이 대부분이더군요... 미국은 프랑스 역사 가지고 장난치는 걸 그만두어야 한다고...(아니 근데 제작진과 배우는 모두 프랑스인이던데??)


암튼 오늘 전부 시청한 소감은 이건 프랑스판 킹덤이다.

제작진 인터뷰 보니까 실제로 한국 킹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


그리고 내용 전개 방식도 킹덤과 유사합니다. 미스테리한 살인사건. 이를 쫓는 용감한 두 명의 남녀.

민중의 편에 서면서 기존질서에 반항하는 귀족여인과 괴이한 음모를 꾸미는 그녀의 삼촌 


킹덤에서 류승룡이 좀비 바이러스로 음모를 꾸미는 것처럼

여기서는 프랑스 고위 귀족이 좀비 바이러스(?)로 음모를 꾸밉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귀족의 피는 파란색으로 변하고 강력한 힘과 영생을 얻게 됩니다,

그런데 부작용으로 인육을 탐하게 되는데, The rich eat the poor 라는 비유를 리터럴리 (...)

불멸자가 된 귀족은 머리를 잘라야만 완전히 죽게 되는데,


본 시리즈의 주인공 이름이 기요틴인게 의미심장합니다. 크크 


한편 눈으로 덮인 광장에서 죽은 귀족과 죽은 일반인의 피가 흐르면서 

광장에 프랑스 삼색기가 완성되는 장면이 있는데 이 부분은 좀 전율돋기도 했습니다.  


시즌1은 한 작은 도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로 마무리가 되는데

시즌2는 왕국의 수도 베르사유와 파리가 무대가 될 거 같네요


이것도 킹덤과 유사한 전개....(이쯤되면 로열티 지불해야 하는거 아닌가...) 


취향을 탈 거 같긴 하지만 그래도 볼만하네요 

특히 18세기 프랑스 풍경과 의상 등 연출이 훌륭하고 음악도 꽤나 흡입력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icroStation
20/10/17 20:58
수정 아이콘
앗 기요틴은 실존 인물 아닌가요? 크크
aurelius
20/10/17 21:01
수정 아이콘
이름만 따온 동명이인인 거 같습니다 크크
박민하
20/10/17 21:30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이작보다 조금 빨리 공개된 To The Lake는 러시아판 좀비물이던데 이 작품은 프랑스판 좀비물 이군요 크크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것인지 ..
투더레이크 다보고 이것도 봐야할듯!
20/10/17 21:58
수정 아이콘
관심없었는데, 쓰신 글보고 보러 갑니다 흐흐
모쿠카카
20/10/17 22:04
수정 아이콘
끙 넷플릭스 킹덤 말고
만화 킹덤인줄 알고 설레였네요
ㅜㅜ 프랑스 역사 소재 전쟁물인줄
퀀텀리프
20/10/17 22:11
수정 아이콘
조선판 프랑스판 러시아판 아프리카판 머시기판 로봇판 원시인판 미래판..
좀비 영화는 기본 흥행은 되는듯..
박민하
20/10/18 00:25
수정 아이콘
솔직히 대박은 치기힘든데, 공포물 좀비물 SF물은 콘크리트층이 단-단 그자체라 .. 그래서 SF좀비물에 가까운 에일리언이 대박을 ..?
달과별
20/10/18 02:46
수정 아이콘
좀비물이라니 제 취향은 아니라 패스해야겠군요.
The)UnderTaker
20/10/18 16:47
수정 아이콘
좀비물은 아닙니다. 그냥 죽었다가 병에 감염되면 다시 살아난다는 설정과 주기적으로 인육을 원한다는거말곤.. 좀비물특유의 단체로 튀어나와서 물어뜯는 장면은 안나옵니다. 전 솔직히 뱀파이어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네요
피디빈
20/10/18 12:08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가 킹덤IP를 가지고 있으니 이런 기획이 가능하네요. 미국판, 일본판, 영국판, 인도판, 독일판 등등 줄줄이 나올 수 있을 듯합니다.
The)UnderTaker
20/10/18 16:50
수정 아이콘
좀비라고 하기엔 뱀파이어에 더 가깝죠. 일단 가지고있던 장애나 병들이 완치되고 사람처럼 생각하고 목잘리지 않는이상 무조건 살아난다는게..
일단 프랑스매체에서 왜 혹평을 했는진 알거같네요 킹덤보다 재미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785 [일반] [도서소개] 바이든의 대북정책을 알고 싶다면 [9] aurelius8909 20/11/15 8909 2
88758 [일반] [미국] 美국토안전부, 11월 대선은 역사상 가장 안전하고 공정한 선거 [37] aurelius11489 20/11/13 11489 2
88747 [일반] [미국] 트럼프 국방부 숙청에 대한 주요 인사 반응 [31] aurelius11931 20/11/12 11931 1
88741 [일반] 바이든 인수위, 호주-일본-한국정상과의 통화내용 발표 [151] aurelius18927 20/11/12 18927 1
88731 [일반] [미국] 트럼프, 국방부 인선 대거 교체 [112] aurelius14857 20/11/11 14857 1
88723 [일반] [미국] 바이든 행정부 유력 국방장관: Michele Flournoy [40] aurelius11298 20/11/10 11298 18
88722 [일반] [미국] 공화당, 트럼프 주장에 동조하고 나서 [174] aurelius18250 20/11/10 18250 7
88702 [일반] [소개] 트위터에서 팔로우하기에 좋은 사람들 [14] aurelius11788 20/11/09 11788 6
88674 [일반] [미국] 미국은 과연 대선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을까? [46] aurelius12942 20/11/06 12942 10
88633 [정치] [미국 대선 이야기] 미국의 정치의 추락과 민낯 [110] aurelius16816 20/11/04 16816 0
88563 [일반] [유럽] 프랑스 니스 테러는 시작에 불과하려나? [86] aurelius14629 20/10/30 14629 20
88558 [일반] [속보] 프랑스 니스 성당에서 칼부림, 2명 사망 1명 참수 [125] aurelius17585 20/10/29 17585 0
88533 [정치] [뉴스] 김남국 "尹, 대검앞 화환 당장 치워라…시민 다친다" [92] aurelius11405 20/10/28 11405 0
88517 [일반] [유럽] 마크롱, 이슬람극단주의에 전쟁을 선포하다 [123] aurelius16050 20/10/27 16050 35
88466 [정치] 금태섭 의원 탈당을 응원하며 저도 탈당합니다. [240] aurelius22511 20/10/21 22511 0
88430 [일반] [넷플] 라 레볼뤼시옹, 프랑스판 킹덤이네요 [11] aurelius14056 20/10/17 14056 2
88414 [일반] [역사] 루이 14세는 발레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했는가? [6] aurelius8571 20/10/16 8571 4
88364 [일반] [역사] 로마 교황청의 역사, 기원에서 현대까지 [12] aurelius10226 20/10/11 10226 24
88313 [정치] [단상] 민주당은 민주주의를 어떻게 파괴하고 있는가 [378] aurelius19963 20/10/07 19963 0
88309 [정치] [칼럼] 진중권, "K방역 국뽕에 취한 철옹성, 재인산성 보면 그렇다" [397] aurelius21135 20/10/07 21135 0
88238 [일반] [후기] 메디치 더 매그니피센트 시즌 2, 르네상스의 명암을 보여주다 [7] aurelius11243 20/09/28 11243 7
88221 [일반] [역사] 1537년, 노예제를 금지한 교황칙령(Sublimis Deus) [5] aurelius9770 20/09/26 9770 4
88218 [일반] [역사] 어원으로 보는 서양어와 번역어, 그리고 사고방식의 차이 [9] aurelius9772 20/09/26 9772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