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16 10:17:3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루이 14세는 발레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했는가? (수정됨)

 



태양왕 루이 14세는 국왕의 권위를 극대화하기 위해 스스로 무대를 연출하고 메인 발레리노로 등장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사실 애초에 태양왕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가 스스로 발레의 주연을 맡으면서 태양신 아폴로로 분장했기 때문이죠. 


사실 이러한 무대를 연출하기 전, 루이 14세는 큰 트라우마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 이른바 "프롱드의 난"이 불린 귀족들의 반란이었는데, 당시 루이는 11세의 소년이었고 그는 섭정이었던 어머니 왕후와 근위대와 함께 파리를 탈출하고 간신히 살아남았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귀족들의 난은 진압되었고, 이 때의 기억이 강하게 남아 루이는 파리를 싫어했고 그래서 파리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베르사유에 새로운 왕궁을 짓고자 했던 것입니다. 

 

루이 14세가 본격적인 발레리노로 데뷔한 것은 Ballet de la nuit라는 작품을 통해서였습니다. 이탈리아 출신 작곡가 Jean Baptiste Lully가 만든 작품으로, 국왕의 위엄과 영광을 단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곡이었습니다. 


무려 12시간에 달하는 곡으로, 이 곡에 조연으로 참여하는 이들 입장에서는 대단한 고역이었을 것입니다. 


총 4막으로 구성된 이 곡은 어둠이 세상을 잠식할 때 태양이 나타나 어둠을 무찌르며 세상을 밝게 비추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여기서 어둠은 프롱드의 난을 일으킨 귀족을 의미하며, 태양은 루이 14세를 의미합니다. 


특히 극중 프롱드의 난에 참여했던 여러 귀족들을 요정으로 분장시켜 태양신 아폴로에게 절대적 충성을 바치는 조연으로 등장시켰는데, 이는 이들에게 굴욕감을 더욱 명확하게 안겨다주는 동시 권력이 어디에 있는지 이들에게 확실히 각인시키는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위 동영상에서 그런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나이 지긋한 귀족이 어린 왕에게 음악에 맞춰 머리를 조아리는 모습...) 

 

루이14세와 발레의 관계를 다룬 좋은 영화가 있습니다. 


제목은 "Le Roi Danse(왕의 춤)"인데, (왓차플레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영화 장면들이며 모두 루이14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춤을 통해 강력하고 위엄있고 용맹한 모습을 연출하는 왕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여담이지만 춤과 사냥 등으로 다져진 강인한 체력 덕분인지 참 오래 살기도 했죠...당대 의료수준으로 76세까지 살았으니...)   

 

Le roi danse | MFDB

le roi danse" beautiful music, dance scenes from the sun king - louis the  xiv of france. | Louis xiv, 18th century costume, Love fil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룰루vide
20/10/16 10:18
수정 아이콘
음..이미지가 외부링크 금지라고 뜨네요
aurelius
20/10/16 10:20
수정 아이콘
이제는 보일까요??ㅠ
룰루vide
20/10/16 10:23
수정 아이콘
네 보이네요
20/10/16 10:42
수정 아이콘
발레 사용의 나쁜 예
콤모두스 : Vale
동그랑땡
20/10/16 10:48
수정 아이콘
참고로 루이 14세의 왕실 음악 감독인 장바티스트 륄리는 실수로 지휘봉에 발가락을 찧은 상처가 곪아들어 죽게 된 일화로 유명합니다.
20/10/16 12:39
수정 아이콘
김동완 머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31 [정치] 보수진영의 간손미, 오이안 연합 [131] 짭뇨띠11145 25/09/06 11145 0
104930 [일반] 인생은 터프하게 [9] 밥과글4816 25/09/06 4816 32
104929 [일반] 응팔류 마을 공동 육아에 대한 환상 [210] 럭키비키잖앙13698 25/09/06 13698 4
104928 [일반]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2025) _ 흐릿한 풍경 속, 선명해지는 삶의 질문 리니시아3763 25/09/06 3763 3
104927 [정치] 대북송금에 대해서 이재명에게 누명을 씌우라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139] 네야14983 25/09/06 14983 0
104926 [일반] 자본주의는 근본적으로 무엇 때문에 양극화를 일으키는가 [62] 번개맞은씨앗3951 25/09/06 3951 4
104925 [일반] 유튜버 대도서관 자택에서 숨진채로 발견 [89] EnergyFlow14638 25/09/06 14638 1
104924 [정치]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청문회, 수사관 태도 논란 외 [75] 빼사스11287 25/09/06 11287 0
104923 [정치] 진영 논리에 절여진 보수 유권자를 '소극적 지지'로 돌아서게 한 이재명의 장점들 [191] Quantumwk10972 25/09/05 10972 0
104922 [일반] 파인애플 피자 논쟁 [17] 유동닉으로5592 25/09/05 5592 0
104921 [정치] 조국혁신당 당내 성폭력 문제 [124] 짭뇨띠11675 25/09/05 11675 0
104920 [일반] 아내 이야기 12 [10] 소이밀크러버4786 25/09/05 4786 20
104919 [일반] 사는데 대단한 무언가가 필요하진 않아요. [26] 프뤼륑뤼륑7178 25/09/05 7178 21
104918 [일반] 자고일어나니 90만원 결제.... 공통점은 광명, KT? [21] 유머8222 25/09/05 8222 4
104917 [일반] 슈카가 빵집 IPO 관련해서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 [317] 돌기름16853 25/09/05 16853 43
104916 [일반] 무엇을 위해 살아있는지 모르겠다. [43] 깃털달린뱀7944 25/09/04 7944 11
104914 [정치] 尹정부 때 삭제된 자유총연맹 '정치중립' 정관 2년만 부활 [60] 유머10707 25/09/04 10707 0
104913 [일반] 뒤틀린 황천의 호그와트, 웬즈데이 시즌2 감상 (스포유) [3] 날굴~4897 25/09/04 4897 1
104912 [정치] 나경원 "초선은 가만 있어" 그 이후 / 멈추지 않는 추나대전 [112] Davi4ever10585 25/09/04 10585 0
104911 [정치] 심우정 검찰총장이 계엄 직후 떡값을 3억원 넘게 뿌렸네요... [33] 네야8549 25/09/04 8549 0
104910 [일반] 아침에 목격한 자전거 사고 [32] 수리검7444 25/09/04 7444 4
104909 [일반] 데이터로 파헤친 한국 빵 값이 아시아 최고인 진짜 이유 [145] 예루리17645 25/09/04 17645 114
104908 [일반] 한참 뒤늦은 케데헌 후기. [23] aDayInTheLife5520 25/09/03 552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