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16 10:17:3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루이 14세는 발레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했는가? (수정됨)

 



태양왕 루이 14세는 국왕의 권위를 극대화하기 위해 스스로 무대를 연출하고 메인 발레리노로 등장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사실 애초에 태양왕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가 스스로 발레의 주연을 맡으면서 태양신 아폴로로 분장했기 때문이죠. 


사실 이러한 무대를 연출하기 전, 루이 14세는 큰 트라우마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 이른바 "프롱드의 난"이 불린 귀족들의 반란이었는데, 당시 루이는 11세의 소년이었고 그는 섭정이었던 어머니 왕후와 근위대와 함께 파리를 탈출하고 간신히 살아남았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귀족들의 난은 진압되었고, 이 때의 기억이 강하게 남아 루이는 파리를 싫어했고 그래서 파리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베르사유에 새로운 왕궁을 짓고자 했던 것입니다. 

 

루이 14세가 본격적인 발레리노로 데뷔한 것은 Ballet de la nuit라는 작품을 통해서였습니다. 이탈리아 출신 작곡가 Jean Baptiste Lully가 만든 작품으로, 국왕의 위엄과 영광을 단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곡이었습니다. 


무려 12시간에 달하는 곡으로, 이 곡에 조연으로 참여하는 이들 입장에서는 대단한 고역이었을 것입니다. 


총 4막으로 구성된 이 곡은 어둠이 세상을 잠식할 때 태양이 나타나 어둠을 무찌르며 세상을 밝게 비추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여기서 어둠은 프롱드의 난을 일으킨 귀족을 의미하며, 태양은 루이 14세를 의미합니다. 


특히 극중 프롱드의 난에 참여했던 여러 귀족들을 요정으로 분장시켜 태양신 아폴로에게 절대적 충성을 바치는 조연으로 등장시켰는데, 이는 이들에게 굴욕감을 더욱 명확하게 안겨다주는 동시 권력이 어디에 있는지 이들에게 확실히 각인시키는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위 동영상에서 그런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나이 지긋한 귀족이 어린 왕에게 음악에 맞춰 머리를 조아리는 모습...) 

 

루이14세와 발레의 관계를 다룬 좋은 영화가 있습니다. 


제목은 "Le Roi Danse(왕의 춤)"인데, (왓차플레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영화 장면들이며 모두 루이14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춤을 통해 강력하고 위엄있고 용맹한 모습을 연출하는 왕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여담이지만 춤과 사냥 등으로 다져진 강인한 체력 덕분인지 참 오래 살기도 했죠...당대 의료수준으로 76세까지 살았으니...)   

 

Le roi danse | MFDB

le roi danse" beautiful music, dance scenes from the sun king - louis the  xiv of france. | Louis xiv, 18th century costume, Love fil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룰루vide
20/10/16 10:18
수정 아이콘
음..이미지가 외부링크 금지라고 뜨네요
aurelius
20/10/16 10:20
수정 아이콘
이제는 보일까요??ㅠ
룰루vide
20/10/16 10:23
수정 아이콘
네 보이네요
20/10/16 10:42
수정 아이콘
발레 사용의 나쁜 예
콤모두스 : Vale
동그랑땡
20/10/16 10:48
수정 아이콘
참고로 루이 14세의 왕실 음악 감독인 장바티스트 륄리는 실수로 지휘봉에 발가락을 찧은 상처가 곪아들어 죽게 된 일화로 유명합니다.
20/10/16 12:39
수정 아이콘
김동완 머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674 [일반] [미국] 미국은 과연 대선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을까? [46] aurelius12834 20/11/06 12834 10
88563 [일반] [유럽] 프랑스 니스 테러는 시작에 불과하려나? [86] aurelius14537 20/10/30 14537 20
88558 [일반] [속보] 프랑스 니스 성당에서 칼부림, 2명 사망 1명 참수 [125] aurelius17492 20/10/29 17492 0
88517 [일반] [유럽] 마크롱, 이슬람극단주의에 전쟁을 선포하다 [123] aurelius15965 20/10/27 15965 35
88430 [일반] [넷플] 라 레볼뤼시옹, 프랑스판 킹덤이네요 [11] aurelius13974 20/10/17 13974 2
88414 [일반] [역사] 루이 14세는 발레를 어떻게 정치적으로 이용했는가? [6] aurelius8506 20/10/16 8506 4
88364 [일반] [역사] 로마 교황청의 역사, 기원에서 현대까지 [12] aurelius10069 20/10/11 10069 24
88238 [일반] [후기] 메디치 더 매그니피센트 시즌 2, 르네상스의 명암을 보여주다 [7] aurelius11140 20/09/28 11140 7
88221 [일반] [역사] 1537년, 노예제를 금지한 교황칙령(Sublimis Deus) [5] aurelius9652 20/09/26 9652 4
88218 [일반] [역사] 어원으로 보는 서양어와 번역어, 그리고 사고방식의 차이 [9] aurelius9659 20/09/26 9659 14
88215 [일반] [역사] 라틴교회는 어떻게 시민사회의 선구자가 되었나? [4] aurelius8567 20/09/26 8567 12
88209 [일반] [역사] 중세말기 로마를 부활시키고자 했던 사나이 [11] aurelius9958 20/09/25 9958 12
88185 [일반] [역사] 중세시대에도 위키피디아 같은 게 있었나? [11] aurelius9694 20/09/23 9694 5
88167 [일반] [역사] 스페인 귀족들은 금발벽안이었을까? [14] aurelius11276 20/09/21 11276 8
88157 [일반] [외드] 넷플릭스 신작, 라 레볼루시옹 [8] aurelius18172 20/09/20 18172 2
88034 [일반] [시사] 바이든의 당선은 중국 입장에서 재앙입니다 [63] aurelius14501 20/09/10 14501 9
88012 [일반] [신간] 도미니언: 기독교는 어떻게 서양의 세계관을 지배하게 되었는가 [15] aurelius9475 20/09/08 9475 9
88009 [일반] [단상] 서구문명의 힘의 원천? - 정신적 측면에서 [12] aurelius8512 20/09/08 8512 11
88007 [일반] [뉴스] 삼성전자, 美 버라이즌과 8조 규모 5g 공급 계약 체결 [32] aurelius13550 20/09/08 13550 12
87999 [일반] [시사] 동지중해의 화약고, 그리스와 터키 [42] aurelius11516 20/09/07 11516 4
87996 [일반] [시사] 유럽에서의 중국의 외교적 파탄 [230] aurelius23880 20/09/07 23880 28
87930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완) [102] cheme17519 20/09/02 17519 82
87925 [일반] [시사] 미국, 인도태평양 지역에 NATO 같은 기구 추진 시사 [244] aurelius17579 20/09/01 1757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