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9/25 14:14:29
Name Leeka
Subject [일반]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대출 금리가 올랐습니다 (수정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4894303

카카오뱅크 -> 신용대출 최저 2.01% -> 2.16%로 인상 (금일 적용됨)

우리은행 -> 신용대출 우대금리 3종 변경 (공과금,관리비 0.1% 삭제,  대기업 우대금리 0.1% 삭제, 우대금리협약 기업 직원 0.6%->0.3%로 하향)
을 통해 최대 0.5%까지의 금리 인상을 만들었으며,   어제 적용되었습니다.

케이뱅크 -> 신용대출 최저 2.03% -> 2.13% / 마이너스통장 2.43% -> 2.63% (18일 적용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77&aid=0004762418

마이너스 통장의 경우에는 이제 1년 만기 연장 시, 미사용 한도에 대한 한도를 더 크게 줄이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이며
(기존에도 줄이긴 했습니다..  그 수치만 조정되는것 같네요)

신용대출의 경우 만기 후 재연장 시, 기존엔 한도를 그대로 유지해주는게 관례였으나.
한도를 조금씩 낮추는 쪽으로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초저금리가 이어지고

주식이 1400 -> 2400
부동산이 50%씩 급등하는게 겹쳐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신용대출 + 마이너스통장을 활용해서 대출금액을 늘리고.
늘린 금액이 부동산에 돌면서 신고가 상승에 기여 & 카카오게임즈등의 신규 청약 주식 광풍.. 을 만들고 있다고 판단한것으로 보입니다.


단지, 코로나 이슈로 인해 정말 돈이 급해서 대출을 쓰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서 구분이 쉽지 않은 상태고
기준 금리가 계속 내려가고 있는 만큼. 위 조치는 임시방편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실물 경제는 어렵고 + 금리는 초저금리인데 + 자산 가치는 쭉쭉 올라가는 상태가 세계적인 트렌드긴 해서

일단 코로나라도 빨리 해결되어서 실물 경제라도 좀 살아났으면 좋겠네요..  정말 어려운 시대인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행복2017
20/09/25 14:17
수정 아이콘
신용대출 만기연장 시 한도축소는 연평잔액 기준으로 한도축소라서 기존 대출금 상환까지는 안가는거 아닌가요? 저는 이 내용으로 들었었어서요
20/09/25 14: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가요?.. 제가 이해를 잘못한거일수도 있겠네요..
저는 마통은 사용안한 한도를 축소, 신용대출은 원래 나왔던 금액 기준으로 조금씩 감량.. 으로 이해했었거든요.

신용대출 만기 연장 심사도 엄격해질 전망이다. 이를 통해 차주의 대출 한도를 줄이고 일부를 상환토록 하는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통상 신용대출의 만기연장은 1년 주기로 진행된다. 대출이 갱신된다는 의미에서 신규 대출처럼 한도를 조정할 수 있지만, 그동안 은행권에서는 이미 진행된 대출로 취급해 한도를 축소하지 않는 게 관행이었다. 전화통화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으로 쉽게 만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차주에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경우 한도도 유지돼왔다.

기사 내용도 이렇고 해서..

실 내용이 다를수도 있으니 일단 본문에 대출금 상환 내용은 수정했습니다 (__)
잠만보
20/09/25 14:18
수정 아이콘
부자는 돈을 더 벌기 위해 대출하고, 없는 사람은 당장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대출하는 참 어려운 시대입니다
앙몬드
20/09/25 14:37
수정 아이콘
다른 대출은 관계 없이 신용만 늘리는건가요?
20/09/25 15:05
수정 아이콘
어... 케이뱅크 대출 다시 되나 보네요. 그냥 볼 때마다 계속 불가능한 상태였었는데
부기영화
20/09/25 17:00
수정 아이콘
업비트 실명인증 계좌를 케이뱅크로 바꾸면서, 케이뱅크 가입자도 갑자기 늘고 뭔가 살아나는 느낌... 그 동안은 거의 죽은 거나 다름없었죠...
이쥴레이
20/09/25 15:11
수정 아이콘
변동 금리로 마이너스 통장 해놓았는데.. 올랐네요. 크크..
0.5 정도면 내가 한달에 얼마를 더 내야되나.. 하.. ㅠㅠ

저축하는 시대에 금리가 오르면 좋지만 대출하는 시대에 금리 인상은.. 으..
샤한샤
20/09/25 15:31
수정 아이콘
세계최초 신용비례 금리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
소독용 에탄올
20/09/25 15:47
수정 아이콘
대출금리는 원래 신용에 연동되는거 아닌가요?
고신용자 금리우대 축소랑 관치금융 쪽 문제같아보입니다....
샤한샤
20/09/25 16:04
수정 아이콘
아아 저소득자 금리는 나라에서 내줘야한다면서 고소득 고신용자 대출 막는 코메디에 대해 이야기하려던겁니다
신용이 올라가면 금리는 내려가야하니까요
소독용 에탄올
20/09/25 17:09
수정 아이콘
생계비 쓸거 아니면 가능한 빌려주지 마라 하는거네요....
회색사과
20/09/25 16:30
수정 아이콘
신용이 높으면 대출이 많이 나오고 금리가 낮아 하는데

고소득 고신용자가 신용으로 투자한다고
대출 줄이고 금리 높이라 하셨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0/09/25 17:08
수정 아이콘
관치금융으로 대출을 찍어누르려는 생각인것 같은데, 미묘하게 은행 실적개선 효과가 있으려나요.....
AttackDDang
20/09/26 05:00
수정 아이콘
아뇨. 은행은 고신용자 대출잔액이 줄어드니 서브프라임대출비중이높아지는효과로 은행신용도 악화 은행실적악화 아닐까요?
20/09/25 15:53
수정 아이콘
신용이 좋으면 금리는 내려가야 하는데, 역으로 된 상황을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20/09/25 16:2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다같이 올리면 일단은 은행 수익성이 오르긴 하려나요?
20/09/25 16:22
수정 아이콘
빌려주는 양도 줄어들어서.. 수익성으론 안좋을거 같은데..

막상 규제한다고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얼마전에 마통 영끌이 엄청나게 늘어났기 때문에... (가수요자들도 미리 받아버린).. +- 가 있을거 같네요..
20/09/25 17:58
수정 아이콘
대출 같은거 한 번도 안받아봤는데,
카뱅 가입해서 비대면으로 바로 대출 받아지나요?
직장 다니거나 한달 소득 같은거 기입하고
대출금액 정해지거나 하는거에요?
20/09/25 18:03
수정 아이콘
온라인으로 검사할 수 있는 내역들을 자체적으로 확보해서 얼마까지 된다 이런걸 알려줍니다.
증명할 수 있는 내용이 확실하면 큰 문제 없습니다.
20/09/27 01:27
수정 아이콘
신용대출은 공인인증서가 있고 한도만 나온다면 심사없이 바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카뱅만 그런건 아니고 국민은행이나 하나은행등도 되요. 소득은 대략적으로 입력하는데(아예 안하는곳도 있구요) 어차피 스크래핑통해서 재직여부 및 현재 급여를 알수있기 떄문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
아이고배야
20/09/25 18:24
수정 아이콘
다음엔 정권 바뀔 거 같네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5382 25/10/21 5382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3] 철판닭갈비13338 25/10/21 13338 11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30] 깃털달린뱀5684 25/10/20 5684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3838 25/10/20 3838 26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6018 25/10/20 6018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3552 25/10/20 13552 23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4884 25/10/19 4884 2
105237 [일반] 로봇청소기 먼지통이 장착안되어 있다는 에러 메시지가 뜰때. [3] 헝그르르7420 25/10/18 7420 8
105236 [일반] 넷플릭스 공개작 '굿뉴스', 매력적인 기승전결 [15] 빼사스11141 25/10/17 11141 0
105235 [일반] <그저 사고였을 뿐> - '그저'의 올가미 속에서. (노스포) [6] aDayInTheLife6079 25/10/17 6079 1
105234 [일반] 중세 저지대의 경제·사회 발전 [2] 계층방정7785 25/10/17 7785 12
105231 [일반] 제19회 2025년 국제 쇼팽 콩쿠르 파이널 진출자가 발표됐습니다. [24] 계층방정8147 25/10/17 8147 2
105230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9] 푸끆이5474 25/10/17 5474 7
105221 [일반] 추억돋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00년전의 전세계 시가총액 탑텐 기업들 [16] 이게무슨소리5564 25/10/16 5564 2
105220 [일반] 마누라 교체에 2조? 대법, 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파기환송 [94] atlas8037 25/10/16 8037 0
105213 [일반] 금 1돈 85만원까지 올라 [53] 손금불산입8226 25/10/15 8226 0
105212 [일반] 우리는 어째서 인문학 '따위를' 공부해야만 하는가 [57] 솔로몬의악몽5828 25/10/15 5828 40
105203 [일반] 스파르타 전사의 삶을 알아보자 [24] 식별7797 25/10/14 7797 16
105202 [일반] ??? : 전원 구조 준비 완료되었습니다 [62] 라주미안10339 25/10/14 10339 0
105200 [일반] 영포티론에 대하여 – 40대 남성은 20대 여성을 욕망해도 되는가 [138] 솔로몬의악몽11376 25/10/14 11376 12
105199 [일반] 댄스 필름 촬영을 이어오면서의 소회. [19] 메존일각4795 25/10/14 4795 26
105196 [일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용병대장의 최후 [2] 식별4888 25/10/13 4888 23
105193 [일반] 닉네임 변경 기간 연장 공지 [26] jjohny=쿠마5405 25/10/13 540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