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9/11 05:59:53
Name esotere
Subject [일반] 이 곳에서, '나'는 단수이다. (수정됨)
일에 치여 바쁜 하루를 보낸 A는 샤워를 마치고 바로 컴퓨터를 켠다. 몇 번의 클릭 후 A는 수백, 수천, 혹은 수만의 사람들과 함께 방송인의 게임플레이를 지켜본다. 방송을 시청하며 A는 자신의 감상을 그 누구도 읽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차올라가는 채팅창에 던진다. 찰나가 지나간 후 A의 것과 비슷한 내용의 수많은 채팅들이 스크롤을 채운다.

이 '소통의 장'에서, A는 이름도, 얼굴도 없다. 만약 어떤 유능한 프로그래머가 채팅이 빠르게 올라가는 타이밍에 올라오는 채팅을 복사하여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A와 봇은 그 어떤 차이도 없을 것이다. '자 보아라, 중국어 방이 이와 다르지 않지 않느냐' 하고 그 프로그래머는 자랑스레 선언할 일일 지도 모른다.

이 곳에서 A는 과연 누구일까? "나는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좋다. 이 인터넷 방송의 세계에서 A는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는 있겠다. 하지만 그 이상은? 이렇게도 유아론적인 환경에서 A는 어떻게 자신을 소통할 수 있을까? A는 자신이 잘 짜여진 인공지능 이상의 무언가임을 주장할 수 있는가? "난 A다, 난 A다" 라고 아무리 소리 높여 외쳐도, 주변의 모든 이가 "난 A다, 난 A다" 라는 말을 같이 외친다면 그것이 통할 리가 없다. 그야말로 실존의 위기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A는 주변인들이 자신을 무시할 수 없도록 인격을 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떠올릴 수 있는 가장 날카롭고, 혐오스럽고, 불쾌한 이가 되어 주위를 놀라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있어 절충안은 없다. 시끄러운 군중 사이에서 응애가 으악이 될 때까지 아이는 목놓아 울부짖는다. 조금이라도 타협하는 순간 아이의 울음은 군중의 웅성거림에 묻혀버릴 것이리라는것을 아이는 본능으로서 느끼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바로 같은 그 본능으로서 A는 타협 없는 악랄함으로 주위에 충격을 일으킨다. 이로서 A는 자신을 관철하는 것이다.

그 반대로, A는 그런 악당이 되는 대신에 그 악당을 가장 첨예하게 단죄하는 백기사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타협은 없다. 정의의 시합에서는 악당을 가장 능숙하게 처단하는 이가 우승자가 되기 때문이다. 마녀를 단죄하는 이단심문관의 열정으로, A는 자신의 열과 성을 다해 이단을 색출해내고 처단함으로서 자신을 드러내보이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소통의 장'에서 A는 단수이다. 그 누구도 A를 받아들이지 않고, 그 누구에게도 A는 자신을 줄 수 없다. 하릴없이 악당으로 분장하여 일부러 혼란을 일으키거나, 허상 뿐인 악당을 색출해내어 정의를 위해 단죄하거나의 두 고독한 방법으로서만 A는 자신을 관철할 수 있는 것이다.



https://pgr21.com/humor/397197 를 보고 써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20/09/11 07:23
수정 아이콘
영도느님 글이 보고 싶네요...
20/09/11 12:02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20/09/11 10:42
수정 아이콘
추천
20/09/11 12: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09/11 14:02
수정 아이콘
기분 전환하러 스쿠터를 타고 서울을 돌다보면 정말 많은 관계들을 느낄수 있어요.
컴퓨터 앞에서는 안다고 생각하지만 볼 수 없었던 것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20/09/11 23:16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의 만남이라는 것이 거리나 상황 같은 제약을 덜 타는 장점이 있지만 사람을 만난다는 것의 생경한 감정은 목소리와 비주얼 같은 것이 없이는 성립될 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각각의 장점만 취할 수 있으면 현명한 것일 거에요.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igurRos
20/09/11 20:05
수정 아이콘
추천하고 가요~~
20/09/11 23: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264 [일반] 소위 스윗펨남 분들께 드리는 말씀 [126] 실제상황입니다18891 21/04/10 18891 27
91187 [일반] [번역] 현대미술은 미국 CIA의 무기였다.(Modern art was CIA 'Weapon') [23] 위대함과 환상사이12416 21/04/04 12416 22
90515 [일반] [성경이야기]시내산과 율법 [9] BK_Zju8967 21/02/20 8967 7
90364 [일반] 왜 교회가 방역의 타겟이 되는가에 대한 답변 [71] 미스터콩밥왕10199 21/02/10 10199 31
89960 [정치] 검찰수사권 폐지 서약으로 진문감별중인 조국지지자모임 [74] 맥스훼인12625 21/01/10 12625 0
89081 [일반] 고스트 바둑왕. 사이와 토우야명인의 마지막 대국 [26] Love&Hate18507 20/12/05 18507 35
89051 [일반] ???: 아빠가 내 이름으로 장난친 썰 푼다. [88] 이교도약제사13273 20/12/04 13273 8
88488 [정치] 도매금 [73] 烏鳳7413 20/10/23 7413 0
88376 [일반] 산속 연수원서 연 1박 2일 기독교 행사에 내외국인 3천명 모였다 [58] 리자몽12054 20/10/12 12054 4
88364 [일반] [역사] 로마 교황청의 역사, 기원에서 현대까지 [12] aurelius10113 20/10/11 10113 24
88209 [일반] [역사] 중세말기 로마를 부활시키고자 했던 사나이 [11] aurelius9985 20/09/25 9985 12
88185 [일반] [역사] 중세시대에도 위키피디아 같은 게 있었나? [11] aurelius9722 20/09/23 9722 5
88055 [일반] 이 곳에서, '나'는 단수이다. [8] esotere8500 20/09/11 8500 6
87398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7부 - 르네상스의 교황들 (1) [3] aurelius7970 20/07/28 7970 11
87392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6부 - 아비뇽 유수 [8] aurelius8656 20/07/27 8656 10
87386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5부 - 교황 권력의 절정기 [4] aurelius8029 20/07/26 8029 15
86951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7 [8] PKKA6934 20/06/27 6934 10
86459 [일반] [역사] 건축으로보는 기독교 성당의 역사 [7] aurelius9539 20/05/29 9539 9
86425 [일반] [역사] 로마대법전으로 보는 기독교의 위세 [7] aurelius7471 20/05/27 7471 8
86247 [일반] 여자친구 생기면 같이 보려고 안보고 있는 영화 5편... [57] 웃어른공격12715 20/05/15 12715 2
85851 [일반] 세종대왕은 언제적 왕일까? [30] 아우구스투스10307 20/04/25 10307 0
85139 [일반] [외신] 현재 스페인 최대 일간지 제1면 [279] aurelius24167 20/03/16 24167 45
84836 [일반] 코로나19 의 재발 방지를 위한 생각들 [107] 퐌느9770 20/03/03 9770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