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8/30 19:30:22
Name minyuhee
Subject [일반] 지방 국민학생 근황
내 거주지의 가장 큰 단점은 KFC가 없다는 것이다.
맘스터치가 신흥강자로 부흥하기 이전 맥도날드는 시내에 있을 뿐이고, 시민들은
롯데리아에 의존해야 했다.

나를 포함한 약 20여명은 모두 지방의 듣보잡 인문계 고교 졸업생으로 명문대 출신은 없다.
어중간한 실력으로도 값비싼 등록금을 지불하면 졸업할 수 있는 지방 사립대 출신이 다수다.
몇몇 유명학과와 종교단체 직속이란 점으로 지잡대치고는 명성이 있다. 고졸자 4명, 대졸자 16명,

12명이 공무원 시험준비 경력이 있으며, 그 중 3명이 성공하였다.
현재 전문직에 비할 수 있는 직위는 20명 중에 해군 소령 1명 뿐이다.
공무원 외에 10명은 안정적인 정규직. 정규직 중 5명은 가업을 물려받았으며
5명은 직접적인 도움 없이 취업에 성공했다.  
남은 6명 중 3명은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으나 가업을 이어받을 수 있는 등, 여건이 있고,
2명은 안정적인 직장 없이 생활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 그리고 1명은 아직도 고시원 생활중.

가업을 물려받거나 창업비용을 마련해주는 등 대학졸업 이후에도 부모의 은혜를 입은 것은
가업을 받은 5명과 다른 3명을 더해 8명으로 40%. 2명은 반대로 집안을 위해 상당한 시간 및 재산을
소비해야 하는 것으로 은혜를 갚았다. 5%인 1명은 부양의무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뢍으로,
부모와 자신의 생활비를 마련해야 한다. 자가용 보유자는 60%다.  
주택을 제외하고 월급의 200% 미만 자산을 보유한 것은 2명, 8명은 200 ~ 1200%,
8명은 연봉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2명은 부모자산 중 상속비율과 개인자산을 합쳐 5억 이상의 중산층이다.

20명중 7명은 수도권으로 전입, 5명은 다른 지방으로, 8명은 고향에서 생활중이다.
기혼자는 40%인 8명이며 3명은 자녀 없는 딩크족, 다른 5명은 1-2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기혼자 8명중 전업 주부 아내는 2명으로 25% 비율이다.
현재 결혼을 전제로 교제하거나, 결혼 전제 중매를 볼 수 있는 여건을 가진 것은 5명.
4명은 현재는 여건이 안 되지만 차후에는 여력을 갖출 수도 있다. 남은 3명은
특별한 성공이 없는한 결혼할 여력을 가지지 못할 것이다.
여건을 가진 5명중 2명은 결혼조건으로 페미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달아두고 있다.

기혼자들 8명 중에 6명은 아파트 소유, 2명은 전세 아파트에 거주중이다.
4명은 단독생활 자취, 8명은 부모와 주거중이다.
하드코어 덕후는 4명이 있고, 다른 16명은 과거 블리자드게임을 했으며 원나블을 알고,
진격의 거인과 귀멸의 칼날을 알고 있는 라이트덕후다.
플스4 보유자는 덕후 4명이지만 스위치는 그보다 많은 7명이다.

아이폰 유저는 4명, 안드로이드 유저는 16명. 안드로이드 16명 중 2명은 각종 커스텀롬과 해외폰을
구매하는 폰덕, 그 외에 최신폰 덕후는 없으며 그냥저냥 갤럭시 유저들이다.  
1명은 심각한 탈모로 삭발, 3명은 탈모 초기증세, 다른 16명은 아직은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
흡연경험자는 절반 정도이며, 아직까지 흡연을 유지하는 흡연자는 4명 정도다.
5명은 직접 술을 사서 마시는 음주가, 4명은 금주가, 다른 11명은 자리에서 마시는 일반인이다.
직계가족이 노년에 이르기 전 병사한 경험은 3명이 있으며, 1명은 직계가족의 불운한 사고사를 겪은 경험이 있다.
또한 가족 중 자립생활이 불가능한 장애자를 둔 것은 1명이다.

교회덕후가 1인, 직업 종교인이 1인, 3명은 종교부정론자. 15명은 필요하면 종교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입장.  
정치적으론 안철수가 원하는 강경중도 유권자는 1명에 불과하다.
4명은 정치부정론자, 15명은 약한 민주계였다. 민주계 15명중 8명은 민주계를 탈퇴하였고,
탈퇴자들의 반은 정치부정론자로, 반은 중도파로 돌아섰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상한가역반응
20/08/30 20:21
수정 아이콘
소규모 통계자료같으면서 재밌는 글이네요.
잘 봤습니다.
아마추어샌님
20/08/30 20:22
수정 아이콘
제가사는 동네 KFC 놔드리고 싶네요.
20명중 8명이 고향생활이라..
8명중 3명이 고향인 제주변과 비슷하군요.
그리고
20/08/30 20:34
수정 아이콘
진해의 느낌이네요
20/08/30 20:53
수정 아이콘
진해는 종교단체 직속인 사립대는 없는걸로 알아서...그 이전에 진해에 대학교 자체가 해사 말고는 없습...
Scarecrow
20/08/30 21:01
수정 아이콘
진해는 1년전인가 2년전에 버거킹이 생겼습니다..!
박근혜
20/08/30 20:45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흐흐
20/08/30 20:56
수정 아이콘
제게 kfc는 매력이 없는데.. 사는 곳이 맥딜리버리가 안되서 그것만 되면 좋겠네요
20/08/30 20:57
수정 아이콘
사회학 자료 같기도 하고, 문학작품 같기도 한 삶의 조각. 잘 읽었습니다!
캬옹쉬바나
20/08/30 21:06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도 맘스터치는 있는데 버거킹과 KFC는 없습니다 흐흐.. 그래도 도심으로 가면 있어서 약속 있으면 무조건 도심으로 갑니다
박정희
20/08/30 2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도권 비평준화 마지막 세대입니다. 소위 말하는 경기도 비평준화 고교 나왔습니다. 저도 톡방에서 꾸준히 소통하는 친구 20명 정도 있는데 그동안 보고들은 거 토대로 정리해 봤습니다. 제가 알기로 친구 부모님들 중에 물려줄 사업체가 있다거나 한 경우는 2명 정도 있습니다.

거주지 - 서울 6(마포 동작 등 전원 비강남), 인천 1, 해외 2, 나머지는 경기도(안양 용인 수원 등)

대학 - 스카이 5, 지방대 1(이후 미국유학으로 석박사), 나머지는 서강 성대 중대 동대 등 서울 4년제

직업 - 전문직 7(문과 전문직), 공무원 1(군인), 자영업 2, 나머지는 회사원(정확한 회사명 까지 아는 대기업 정규직의 경우는 3명)

부동산 - 자가임이 분명한 경우가 4명(서울 2 경기 2 아파트), 부모에 얹혀사는 경우 0 부동산 이슈 나오면 집값 폭등에 대해 분개하는 분위기

주식 - n년차 투자하는 친구 7명. 한명은 전업투자자(위에서 자영업으로 계산)

자산 - 친구들의 순자산은 모르지만 최소 2명이 주식 투자액 2억원 이상. 순자산 10억 돌파가 확실한 친구 1명(금융권)

급여 - 구체적 액수는 알 수 없으나 대한민국 도시 노동자 평균 임금보다는 모두 높은 것으로 알고 있음.

혼인 - 비혼 4, 기혼 13, 3명은 상대자는 있는데 코로나로 날짜를 못잡음. 13명 중 자녀 있는 경우 7명.

탈모 - 3명은 확실한데 본인들은 부정하는 중.

흡연 - 최소 6명 흡연자

종교 - 개신교인이 최소 5명인데 프로필에 성경말씀만 올릴 뿐 전도 비슷한 것도 한적이 없음. 전원 전광훈 극혐함

정치 지난 대선 기준으로 홍준표 1, 심상정 2, 유승민 2는 공개 커밍아웃했고 나머지는 전부 문재인으로 보임.

총선 기준으로 미통2, 정의2는 확실하고 나머지는 민주당 찍거나 기권. 대선 때 문 찍었다가 반문으로 돌아선 경우가 3명정도 있는데 도저히 태극기 부대는 못밀어주겠다고 했었음.

민주당 성향 친구들도 흔히 말하는 대깨x는 아니고 상대우위로 민주당을 택한 케이스. 조국 정국 때는 오히려 정의당 성향 친구가 먼저 톡방에 관련 이슈 이야기를 많이 했음.(미통당 성향 친구는 정치 이야기 자체를 잘 안함)

게임 - 고등학생 때는 스타를 많이 했고 20명 중 최소 10명은 피시방 정규 멤버. 7명은 와우 정기결제로 1년이상 플레이 경험 있음. 오버워치 발매 당시 정규멤버 6명, 롤 한창 때 1년 이상 한 사람 2명. 스타 리마스터로 아직도 하는 사람 4명.(pgr리그도 참가했는데 요새도 하고 있는지는 안물어봄)
minyuhee
20/08/30 21:32
수정 아이콘
과연 수도권 시민들과 지방의 격차는 상당하군요.
박정희
20/08/30 21:33
수정 아이콘
근데 제 주변 친구들이 수도권 평균은 아닐거라 보니 감안하고 비교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20/08/31 10:09
수정 아이콘

[탈모 - 3명은 확실한데 본인들은 부정하는 중.]

이거... 이 부분이 너무 슬퍼요 흑흑
박정희
20/08/31 12:21
수정 아이콘
친구들 모임하면 꼭 모자를 쓰고 나오고 절대 벗지 않는....
답이머얌
20/08/30 21:51
수정 아이콘
세종은 인구 30만 규모에도 불구하고 맥도날드가 없습니다. 조치원 구시가지는 모르겠고, 세종신도시 기준입니다.
초보롱미
20/08/30 22:10
수정 아이콘
이 정도의 정보를 아는 20명이 있다는게 제겐 더 놀라운 일이라서--;;
20/08/31 00:3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시내에 맥도날드는 있었네요..
한사영우
20/08/31 06:31
수정 아이콘
지방 대학 동기 모임 남자 12명 여자 7명 모임 리서치 하면 재미 있겠네요 우선 고향에 남은 인원 저 포함3명 수도권 9명 타지방 7명 이네요
마제스티
20/08/31 09:28
수정 아이콘
지방민으로서 재밌네요
경험론적이고 실증적인것 같습니다
20/08/31 10:39
수정 아이콘
강남 서민 이야기 썰 풀어보고싶네요
영고의 인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632 [정치] [미국 대선 이야기] 트럼프 선전의 이유 - 민생과 메시지의 힘 [102] 종합백과16874 20/11/04 16874 0
88397 [일반] 35개월 아기와 소아정신과 다녀온 이야기 [51] 비싼치킨16347 20/10/14 16347 68
87881 [일반] 지방 국민학생 근황 [20] minyuhee11325 20/08/30 11325 12
87493 [일반] 양적완화의 시대 [69] 이오스10713 20/08/03 10713 9
87224 [일반] 부산 신혼부부 실종사건 [42] 청자켓20972 20/07/13 20972 0
86974 [정치] 민주당과 기재부의 2라운드 [53] chilling11802 20/06/29 11802 0
86931 [일반] 세금이 강제노역과 무엇이 다르냐는 물음. [109] 박수갈채9262 20/06/26 9262 5
86841 [일반] [개미사육기] 신설비 설치 (사진 있어요) [20] ArthurMorgan7226 20/06/22 7226 20
86395 [정치] 기본소득 가즈아? [264] 과객A21689 20/05/25 21689 0
86242 [일반] [12] (삼국지) 화타, 방술이 아닌 의술 [15] 글곰7937 20/05/15 7937 7
85687 [일반] 제 얘기를 잠시 여기다 적겠습니다. (2) [29] 앎과모름의차이11561 20/04/13 11561 5
85672 [일반] 독일 정부 보고서 : 우리는 어떻게 하면 COVID-19를 통제할 수 있을 것인가 [27] 키리기리16045 20/04/12 16045 30
85668 [일반] BCG 불주사가 갈랐다?…코로나19 사망률 나라마다 20배 격차 [21] 유랑15168 20/04/12 15168 0
85586 [일반]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산소치료를 받고 있다고 하네요. [37] 훈수둘팔자17927 20/04/06 17927 2
85576 [일반] aurelius님께서 추천해주신 기사를 번역해보았습니다. [27] 간옹손건미축14091 20/04/06 14091 68
85417 [일반] 코로나 19가 심장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23] 후상13287 20/03/29 13287 9
85225 [일반] 우한과 이탈리아의 초기 전염 [18] SC214405 20/03/20 14405 42
85103 [일반] [닛케이 비즈니스]한국의 의사에게 물어본 코로나 감염의 현 상황(스압) [74] 키타시로16842 20/03/15 16842 5
85015 [일반] 테스트와 방역 [14] SC28705 20/03/12 8705 29
85007 [일반] 구로 콜센터 관련 확진자가 90명을 넘었습니다. [58] Peril16398 20/03/11 16398 1
84956 [일반] "대구 아냐" 5번 거짓말한 환자..서울백병원 방문 [75] 청자켓15235 20/03/09 15235 8
84840 [일반] [토막글] 오쿠보, 정한론에 왜 반대했나? [7] aurelius6523 20/03/03 6523 3
84693 [일반] 중앙임상위원회 브리핑: 발생 60일경에 정점, 경증 환자 자택 치료 기준 마련 예정 [51] SaiNT12016 20/02/26 12016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