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8/28 16:34:48
Name 방향성
Subject [일반] 비인기 전공 공학박사들은 어디에 취직했는지....
한국에서 공대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나면 대개 2가지 길이 놓여집니다.
1.해외 포닥
2.대기업 연구소 취업

대개 1의 길을 선택하는 사람은 이후의 경로를 교수 혹은 좋은 지역의 국책연구소 연구원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대학원에서의 논문이 좋고 학부에서의 성적도 우수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High risk, high return을 노리는 거죠. 이분들에게는 대개 다음의 길이 열립니다.

1-1 귀국 후 국립대 교수 (논문을 많이 썼고, 마침 채용 공고가 나는 경우)
1-2 귀국 후 국책연구소 채용 (논문을 많이 썼고, 국립대 채용공고가 없는 경우, 혹은 기타의 경우)
1-3 귀국 후 박사 학위 취득 대학에 포닥 재취업 (위 2가지에 실패하는 경우)
1-4 귀국 후 대기업 연구소 취업 (1-3 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1-5 해외 다른 연구소 포닥 혹은 기존 연구소 포닥 연장계약
1-6 해외 교수 취업, 해외 기업 채용

1-1, 1-2, 1-6 정도까지는 해외 나가기 전에 고려하던 선택지인데, 1-3, 1-4, 1-5는 사실 해외 포닥을 나가기 전에 미리 고려하는 선택지는 아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경로는 비인기 전공이나 인기 전공이나 유사합니다. 요즘은 인기전공의 경우에는 대기업연구소 말고, 돈 많이 주는 벤처나 스타트업으로 가는 경우도 있죠.

제가 모든 전공을 다 알 수는 없기 때문에, 비슷한 시기에 저의 연구실과 옆 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통상 학부를 어디서 나왔느냐도 위의 경로에 영향을 미친다고들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래 명단을 살펴보니 보통 3개의 상위 대학과 서울에 소재한 연세, 고려, 한양대 등 서울 안에 있는 대학에서의 학부를 졸업한 경우가 많이 있네요.

A SKP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대기업 연구소
B KPS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대기업 연구소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C PSK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D SKP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국책 연구소
E KPS 학부 졸업-박사 졸업 - 해외 포닥-수도권 대학 조교수
F PSK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국책 연구소
G SKP 학부 졸업-박사 졸업 -지방 대기업 연구소
H 인서울 학부 졸업-KPS 박사 졸업 -지방 대기업 연구소
I 인서울 학부 졸업-PSK 박사 졸업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J SKP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K KPS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L PSK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수도권 대기업 연구소
M 인서울 학부 졸업-SKP 박사 졸업 -지방 대기업 연구소
O KPS 학부 졸업-박사 졸업 - 포닥- 지방 사립대 교수
P PSK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국책 연구소
Q SKP 학부 졸업-박사 졸업 - 지방 대기업 연구소-지방 국책 연구소
R 인서울 학부 졸업-박사 졸업 - 해외 포닥-지방 국립대 교수
S,T,U,V,X,Y,Z 등등등....

수도권 소재 대기업 연구소는 큰 몇개에서 대부분 채용하고 있지 않나 싶어요. L은 서울 내에 있는 반면 S는 서울에서 부터 오산까지 범위가 넓죠. H도 서울에서 부터 서울 근처와 좀 먼 곳 까지 다양합니다. 지방은 동해안에도, 서해안에도, 남해안에도, 저 먼 땅끝에도 분포되어 있습니다. 교수의 경우에는 내가 원서를 낼 수 있는 시점 (최근 3년간 퍼포먼스가 제일 좋은 시기)에 채용 공고가 어디에서 나왔느냐에 따라서 위치가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국립대 교수나 국책 연구소도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죠. 누구에게는 채용이 조금 쉽고, 누구에게는 조금 어렵고, 그런 것 같네요.

저보다 선배들은 수도권의 모회사 연구소에 가면 삷의 질이 크게 떨어지고, 과로가 어쩌고 했지만, 요새는 부바부 때바때로 살만하다고들 전해 들었습니다. 다만, 연구원들은 각 조직의 급여기준에 맞게 돈을 받기 때문에, 연봉도 다들 자기와 나이가 비슷한 대기업 대졸 직원 수준으로 받고 있습니다.

다만, 연구주제로서 인기가 있고 없음과, 산업계가 만들어져 있는지의 여부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제가 있는 분야는 비인기 전공이지만, 일자리가 적은 분야는 아닙니다. 요즘은 많이 완화되었지만, 생명과학같은 경우 인기 전공이지만 졸업 후에 일자리는 적은 분야였죠.

뭔가 길게 써놨는데, 결론이 없네요. 10여분 글을 어떻게 끝내야 되나 고민하다가 밑에 글쓰기 버튼을 누르면 글이 끝난다는 걸 깨닫고, 끝내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8/28 16:37
수정 아이콘
이공계가 어렵다 하지만, 진짜 어려운건 인문학이죠. 거긴 진짜 노답 ㅠ
20/08/28 16:3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인문학은 교양이고 직업스킬과는 거리가 좀 있는 학문인 것 같...
파란마늘
20/08/28 18:05
수정 아이콘
인문계는 대학원 조차 거의 교수직 보고 들어가는 거라...
유료도로당
20/08/28 16:39
수정 아이콘
이미 최근 몇년사이에도 교수 취직이 힘들어진게 느껴진다고 하던데.. 앞으로 훨씬 더 심해지겠지요. 대학 입학생수가 뚝뚝 떨어지고있으니...
방향성
20/08/28 16:40
수정 아이콘
사실 학생수 보다 지금 자리에 있는 교수가 언제 퇴임하느냐에 따라서 교수 취직이 결정되곤 합니다.
유료도로당
20/08/28 16:43
수정 아이콘
그건 당연한데, 학생수가 줄어드면 교수 숫자도 점점 줄일테고, 그럼 교수 하나가 퇴임해도 그 자리에 신규채용을 안 할 가능성이 ...
방향성
20/08/28 16:53
수정 아이콘
과를 없애지 않는 이상 교수들도 대부분 세부전공에 맞춰서 뽑아놔서, 하나 나가면 하나 들어와야 전공과목 수업이 되더라구요
소독용 에탄올
20/08/28 17:28
수정 아이콘
과가 없어지기도 하니까요.....
레필리아
20/08/28 16:54
수정 아이콘
학생 수가 줄어든다고해서 반드시 교수 TO가 줄어드는건 아닙니다.
충분히 다른 요인(국가 사업 등)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유료도로당
20/08/28 20:42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줄어드는게 엥간히 줄어야지, 00년에 90만명 수능봤는데 20년에 50만명도 안되고, 곧 30만명대로 접어들 예정이니 이건 뭐 버틸수가 없는 지경이지요. 기성세대들의 짐작보다 학생수는 훨씬 더 가파르게 줄고있어서요...
20/08/28 16: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우리나라는 공부를 더 한만큼 좀 쳐주고 인정하는 경향이 있죠. 공대는 더욱 그렇구요.
GregoryHouse
20/08/28 16:50
수정 아이콘
국책연은 점점 박사비율을 늘리라는 감사원의 압박을 받고 있다고 하고

기업쪽은 학위는 중요하게 안보는 분위기가 늘어나는 경향틴 것 같습니다.
다만 대기업 연구소쪽은 검증된 인재(라고 쓰고 대학원 다닐때 같이 프로젝트 하면서 겪어본 인재)에 대한 채용이 늘어나는 것 같아요
일단 학사를 뽑아서 2~3년 굴리면 박사보다 싸게 박사만큼의 퍼포먼스가 나온다고 하더라고요
방향성
20/08/28 16:56
수정 아이콘
박사 퍼포먼스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제가 있는 쪽에서는 석사를 하고 나오면 2-3년 지나면 박사학위자와 이해의 정도가 비슷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GregoryHouse
20/08/28 17:13
수정 아이콘
전해들은 얘기만 전달하자면
박사들은 보통 자기 주관 뚜렷하고 아카데믹한 부분에 강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기업 연구소에서 요구하는 연구(라고 쓰고 사실은 상품개발)에 맞추는데 드는 노력과 비용을 감안하면
학부졸업자 뽑아서 2~3년 지나면 박사 신입보다 일잘하는 경우가 꽤 있더라는 이야기입니다
잠만보
20/08/28 16:56
수정 아이콘
박사 따고도 취업문제 때문에 다른 일 하는 사람들도 제법 봤습니다

그 근본 이유 중 한하가 박사라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죠

그리고 요즘 학위 인식이 학사 = 옛날 고졸, 석사 = 옛날 학사, 박사 = 옛날 석사~박사 (이건 좀 차이가 있음) 이렇죠

아무리 생각해도 한국은 X사 타이틀을 따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돈을 허비하는거 같습니다
방향성
20/08/28 16:57
수정 아이콘
대기업도 고졸 생산직이 돈을 압도적으로 제일 많이 벌고 직업 안정성도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차도 더 좋은거 타시고, 애들도 더 비싼 학원에 보내더군요....... 그리고 지방이면 그 지방 사람들끼리 개발정보를 습득하는 것도 빠르기 때문에 돈도 잘 굴립니다.
20/08/29 08:40
수정 아이콘
한국만 그런건 아닙니다 ㅠㅠ
학위가 쓸모없는 건 북미도...
잠만보
20/08/29 10:29
수정 아이콘
북미도 학위가 별 의미가 없나요 ㅠㅠ
성야무인
20/08/28 17:07
수정 아이콘
요즘 교수자리 많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옛날에 제가 대학 졸업할 때 해외에서 박사따고 (의생물학과 계열입니다.)

한국에서 자리 못얻는 인원이 300명이 넘는다고 했었는데

지금은 더할겁니다.

다만 의생물학과 계열중 의학계열 특히 인기있는 암, 면역, 의용공학 (이건 공학쪽에 가까우니), 당뇨쪽은

자리가 상당히 많습니다.

전공하는 사람도 많구요.

단 식물 분류학이나 동물 분류학 혹은 자연과학사 같은 분야는 거의 자리가 없습니다.

교수자리에 대해서 이야기 드리자면 옛날에는 좋았을지는 모르겠지만

웬만큼 좋은 대학 아니라면 할일이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그외 대학은 계속 학생이 감소되는 추세라 교수가 퇴직해도 과가 없어지거나

통폐합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퇴직해도 자리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군살빼는거 때문에 교수 시수만 늘어나고 강사수는 줄어들고

그나마 남아있는 자리도 겸임교수로 채우는데

이것 역시 그냥 겸임교수 주는게 아니니까요.

아마 한국에서 대기업 연구소로 취직하는 거라면 모를까 교수는 힘듭니다.
잠만보
20/08/28 17:09
수정 아이콘
출생률만 봐도 30대 박사분들은 교수 자리를 생각하지 않는게 본인에게 도움이 될 껍니다

그나마 있는 자리도 전부 해외 명문대 진골/성골 출신 분들이 들어오죠
방향성
20/08/28 17:11
수정 아이콘
옛날보다 교수 자리가 안좋아졌다고 하더라도, 사기업에서 교수가고 싶어하는 사람은 수없이 많지만, 교수가 사기업 들어오는 경우는 임원달아줄 때 말고는 없죠.
성야무인
20/08/28 17:4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사기업에 계신분들이 겸임교수라도 하고 싶어는 하는데

이것 역시 자리도 한정되 있어서 말이죠.
최종병기캐리어
20/08/28 17:10
수정 아이콘
제가 다니는 회사의 연구소는 석사 출신은 2년 경력 인정해주고, 박사 출신은 10년 경력 인정해주다보니 박사출신은 어지간해서는 뽑지 않네요. 박사는 간판이 필요한 일이 생기면 그때 그때 경력직으로 채용하고, 석사는 공채 때 같이 뽑네요.
레필리아
20/08/28 17:18
수정 아이콘
학위를 받음으로써 얻는 실질적 이득은 없거나 극히 작은 것 같아요.
많이 배운만큼 취업 구멍은 더 작아져서.. 학부때보다 취업은 훨씬 어려운 느낌이고..

주변에서는 박사라고 하면 전문직에 버금가는 수입을 가진다고 생각하는데, 정작 현실은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네요.
취업해서도 그냥 월급쟁이일 것 같은데 말이죠 크크
방향성
20/08/28 17:21
수정 아이콘
학위를 받아서 얻는 이득은 거의 없고, 그나마 지속적으로 논문이나 학술활동을 해야지 일반 회사원보다 학위를 딴 조금의 보람이라도 느낄 수 있지 않는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잠만보
20/08/28 18:41
수정 아이콘
좀 쎄게 말하면

학사 : 좋은 일자리 취업 위한 자격증

석사 : 좋은 일자리 중 R/D로 가기 위한 자격증

박사 : 집에 돈이 많은 사람 or R/D 하다보니 필요에 의해딴 사람

이 대다수이긴 합니다

그런데 갈수 있는 일자리 범위는 학사 >>석사>>>>박사죠

다이렉트로 박사 학위 따면 취업할 곳이 참 없죠

그 시대 인기과는 좀 있지만요
20/08/28 17:23
수정 아이콘
제가 1-5,1-5,1-3 하고 결국에 1-2가 됐네요. 7년 걸렸습니다. ㅠ.ㅠ
방향성
20/08/28 17:28
수정 아이콘
인류와 과학의 진보를 위해서 귀한 시간을 쓰셨다 라고 생각합니다... ㅠ.ㅠ
20/08/28 17:36
수정 아이콘
1-3이 본교 포닥이었군요. 저는 다른 대학 포닥으로 가서..
근데 포닥이 미래 불안정성만 제외하면 정말 일하기는 좋더군요. (물론 제가 보스 운이 좋은 경우) 원할 때 일하고 텐션을 스스로 조정할 수 있으니까요. 지금까지는 롤챔스 야구 다 챙겨봤는데 이제는 힘들겠죠..?
방향성
20/08/28 17:41
수정 아이콘
제가 본 바로는 포닥들이 회사에 취업한 후에 제일 적응하기 힘들어하는 부분이 9시 전에 출근 하는 것과, 6시 이후에 일을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보통 포닥들은 대학에서 일할 때는 저강도로 장시간 일하는 걸 선호(평상시)하고, 프로젝트 종료시점에 고강도로 장시간 일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 같아요. 재밌는건 고강도 단시간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는 흔치 않았네요. 집보다는 사무실이 일하기도, 놀기도 좋긴 하죠...
20/08/28 17:57
수정 아이콘
L, S, H 가 다양한 전공을 뽑고 있긴 한데 공고내는 전공이면 비인기 전공은 아니지 않나요??
그리고 특정 전공의 경우 최근 교수 채용공고가 많아 지는 곳도 있습니다..예전에 뽑았던 교수님들 정년퇴임할때가 다가와서...
방향성
20/08/28 18:12
수정 아이콘
명문대 교수 채용은 운이 잘 맞은 사람이 가져가는거 아닌가 싶어요. 자기가 아무리 잘해도, 자기가 갈 수 있는 자리가 다 차있으면, 지방 국립대나 국책연구소를 가게 되더군요.
새벽바람
20/08/28 18:22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후배나 학생들에게 반드시 교수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게 아니면 박사는 비추하는 편입니다. 돈은 들고 취업은 늦어져서 시드머니도 늦게 모이는데, 사기업 갈 거면 일찍 가서 돈 모으는게 더 낫고, 정출연은 거의 다 지방에 있어서 본인이든 배우자든 이로 인해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희 연구소도 그렇고 옆 연구소도 최근 이직률이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방향성
20/08/28 18:24
수정 아이콘
고민이 되지 않을 만큼 가성비가 나쁘죠. 취미나 취향이 논문 쓰는 것인 사람만 박사할만 하구요
OvertheTop
20/08/28 19:03
수정 아이콘
옛날생각나네요.
논문이 어셉될때 느끼던 희열도 이젠 사라져가는군요.

제 주위에는 계속 교수될려고 끝까지버티면 결국 다 되더군요
새벽바람
20/08/28 22:39
수정 아이콘
맞아요 진짜 끈 안놓고 하시는 분들 보면 40 넘어서라도 결국하시긴 하더라고요.. 근데 너무 힘들어 보여서...
개발괴발
20/08/28 20:08
수정 아이콘
그 유명한 심슨 짤 나올 때 예전에는 대학원에서의 처우때문에 별로라고 인식했었지만,
요새는 졸업 이후에도 취업 걱정하는 고학력 후배들 보면...
나오고 나서도 걱정이긴 한가봐요 =_=

+추가로 대학원까지 나오고 나면 주변 사람들 헛소리 스킵하는 멘탈관리 난이도가 더 올라가는거 같더라고요 =_=
20/08/28 20:52
수정 아이콘
회사 잘 다니다가 대학원생 2년차에 이런글을 보다니.. 크크.
저는 생물과인데 어찌보면 이시국이라 갑자기 일자리가 늘었네요.
물론 박사보다는 학사/석사자리가 많이 늘긴 했지만서도.
저도 R/D 하다보니 필요해서 대학원 왔는데, 바이오쪽은 박사 없으면 승진하는데 한계가 있더라고요.
마치 부사관 오래해야 장교 진급할수 있는거 같은 느낌?
방향성
20/08/28 21:00
수정 아이콘
박사후 경력은 사회가 어떻게 변했냐에 따라 천양지차라서 지금 시점의 예측은 의미가 크지 않을 거 같습니다. 잘 되시길 기원드려요
20/08/28 21:44
수정 아이콘
현재 해외 연구소에 있고, 곧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인기 공학전공자 입니다. 지도교수님이 은퇴하셔야 교수직 공고 나올 것 같습니다. 갑자기 제 전공쪽으로 다른 학교에서 자리가 생기지도 않을 것 같구요. 회사나 연구원의 수요 대비 관련 전공자 수가 얼마 없어 취업 걱정은 좀 덜합니다만 교수직을 노릴 수도 없다는게 좀 아쉽습니다. 결국 교수를 꼭 해야겠다면 답은 해외 진출인데...
방향성
20/08/28 21:49
수정 아이콘
나중에 그 교수님 자리늣 같은 랩 선후배가 경쟁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0/08/28 23:36
수정 아이콘
초창기 산업화에 앞장섰던 전기,기계공학 쪽은 지금이 2세대 교수들의 은퇴 시점이라 교수 자리가 계속 나는 것 같더라고요.
비인기 공학쪽도 해당 전공이 생기고 1,2세대 교수들 은퇴할 무렵이 되면 교수 자리가 꽤 생기지 않을까 싶네요.
이제 물론 앞으로 없어지거나 통합될 학교와 학과가 늘어날테니 박사 출신들은 그런 자리를 보고 교수 쪽 취업 여부를 결정해야겠죠.
올해는 코로나 때문인지 공학계 전반에 걸쳐 취업문이 매우 좁습니다.
물론 비 이공계는 훨씬 타격이 더 크겠지만요.
本田 仁美
20/08/28 23:54
수정 아이콘
그냥 밥이나 먹고 삻았으면 졿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544 [일반] 일본인이 감히 김치를 먹는다고?! [50] 칭찬합시다.11603 23/12/24 11603 11
100543 [일반] [팝송] 알렌 워커 새 앨범 "Walkerworld" [4] 김치찌개3729 23/12/24 3729 1
100542 [일반] 두 번째 연애 이야기 [6] 피우피우5457 23/12/24 5457 15
100540 [정치] 국민의힘과 합당한 시대전환은 없어질 정당이었다 [17] 계층방정9892 23/12/23 9892 0
100539 [일반] 레데리2 스토리 66% 잡담 [25] 그때가언제라도6650 23/12/23 6650 1
100538 [일반]  강아지 하네스 제작기 (8) - 홍보전략을 세워보자 [4] 니체3798 23/12/23 3798 1
100537 [일반] 폰지사기는 돌고 돌아 .. [13] 비와별9647 23/12/23 9647 3
100536 [일반] 선즙필승 = 과학 [16] 숨고르기8714 23/12/23 8714 9
100535 [일반] <노량: 죽음의 바다> - 납득과 아쉬움의 접근법.(스포) [19] aDayInTheLife4812 23/12/23 4812 0
100534 [일반] 피지알러 추천 도서 기사 및 잡설 [3] 똥진국4881 23/12/23 4881 4
100533 [일반] [노량] 이순신 뽕이 없는 이순신 3부작에 대한 아쉬움 [11] 가라한5863 23/12/23 5863 4
100532 [일반] [팝송] AJR 새 앨범 "The Maybe Man" 김치찌개3538 23/12/23 3538 1
100531 [일반] 수원역 환승센터 버스 사고 원인 [25] Leeka9774 23/12/22 9774 4
100530 [일반] (스포) <명량>, <한산>, <노량> 3부작 감상기 [6] 마스터충달5054 23/12/22 5054 5
100529 [정치] 배터리 아저씨 금감원 압수수색 및 창당 [17] 맥스훼인8453 23/12/22 8453 0
100527 [일반] 행복은 관심이다 [9] realwealth4270 23/12/22 4270 10
100526 [일반] [에세이] 자본주의야, 인류의 복지를 부탁해! (태계일주3 中편) [3] 두괴즐4174 23/12/22 4174 5
100525 [정치] "물에 빠졌다" 보고에‥사단장 "그 친구 수영할 줄 아냐? [102] 덴드로븀15146 23/12/22 15146 0
100524 [일반] 애플워치 미국 판매중지 조치 시행 [6] Leeka5729 23/12/22 5729 2
100523 [일반] 'BTS 정보 무단 열람' 코레일 직원, 재심 끝에 복직 [44] Leeka8655 23/12/22 8655 9
100522 [일반] 아파트 건설현장에서의 설계변경과 이해관계의 조율 [20] 퀘이샤5821 23/12/22 5821 13
100521 [일반]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는 도로 열선 [132] VictoryFood14717 23/12/21 14717 2
100520 [일반] 죽은 군인들로부터 뽑아낼 수 있는 것들 [14] 우주전쟁9791 23/12/21 9791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