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7/06 03:55:08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역시 갬성이 달라 갬성.......
AI시대~ 4차 산업혁명~ 알파고~~ 등등등

음악계에서도 논의가 있어왔다~
과연 미래의 음악은 인공지능이 다 장악할 것인가???

(이렇게 쓰고 보니 주제가 너무 거창해진다.
나의 독서력과 필력으로는 이 주제를 풀어나갈 재주가 없다~ㅜㅜ
아는게 없어~ 일단....ㅠㅠ)

아직까지는 음악에서 전자 신호에 의한 것들이 100% 장악하진 못하고 있긴 하다.
여러분들이 듣는 대중 가요는 MR이야 전자 장비로 만들긴 하지만
사람 목소리는 그래도 생으로 녹음한다.... 
(물론 포토샾 처럼 목소리도 보정한다....
이게 MP3랑 라이브랑 음색차이가 나는 이유이기도 하고~)

그냥 서론은 접고~(더 쓸 자신이 없다~~ㅠㅠ)

어느날 아는 피아니스트 여자 사람께서 연락이 왔길래~ (개인적으로 아는 친구....)
이런 저런 시시콜콜한 이야기 하다가 (뭐~ 유부남녀끼리 할얘기는 애 키우는 얘기.....)
내 유튜브를 소개해주었었다... (그 친구도 유튜버~)
둘 다 구독자수나 조회수나 고만고만 하다~ (나는 뭐 개점 휴업 상태.....ㅠㅠ)

그 친구가 내 컨텐츠를 보더니....
"오빠 대박이야~ 악보 좀 보내줘~~!!"
"어, 그래, 알았어~~"

그런데 진짜로 연주해서 자기 채널에 업로드할 줄은 몰랐지.....
암튼 그래서 소개함~~




확실히 걈성이 달라 걈성이.....
(애플이 비싼 이유가 있어~~)

물론 컴퓨터로도 저런 미세한 뉘앙스 표현이 가능하다~
(그게 엄청난 노가다여서 그렇지......)

글쎄 나중엔 AI가 "피아니스트 랑랑 스타일로 치는 누구누구 작곡가 곡"을 
재현해줄 지 그건 모르겠다~~

현재 작곡에서 그런 스타일 카피 정도는 구현된다고 하던데....

아쒸~ AI 피해서 어디로 가야하지???????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혜정은준아빠
20/07/06 08:03
수정 아이콘
과욘 AI가 예술 분야에서도 인정 받는 날이 올까요?
20/07/06 08:47
수정 아이콘
예술가들은 AI가 예술의 기술 확장성을 제공하거나 이미 상업홛된 예술계를 자극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하더라구요.
20/07/06 09:06
수정 아이콘
그림쪽에서는 AI가 그린 그림을 '예술은 인간의 의식활동의 산물인데 AI는 의식이 없으므로, AI가 그린 그림은 의식의 산물아님. 따라서 예술이 아님'으로 정의하는 방향으로 가는것 같습니다.

음악도 비슷하게 정의할 수 는 있을 것 같긴한데, 사실 음악쪽은 청취자들이 본인의 호불호를 직관적으로 평가가능한 분야고(말씀하신대로 갬성이 다르죠 크크크), 또한 종합예술의 한분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타 장르와도 잘 맞아야해서, AI가 쉽게 대체하기는 어렵지 않을까...하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만....캐쥬얼 게임음악같은 장르나, 채보, 편곡같은 분야는 생각보다 빨리 대체될것 같긴 하네요;;;;
Lord Be Goja
20/07/06 10:23
수정 아이콘
극히 좁은 예술분야만-이해를 위해 평론가가 필요한- 남고,
상업적-그냥 즐기면 되며 다른문화컨텐츠와 결합되어 있는- 분야를 ai가 점령해버린다면
순문학처럼 순음악,순미술이라는 단어도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예술이건 아니건 팔리는건 우리들이다 라는.
20/07/06 11:03
수정 아이콘
헉 페이스톡 푸가 전에 올려주셨을 때 저도 받아서 휴대폰 벨소리로 잘 쓰고 있고 악보보고 연습해서 쳐볼까 생각만했는데

이렇게 훌륭한 연주가! 감사드립니다.
-안군-
20/07/06 18:37
수정 아이콘
근데 AI 나오기 전에도 컴포저류 프로그램에서 그루브감을 표현해주는 플러그인은 예전부타 있었... 노가다 안해도 사람 비스무리하게 되긴 합니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038 [일반] 복리에는 기억이 필요하다: 한국이 퇴직연금을 이해하지 못하는 구조적 이유 [54] 전상돈7900 25/09/22 7900 29
105037 [일반] 강릉보다 더 심각한 가뭄 사태를 국가단위로 겪고 있는 나라가 있습니다 [60] 독서상품권10429 25/09/22 10429 2
105036 [일반] [풀스포]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사연의 칼날" [16] Farce5057 25/09/21 5057 8
105035 [일반] 중세 최악의 용병단을 알아보자 [6] 식별6080 25/09/21 6080 22
105034 [정치] 의미 없는 발의가 너무 많은 국회 [88] 짭뇨띠12271 25/09/21 12271 0
105033 [일반] 협박,모욕죄 합의 해줄려했는데 상대편이 얼렁뚱땅 넘어갈려하네요. [45] 그때가언제라도13092 25/09/21 13092 4
105032 [일반] 특별한 경험 [12] Tiny Kitten5145 25/09/21 5145 16
105031 [일반] 꿩 먹고 알 먹고를 제대로 누린 오늘 [12] 광개토태왕9930 25/09/20 9930 10
105030 [일반] 베르세르크 '그리피스'의 실제 모티브를 알아보자 [6] 식별8973 25/09/20 8973 34
105029 [정치] 소득 상위 10%는 빼고 주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474] 정대만16082 25/09/20 16082 0
105028 [일반] <모노노케 히메> - 그래서, (혹은 그래도) '살아라.' (스포) [25] aDayInTheLife4058 25/09/20 4058 1
105026 [정치] 점점 망해가는 보수, 살 길은 있는가? [187] 짭뇨띠11331 25/09/20 11331 0
105025 [일반] 2군은 괴로워(일본 프로야구 토크쇼) [6] 無欲則剛4895 25/09/20 4895 11
105024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3] 푸끆이5403 25/09/20 5403 12
105023 [일반] 아이가 태어나고 6개월... [49] 서리버6431 25/09/20 6431 43
105022 [일반] 2014~2024년까지 10년간의 9월말 코스피 데이터를 알아봅시다 [11] 렌야5592 25/09/19 5592 2
105021 [정치] 중국 정권변동설 글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31] 如是我聞7542 25/09/19 7542 0
105020 [일반] MBTI, 제2의 혈액형 성격론일까? [191] Quantumwk7195 25/09/19 7195 15
105019 [일반] 괴로움과 후회,무기력에서 벗어나기 [34] 방구차야6606 25/09/19 6606 13
105018 [정치] 캄보디아 범죄 조직 납치 생환 뒷이야기 [55] 如是我聞11297 25/09/19 11297 0
105017 [일반] 다 포기하고 싶다 [41] 김경호7723 25/09/19 7723 17
105016 [일반] 한국의 "특별" 인플레이션: 모두가 특별하면 아무도 특별하지 않다. [49] 전상돈9247 25/09/19 9247 47
105015 [일반] 10년만에 알게 된 무좀 제대로 치료하는 법 (사진주의) [67] 삭제됨9409 25/09/18 9409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