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5/11 19:23:10
Name 움하하
Subject [일반] 공기청정기에 대한 잡담
1. 필터의 등급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 호흡기 질환을 가진자가 없다면 H13등급은 굳이 필요치 않습니다.

2. 큰평수 하나 보다는 작은 평수 여러대가 낫다.
   - 평수가 클수록 가격이 배가 되어 올라가는데 가성비를 떠나서 절대적인 공기청정만 보더라도
     작은거 여러대를 사용하는게 이득입니다.

3. 부유먼지는 잡지 못한다.
   - 어두운곳에서 손전등을 켤경우 보이는 부유먼지는 실제 공기청정기로 제거 하지 못합니다.
     초미세먼지도 거르는데 부유먼지를 못거른다고 생각 하실테지만 그렇습니다.

4. 공기청정기의 중요한 요건은 석션의 힘이다.
    - 공기청정기의 가장중요한 기능은 석션 기능입니다. 그런데 지금 시중에 유통되는 대다수의 공기청정기는
      석션기능이 형편 없습니다. 부유먼지를 잡지 못하는것도 이때문이지요.
      그래서 아직 공기청정기의 기술적인 부분은 과도기로 봅니다.

5. 청소와 주기적 환기가 더중요하다.
    - 당연한 얘기

기타

- 공기청청기가 필요하다면 인지도 있는 브랜드이 10평대 구매를 추천.
   단, 집안의 떠다니는 먼지가 다 제거될 거라는 기대는 금물.
   보통 사람은 체감하기 힘들고 틀면 시끄럽고 추워서(바람) 생각보다 자주 틀지 않게됨.
   청소를 자주 하지 않는 집일경우 그닥 필요없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기청정기
20/05/11 19:30
수정 아이콘
...예?
어느새아재
20/05/11 19:52
수정 아이콘
석션 잘하시나요?크크크
20/05/11 19:37
수정 아이콘
부유먼지에도 효과 있어요. 확연히 차이 납니다. 침대프레임에 먼지 싸인거 보면요.
몽키매직
20/05/11 19: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유먼지 많이 안 줄긴 합니다. 컴퓨터 본체에 먼지 쌓이는 게 줄지 않음. 그리고 먼지 줄이는데는 건조기가 훨씬 효과가 좋으니 건조기부터 장만... 건조기 통해서 거르는 옷에 붙어있던 먼지의 양이 생각보다 훨씬 많습니다. 공청기 1달 돌렸을 때 거르는 부유먼지보다 건조기 한 번 돌려서 거르는 먼지가 더 많음...

필터 등급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은 것 같더라고요. 저등급도 계속 돌리면 어차피 어지간해서는 안전범위로 초미세먼지가 억제된다 vs 그래도 고등급이 좀 더 빠르게 거르니 낫다.
카미트리아
20/05/11 19:46
수정 아이콘
고양이 키우는 집에는 건조기가 필수죠..
건조기에서 재거해주는 고양이털이 어마어마 합니다.
VictoryFood
20/05/11 19:47
수정 아이콘
예전에 나왔던 필터에 목욕탕 환풍기 넣은거 방마다 쓰는 건 괜찮나요?
하나 만드는데 5만원도 안 들던데...
20/05/11 19:5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부유먼지는 코에서 필터링이 잘 돼서 괜찮지 않나요? 미세먼지가 건강에 나빠서 거른다고 알고 있고, 실제로 공기 나쁠때 공청기 틀어두면 미세먼지 수치가 줄어드는 것이 눈에 보이던데요...
macaulay
20/05/11 19:58
수정 아이콘
필터는 정말 기간내에 갈아야 하나요? 항상 한참 지나고 깨달아서...
별빛정원
20/05/11 20:01
수정 아이콘
플라시보 효과때문에라도 공기청정기는 완소아이템ㅠㅠ
부엌에서 생선구울때 부엌문 앞 거실에 있는 공기청정기 150찍혔다가 열일해서 10까지 떨구거나
부엌 바로 옆방이 제 방인데 문 안쪽에서 머리카락 세팅하면서 스프레이 뿌리면 이것도 100 넘게 찍었다가 열일해서 10까지 내려주고
화장실에서 담배피우고 나오면 200(연초기준, 전담은 50내외)가까이 찍었다가 열일해서 20밑으로 떨구는걸 자주 봐서 그런지 그동안 공기청정기 없이 어떻게 살았나 싶더라구요.
지금은 거실에만 있는데, 수일 내로 침실에도 하나 구입 할 예정입니다.
덴드로븀
20/05/11 23:05
수정 아이콘
일단 생선구울때는 공기청정기 끄고 환기하셔야 합니다.
구울때 나오는 기름섞인 연기들이 공기청정기 필터에 들러붙으면서 먼지도 더 많이 쌓이고 필터수명도 급속도로 나빠집니다.
짐승먹이
20/05/11 20:13
수정 아이콘
강풍으로 24시간 계속 틀면 됩니다. 한달뒤에 공기청정기 열어보면 깜작 놀랍니다...
20/05/11 20:18
수정 아이콘
+1
처음에는 저도 미세먼지 줄이려고 구매했는데
이젠 미세먼지 따윈 모르겠고 먼지 취합하는 집진기로 사용중입니다. 크크크크크
기도씨
20/05/11 20:18
수정 아이콘
서큘레이터 키고 운행하면 효과 있습니다.
나무늘보
20/05/11 21:48
수정 아이콘
먼지가 눈에 보이지 않으니
청정기에 표시되는 오염도를 보고 정신승리하고 있습죠
동년배
20/05/11 21:51
수정 아이콘
공기청정기에 달려있는거 말고 별도 미세먼지 측정기 돌려서 확인하는데 확실히 수치는 떨어집니다. 그리고 공기청정기가 빨아들이는 부분에 먼지가 뭉쳐쌓이는 정도를 보면 미세먼지 말고 부유먼지 줄이는데도 효과가 있긴 할겁니다. 헤파필터말고 부직포 같은 필터지만 어쨌든 대형먼지는 걸리긴 하니까요.
영혼의공원
20/05/11 21:57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 줄여주는 식물이라고 광고 하는거 보면 밀대 걸래질이 더 효과적일텐데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마술사
20/05/11 22:07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 수치는 돌리면 순식간에 팍팍 떨어집니다
20/05/11 22:47
수정 아이콘
1. 동의합니다.
2. 동의합니다.
3. 그나마 부유먼지도 좀 잡긴 합니다.
4. 동의합니다. 그래서 필터 등급보다는 CADR 보는게 효과적입니다.
5. 동의합니다.
공청기 두대 사서 거실에 하나 침실에 하나 놓고 24시간 돌립니다. 공청기 위치는 크게 중요하지 않은게, 적당한 CADR 이상만 되면 공청기가 거실 구석에 있더라도 미세먼지 확산 때문에 거실 맞은 편 미세먼지 수치도 곧 떨어지더군요.
타이팅
20/05/11 23:04
수정 아이콘
지금도 틀고 있는데 엄청 조용한뎅..
이오니
20/05/11 23:12
수정 아이콘
창문을 안열고 있으면 매번 공기청정기 수치가 1밖에 안나와서 믿음직스럽지...못하지만...
창문만 열면 10~25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걸 봐선... 효과는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그런 거 떠나서.. 저한테 영향을 준 거는 자고 일어났을 때 그나마 맑은 콧물(???)이 나오네요.
공기청정기 도입 전에는 노란 콧물이 나왔는데 말이죠.

사실 그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0/05/12 01:17
수정 아이콘
창문열거나 먼지싸인거 건들이면 수치가 올라가는게 효과있는거같기도하고 없는거같기도하고..
아스트란맥
20/05/12 09:04
수정 아이콘
미세먼지가 많은 날도 먼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킨 후 공기청정기를 돌리는게 효과적이라고 하더군요
약은먹자
20/05/12 09:29
수정 아이콘
공기청정기 필더 갈아줄 때가 된거 같은데. 그냥 늘 돌리는데 또 수치는 잘 떨어져요. 크크크
아델라이데
20/05/12 09:29
수정 아이콘
최근엔 집진기(정전기식) 형태의 공기청정기에 관심이 있습니다. 차량에도 하나 달아놓았는데 효과가 있는거 같더군요. 일단 집진기형 공기청정기는 필터 교체를 안해도 되서 그게 좋더군요. 집진기형 공기청정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455 [일반] 여자가 남자보다 급여가 적은 이유. (경험담) [265] 움하하24717 20/05/28 24717 31
86403 [일반] 자동차 유리 유막제거. [34] 움하하11775 20/05/25 11775 1
86306 [정치] 그래서 자한당 찍은 사람의 잡설. [193] 움하하16386 20/05/18 16386 0
86170 [일반] 공기청정기에 대한 잡담 [24] 움하하8368 20/05/11 8368 0
85606 [일반] 배달앱 기사보면서 들었던 잡다한 생각들.. [124] 움하하12270 20/04/07 12270 13
85455 [일반] 경기부양책으로 유류세 인하는 어떨까요? [45] 움하하9904 20/03/30 9904 0
85163 [일반] 코로나 예방에 대해서 의아 했던점.. [16] 움하하8394 20/03/17 839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