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4/16 04:53:50
Name boslex
Subject [일반] 제 인생에 국제기구. (aurelius 님의 글에 덧붙여)
밑에 국제기구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라는 aurelius 님의 글을 보고 어릴적 제가 경험했던 이야기를 써보고 싶어졌습니다.

80년 국민학교 6학년일때 아버지께서 인도네시아로 장기출장을 가시기 시작했습니다. 동네도 첨들어본 수라바야..그리고 그곳에 가시면 6개월 정도 계시다 서울에 오시곤 하였죠. 아버지 없는 집은 참 적막했던 했던것 같았습니다.

중학교 들어간후에, 아버지께서 이번엔 발리섬이란 곳으로 2년 반짜리 장기 프로젝때문에 모든 가족이 (저와 제 동생은 빼고) 그곳에서 살다 올거라 하셨습니다. 물론 아버지의 말씀에 따르면 그곳엔 국제학교가 없기에 아직 어린 막내 여동생만 데리고 갈것이고, 너랑 동생은 서울집에서 친척이 돌봐줄테니, 잘 지내다가 방학때 부모님을 뵈러가는 조건이었죠.

그 당시는 어릴때라 아버지가 그곳에서 어떤 일을 하셨는지 잘 몰랐습니다. 아버지는 국영기업체 다니셨었죠. 첫 방학때 가본 발리섬 덴파사 근처의 부모님집은 여러 국적의 가정들이 모여사는 빌리지 같은 곳이었습니다. 한국 분들도 계셨고, 영국분, 이탤리분, 등등, 그분들 집에도 또래의 아이들이 있어서 방학때 부모님 집에 가게되면 재미있게 바다에서, 가까운 호텔 풀에서 놀던 기억이 납니다.

좀더 시간이 흐른 다음에 알게된것이 그곳에 오셔서 함께 일하시던 분들은(저희 아버지도 포함), 국제식량기구 (FAO)에서 발주한 당시 표현으로 "후진국"의 수리관개사업(농업용 수로개발) 프로젝에 참여한 국가에서 오신 분들이었습니다. 이렇듯 농업이 중심인 나라에게 안정적으로 물관리를 할수있다면 많은 도움이 되겠죠. 아버지는 이 발리 프로젝 전에 수라바야에서도 같은 프로젝 팀이랑 일을 하셨고, 그 후속사업이 발리에서 있게되어 다시 오신 것이죠. 아버지 직장의 다른 분들은 필리핀인지 다른 나라들로도 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아버지는 서울에 돌아오신 후에도 계속 중미, 남미, 인도네시아로 출장을 많이 다니셨죠.

이렇듯 80년대만해도 이런 국제기구들이 후진국/중진국에서 벌린 일들은 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그런 국제기구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죠.

이제시간을 빨리 감아, 2010년대 왔습니다. 전 직장에서 제가 매니지 하던 분석기기의 용도중에 가짜약을 판별하는게 있습니다. The Global Fund라는 NGO에서 그 기기들을 사서 아프리카로 보낸일이 있습니다. 물론 그 나라의 신문에는 그 기사가 크게났고, 저도 그것을 제 프로덕 마케팅에 활용했었죠. 아프리카엔 가짜약(말라리아)으로 죽는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이게 그 정부가 썩어서 인데, WHO에서 약 지원해주면 그 약이 오다가 가짜약으로 바뀌고, 그 가짜 말라리아 약을 먹은 사람들은 약효가 없기에, 아님 다른 성분이기에 죽어갔습니다.

그래서 앞서 말한 NGO가 전에 제가 일했던 회사에서 그 가짜약을 판별하는 장비를 사서 보내준것이죠. WHO가 아니라. 뉴욕/제네바 노선은 항공사들에겐 상당히 "꿀" 노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네바와 뉴욕엔 우리가 이름들으면 알만한 국제기구들이 있죠. 그 두도시를 왕래하는 많은 사람들이 국제기구에서 일하는 분들이고, 뭐 공무출장이니까, 비행기표 부담 없겠지요.

이제는 이런 국제기구들이 저렇게 도움이 필요한 나라들에게 정말 우리 아버지 세대가 받았던 것처럼, 했던 것처럼, 정말로 도움이 될까? 하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국제기구들은 인류의 공동발전(?)에 필요하지만, 이제는 한번 묵은 먼지를 털때가 아닐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6 05:29
수정 아이콘
7~80년대 혹은 그 이전에 국제기구 지원에는 중간에 몰래 해먹는 사람들이 없었을까요?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진 않았을 겁니다.
서린언니
20/04/16 09:00
수정 아이콘
국제기구도 부심이랑 경력때문에 하는 사람 많다고 들었고 사람이란게 간사해서...
하지만 그런거라도 있는게 낫다고 봐요 안그러면 식민지 제국주의 시대랑 뭐가 다를까요
Foxwhite
20/04/16 09:03
수정 아이콘
말라리아 약을 바꿔치다니... 진짜 생지옥이 따로없는 부분이네요...
공실이
20/04/16 09:0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부분은 WHO 존재의 이유를 역설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부족한 부분을 NGO가 다행히 채워주고 있네요. 그리고 관련 내용을 이야기 하시는게 주 목적이라면 댓글화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브리니
20/04/16 09:34
수정 아이콘
어디든 마찬가지겠지만 조직이 오래되면 사기업이 아닌 곳은 그게 더 심해서 세습화되듯 하여 꿀빨려고 모인, 아는 사람만 아는 그런 곳이 아닐까요. 상상의 나래를 펼쳐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782 [일반] [도서] 일본 첩보요원들의 역사: 1895~2013 [6] aurelius8887 20/08/25 8887 2
87781 [정치] 의료 파업과 관련된 이야기 [199] 밥오멍퉁이31856 20/08/25 31856 0
87525 [일반] MSCI가 선정한 선진국 23개국 & 신흥국 24개국 [26] 비타에듀11256 20/08/04 11256 0
87467 [일반] [잡담] 새로 부활한 흑룡회는 뭐하는 단체인가? [21] aurelius13065 20/07/31 13065 3
87443 [일반] [단상] 일본 주류의 역사관과 대외관에 대한 몇가지 생각 [37] aurelius12048 20/07/30 12048 28
87440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 식민 지배 [17] aurelius10494 20/07/30 10494 6
87379 [일반] 왜 중국은 미국을 4년안에 끝장내야만 하는가? [197] 아리쑤리랑73309 20/07/26 73309 224
87286 [일반] [역사]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만남, 그리고 미래 [7] aurelius9398 20/07/18 9398 17
87178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16 (feat.행복회로) [12] PKKA8089 20/07/10 8089 8
87065 [일반] [도서] 민족자결을 부정한 중국, 소수민족을 보호한 일본 (2) [8] aurelius9487 20/07/05 9487 2
86865 [일반] [역사] 1803년, 일본 최초의 서양사 입문 서적 및 지리백과사전 [8] aurelius8626 20/06/23 8626 1
86737 [일반] [역사] 은의 제국: 은이 만든 세계 [16] aurelius10005 20/06/15 10005 4
86192 [일반] 봉사단체와 관련된 재미있는 사업이 하나 있습니다 [20] 목화씨내놔10920 20/05/12 10920 25
86157 [일반] 중국은 패권국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 [67] 아리쑤리랑26715 20/05/11 26715 133
86010 [일반] [스연] 중국 축구힙회에서 외국인 선수 귀화 전담팀을 만들었네요 [41] 강가딘11734 20/05/04 11734 1
85734 [일반] 뉴 멕시코. [57] This-Plus9771 20/04/17 9771 0
85720 [일반] 제 인생에 국제기구. (aurelius 님의 글에 덧붙여) [5] boslex8416 20/04/16 8416 6
85464 [일반] [도서소개] 동남아시아에 대한 포괄적 통사 [27] aurelius8949 20/03/31 8949 17
85279 [일반] 지난 20년과 앞으로의 국제정세에 관해. [91] 아리쑤리랑33816 20/03/22 33816 109
85019 [일반] [번역]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 떠난 여행 [2] aurelius8630 20/03/12 8630 5
84889 [일반] [단상] 일본의 조선합병과정에 대한 몇 가지 생각 [7] aurelius7815 20/03/05 7815 14
84795 [일반] [일본 도서소개] 지경학이란 무엇인가? [6] aurelius7630 20/03/01 7630 2
84568 [일반] 부산 확진자, 일본, 필리핀. 대구 방문 + 대전 확진자 자가격리 어기고 친구만남+아울렛+우체국 방문 [60] Leeka13425 20/02/22 1342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