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3/10 10:38:05
Name 아마추어샌님
Link #1 https://amateursaennim.tistory.com/42
Subject [일반] [보건] 코로나 19 관련 그래프들 (수정됨)
관련 이전글

https://pgr21.com/election/4374


국내자료는 비중이 크게 없을 거라 안심하고 자유게시판으로 왔습니다!
데이터의 출처는 
WHO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novel-coronavirus-2019/situation-reports 
http://www.nhc.gov.cn/yjb/s7860/new_list.shtml
보건복지부
여기가 출처입니다.


참고로 세계 자료는 WHO자료가 반영되어 있는데 하루정도 늦다고 보시면 됩니다.

범례. 범례를 만들어야 할 정도로 이젠 국가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정리하기 힘드네요.

1
2020-03-10-9-54-01
중국을 뺀 세계 확진자 수 입니다. 아직은 중국이 8만명 가까이 되서 그래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며칠지나면 중국하고 같이 합쳐서 그래프를 만들어도 상관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제일 확진자 수가 많은 국가는 중국이긴 하겠지만 나중에는 중국 밖의 확진자가 더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0-03-10-10-18-34중국을 포함한 일간 신규 확진자 수 그래프 입니다. 오늘은 더 많이 나왔기에 내일 반영될 자료도 어찌될지 감이 잡히지 않네요.중국 2월 17일 확진자수 기준 바꾼건 제가 볼때는 정치적인 효과 빼곤 크게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2020-03-10-10-21-29국가별 치명률입니다. 우리나라 보다 낮은 나라는 스위스가 있으며 사망자가 반영되지 않은 국가들은 제외되어 있습니다. 독일의 경우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물론 이것도 하루정도 늦은 자료라서 지금은 좀 달라졌을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WHO의 자료가 갱신안되는것 같아요 며칠동안 수치가 동일한 상태





2020-03-10-10-24-27

중국의 현황입니다. 조금 자세히 적으면 오늘 환자는 19명 후베이에선 17명 그밖의 지역은 2명나왔습니다.현재 중국의 치명률은 3.88%입니다. 참고로 한달동안 2.2%에서 3.88%로 오른것이며 이것도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상승세는 많이 줄었습니다.





2020-03-10-10-22-08지역별 치명률입니다. 생각보다 지역별로 편차가 큰것 같습니다. 베이징이나 타이페이 홍콩의 수치가 실질 치명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곤합니다.크게 믿을만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2020-03-10-2-54-52
절대적인 확진자 수는 중국이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많아서 특정값 이상은 무조건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게 해야 다른 나라의 상태가 나오더라구요.어떻게 할지 조금 고민이 됩니다.로그를 이용했습니다 이쁘네요.



원래 10시 이전에 올릴려고 했었는데 실패!! 그래서 국내자료 조금 첨부를 하겠습니다.
10시 발표한 내용까지 반영된 일간 신규확진자 그래프 입니다.
2020-03-10-10-37-05



재미로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게 제가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하는 숫자가 너무 많아서 오류가 없을수가 없을것 같거든요.
세계 확진자 수만 5000셀이 넘어가서... 뭔가 저의 성향(?)이 교정되는듯 합니다. 이젠 좀 덜 집착하게 만드는 효과가 생기네요. (셀 개수만 따지면 몇만이라)
WHO 자료기준 중국 신규 확진자 최고치 중 하나를 넘어서 기념으로 글을 올려봤습니다 그럼!! 모두 건강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모대위
20/03/10 10:47
수정 아이콘
그래프가 너무나 보기 편하네요. 하루에 한번씩 코로나 현황을 확인해야 뭔가 안정?이 되더라고요
감사합니다.
20/03/10 10: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확진자 지도는 로그스케일로 하면 색깔이 고르게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마지막 그래프가 인상적이네요. 이제 대구는 잡히고 산발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단계로 접어드나봅니다. 이게 대구 경북이 다 잡아먹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3월 초 전후로 부울경쪽 확진자 비율 감소도 인상적이고요.
20/03/10 10:49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서 세번째 지도같은 경우에, 값들 편차가 지나치게 큰 경우 로그를 씌운 뒤에 그 값을 이용해서 색을 칠하면 좀 더 가시성이 좋을 수 있습니다.
좋은데이
20/03/10 10:50
수정 아이콘
자료가 보기 편하네요.
링크들어가서 보니 국내 확진자비율중 신천지 비율보니 참..
쓰고보니 닉네임이 블로그하고 같네요...?! 직접 만드셨나보군요.. 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아마추어샌님
20/03/10 10:54
수정 아이콘
그 그래프는 WHO에서 비슷하게 만든게 있어서 따라한건데 잘 만들기 힘들더라구요.
지자체 발표자료를 반영해서 만드는건데 만들수 있는 지역이 세곳일 뿐이고
무엇보다 손이 너무너무너무 가서 일주일에 한번정도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20/03/10 10:50
수정 아이콘
와 직접 작성하신 건가요?
대단합니다!!

중국은... 의외로 사후관리는 잘하고 있다고 봐야할지...
아니면 우한쪽에 총력을 쏟아서 다른쪽 관리할 여력은 없는건지...
신규 확진자 그래프에서 빨간색은 이제 쥐똥만하군요...
20/03/10 10:52
수정 아이콘
한달 반이 넘게 이동통제를 했으니 걸릴사람 다 걸리고 신규 전염은 없는 상태로 진입한 것 같습니다.
20/03/10 11:15
수정 아이콘
후베이성 외에 지역도 확진자 수백명씩 있는곳이 많았는데 인구대비로는 적어서 그런건지... 타 지역은 나름 관리를 잘 했나보네요
醉翁之意不在酒
20/03/10 11:21
수정 아이콘
이제 후베이성 제외하고는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확진자들이 눈에 띄거나 심지어 더 많아진 추세가 됐죠. 그러니 일본 한국 입국금지 때리는구요.
20/03/10 10:54
수정 아이콘
정말 보기 편합니다. 데이터 정리하시고 작성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화씨100도
20/03/10 10:56
수정 아이콘
중국은 사망자/(확진자+완치자)로 계산하면 치명률은 일정한걸로,
처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2,2~2.3이었죠.
아마추어샌님
20/03/10 11:02
수정 아이콘
확진자=완치자+사망자+치료중인분들 이라서
확진자+완치자로 계산하면 좀 안맞을 것 같아요.
20/03/10 12:08
수정 아이콘
확진자가 완치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렇게 계산할 수 없고, 종결된 케이스 내부에서의 사망률을 의미하는 사망자/(사망자+완치자)를 의도하신 거라면 2월 초 40%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하락한 끝에 현재 4.97%까지 내려왔습니다. 사망자/확진자는 한동안 2%대에서 오락가락한 것은 사실이나, 신규 케이스가 줄어들고 다수의 케이스가 결론을 내기 시작한 2월 중후반부터 꾸준히 상승하여 이제 3.88%까지 올라왔고, 최종적으로는 양자가 4%대에서 수렴할 확률이 높습니다.

한편 중국의 경우 전체 케이스의 83.9%를 차지하는 후베이와 후베이를 제외한 나머지 중국 본토 전지역의 CFR 차이가 현격합니다. 후베이의 CFR은 최근 발표 기준으로 4.46%이고, 후베이 케이스 중 73.7%를 차지하는 우한의 CFR은 4.81%인데, 후베이를 제외한 중국 본토 전지역의 CFR은 0.86%라서 양자간에 5배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거든요. 이 차이는 단순히 후베이 지역의 병원 과부하(즉 벤틸레이터/ECMO 수량 부족으로 인한 ARDS 환자의 사망률 상승 가능성)만으로는 해명이 안 됩니다. ARDS 환자 전원이 각자도생한 결과 사망률 100%를 찍는다 하더라도, 병원에 있었을 때의 사망률(30-50%)보다 2-3배로 상승하는데 그치니까요. 이건 후베이나 우한 지역의 '케이스'들이 다른 지역 '케이스'보다 평균적으로 더 중증인 사람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다시 후베이 지역의 케이스/감염자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망자/유증상감염자 혹은 사망자/감염자 비율에 가까운 것은 후베이를 제외한 중국 본토 전지역의 데이터(0.86%)입니다.
아마추어샌님
20/03/10 12:35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후베이성 제외한 지역을 CFR 계산 안했었는데 0.86%였군요!! (오늘자료로는 0.88%)
지난번 쓰셨던 글 대충 읽은거 티가 여기서 나버렸습니다. 아이고.
비바램
20/03/10 11:18
수정 아이콘
자료 감사드립니다.
20/03/10 11:19
수정 아이콘
이런 시각화를 위해서는 무엇으로 작업하시나요?
아마추어샌님
20/03/10 11:22
수정 아이콘
https://developers.google.com/chart
저는 이걸 이용했습니다.

사실 저는 프로그래머는 전혀 아니라 .. 설명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중에 구글에서 제공하는것이 있고 그걸 이용했습니다.
20/03/10 11:31
수정 아이콘
세계적으로는 변곡점은 한참 멀었다고 봐야겠네요. 한국이 그냥 먼저 처맞는걸 보여줘도 뭐 배우는게 없으니...
20/03/10 11:33
수정 아이콘
질병 모델들이 대부분 exponential 모델을 사용하고 있더라구요. 날짜별 감염자에 로그 취하면 1차함수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으니 로그그래프를 사용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아마추어샌님
20/03/10 11:40
수정 아이콘
한번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지도나 몇몇 그래프는 제한적으로 도입 할수 있을것 같네요.!
티모대위
20/03/10 12:48
수정 아이콘
지금은 확산 초기단계인 나라들간의 비교를 위해서 로그를 안 쓰신것도 괜찮은 선택 같지만,
결국 질병확산도는 로그를 취해서 표현을 하는게 정석이라고 하니까, 확산단계가 일정 이상인 국가들을 선별해서 따로 로그를 취한 그래프를 그리시는 것도 좋은 방법 같아요.
박근혜
20/03/10 11:46
수정 아이콘
한눈에 정말 잘 보이는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말다했죠
20/03/10 12:43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묘이 미나
20/03/10 12:50
수정 아이콘
대구시민들에게 신천지는 테러집단급이겠네요 .
솔로15년차
20/03/10 14:34
수정 아이콘
우한을 완전 차단해서 중국 내 다른 지역의 전파는 막았다치더라도, 우한 내 감염은 어떻게 차단했을까요? 우한만 몇만단위의 압도적인 숫자지만, 다르게보면 그래봐야 우한 전체인구의 1%도 안되는 숫자에 불과한데.
20/03/10 15:09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NUF3SjVeO8s 저 연합뉴스 유튜브가 사실이라면 우한 내에서 질병이 전파되는게 사실상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천만 주민에 대해 가택 연금이라니...
WeareUnity
20/03/10 15:39
수정 아이콘
한눈에 딱 보기 좋네요. 대구 후덜..
곧미남
20/03/10 15:56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335 [일반] 서울시 코로나 19 확진자수 정리 (접촉력, 이동동향 2021년 2월 7일 기준) [6] 아마추어샌님8925 21/02/08 8925 5
90058 [일반] 중생아, 네 무엇에 흥분하고 있느냐. [11] 아마추어샌님7796 21/01/17 7796 30
89611 [일반] 서울 코로나 19 정리 (접촉력, 지역별, 2020년 12월 26일 기준) [17] 아마추어샌님8046 20/12/26 8046 5
89407 [일반] 서울 코로나 19 정리 (접촉력, 지역별, 2020년 12월 19일 기준) [50] 아마추어샌님11435 20/12/19 11435 6
89330 [일반] 데이터 죽음의 5단계 [9] 아마추어샌님6361 20/12/17 6361 1
89287 [일반] 무엇 때문일까? 증가하는 0세연령 가해로 인한 사망률 (사망자수 차트 추가) [21] 아마추어샌님7339 20/12/15 7339 1
89233 [일반] 수도권 코로나 19 자료 정리 (지난자료 갱신, 추가) [3] 아마추어샌님7212 20/12/12 7212 3
89099 [일반] 현재까지 서울의 코로나 19 현황 (접촉력 정리) [11] 아마추어샌님11533 20/12/06 11533 15
87705 [일반] 일주일간 코로나 국내통계, 해외통계 [5] 아마추어샌님9289 20/08/19 9289 9
87435 [일반]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2018년) 지도와 통계 [63] 아마추어샌님11450 20/07/30 11450 1
87186 [일반] 카레맛 똥 vs 똥맛 카레, 승자는? [17] 아마추어샌님10441 20/07/10 10441 7
86168 [정치] 짧막하게 써보는 정의연 피해자지원사업비부분 내역 정리 [263] 아마추어샌님17434 20/05/11 17434 0
85050 [일반] 증시 이야기와 코로나 19 관련 자료 [4] 아마추어샌님8419 20/03/13 8419 5
84983 [일반] [보건] 코로나 19 관련 그래프들 [28] 아마추어샌님12526 20/03/10 12526 26
84913 [일반] [스연] 가온 디지털 차트, 연도별 차트에 들어오는 곡수와 잡담 [5] 아마추어샌님4549 20/03/06 4549 0
84532 [일반] 코로나-19 관련 그래프들(5시자료 반영 완료) (29일 수정) [26] 아마추어샌님9505 20/02/21 9505 12
84252 [일반] 인터넷에서의 'vs 고자되기'에 관한 리포트 [28] 아마추어샌님7485 20/02/04 7485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