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2/26 11:29:38
Name DownTeamisDown
Link #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583663
Subject [일반] 코로나 바이러스로 나이롱 환자 줄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583663

기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최근의 코로나 사태로 인해 나이롱 환자가 줄어 손해보험사의 손보율이 뚝 떨어졌다는겁니다.

비싼 자동차 보험료의 원인이 저런 나이롱 환자들 때문이라는게 큰 문제죠

거기다가 실손도 손해율이 줄어들게되서 보험사 입장에서는 어찌보면 코로나 때문에 이득을 보는 상황이 된거죠

나이롱 환자들이 동네 병원 특히 정형외과에는 항상 있다고 했었는데

실제로 다른분 문병왔다보니 아예 환자인데 멀쩡하고 외출도 나가고 그러던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0/02/26 11:34
수정 아이콘
31번 환자도 그런 상황처럼 보였죠....
전에 사스였는지 신종플루였는지... 사람들이 손을 열심히 씻어서 안과질환도 많이 줄었었다는 뉴스를 봤던 기억이 나네요.

별개로 실제로 병원에 가야되는데, 못/안 가는 상황도 나오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20/02/26 11:35
수정 아이콘
한국과는 상관없지만 제가 샌더스옹의 국가 보험 제도가 허황된 꿈이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이겁니다. 국가 보험이 적용되는 순간 나이롱 환자 3백만의 발생이 절대 기우가 아닌데, 이런 부분을 고려하지 않더라고요.
쿠키고기
20/02/26 13:04
수정 아이콘
Medicare, Medicaid 같은 제도에 이미 나이롱 환자들이 많나요?
20/02/26 14:07
수정 아이콘
저렴한 보험이 제공될 때 나이롱 환자들이 (표현을 저렇게 한 거고 실제로는 불필요한 진료 이야기였습니다) 늘어날 거라는 것은 제 입장에서는 비를 맞으면 옷이 젖는다 수준의 당연한 이야기라 굳이 그런 데이타를 알아본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메디케어 메디케이드에 나이롱 환자들이 얼마나 많은지와는 별도로 두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연방 재정에서 나가는 돈이 이미 지속 불가능한 수준인데, 이걸 전국민 대상으로 확대한다는 게 가당키나 한 이야기인지, 저는 매우 회의적이고요.
쿠키고기
20/02/26 14:37
수정 아이콘
일단 OrBef님의 이유와는 다르지만 저도 샌더스옹의 국가보험제도는 실현 불가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사설보험제도를 점진적으로 없앤다고 하더라도 불가능할것이라 보고 상원을 민주당이 가져오기 힘들것이라 보기 때문에 통과 될수도 없다고 보고요.

제가 이유를 다르게 보는 이유는 갠적으로 나이롱 환자가 생기더라도 현재 무보험자나 Copay/Deductible문제 때문에 받아야할 진료를 못 받는 사람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더 크다고 봅니다. Food Stamp와 같습니다. 이 시스템을 Abuse하는 사람들이 당연히 있지만 전반적으로 사회 전체를 봤을 때 그 혜택이 더 크다고 하거든요.

그리고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재정 문제는 현재 의료비 문제로 부도가 나거나 진료를 못 받아서 생기는 생산성 감축 등의 사회적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즉 전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쪽에 돈을 더 넣어서 저런 사회적 비용을 줄여야 된다고 봅니다. 미군 재정에 100 billion을 1년만에 추가할 수 있으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쪽에 충분히 돈을 넣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현재 미국의 의료 시스템은 그 비용에 비해서 결과는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처참하다고 보기 때문에 (교육처럼 최상위 의료는 제외한다면) 그 비용을 끌어내리려면 조금 더 통일화된 시스템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국가보험제도 때문에 생기는 나이롱 환자 문제도 있지만 현재 미국의 사설보험 제도 때문에 생기는 비효율성 때문에 생기는 낭비도 상당하거든요. 최근 Lancet에 실린 Medicare For All 분석을 보면 매년 68,000명의 삶을 살리고 $450billion의 비용을 줄인다는 연구도 있으니까요.
20/02/26 14:57
수정 아이콘
그런 맥락이시라면 부분적으로 동의합니다. 제 생각에도 미국 의료의 가장 큰 문제는 의료 시스템의 비용이 과도하다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개선 없이 보험만 국가 시스템으로 바꾸면 감당이 안될 거라고 생각하고, 이 부분을 개선할 수 있다면 이야기가 다르겠지요.

다만 쿠키고기님과 다른 부분이라면, 저는 국가 보험이 사보험에 비해서 가격 억제력이 뛰어날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장 확실한 예로, 메디케이드 관련 지출이 대충 사보험 관련 지출의 절반 정도인데, 메디케이드가 커버하는 인구는 전체 미국인의 1/4 가 되지 않습니다. 즉, 국가가 관장하는 메디케이드도 의료 비용을 끌어내리는데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이야기지요. 한국이야 독재시절에 수가 후려치던 것이 관행으로 굳어져서 아직까지 유지하는 거지, 미국처럼 자유와 경쟁이 신앙의 영역에 도달한 나라에서 이제와서 의료 비용을 국가 주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보지 않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0/02/26 11:35
수정 아이콘
한방 병원에 나이롱 환자가 그리 많다던데-_-
5막1장
20/02/26 11:39
수정 아이콘
그냥 안고가야죠. 어떻게 일일이 체크하겠습니까.
제도적인 보완을 통해서 그 비율을 줄여나가는 것이 유일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20/02/26 11:43
수정 아이콘
나이롱 환자가 더 오래살기 때문에 개인에게는 합리적인 선택이라 막을 수 없습니다


나이 롱~~ 환자
죄송합니다...
고등어3마리
20/02/26 11:47
수정 아이콘
키보드 14일 압수!!
20/02/26 14:19
수정 아이콘
돌.려.주.십.시.오.
스.마.트.폰.으.로.치.려.니.힘.듭.니.다.
캐러거
20/02/26 12:10
수정 아이콘
깔깔 너무 웃긴 유모어입니다.
20/02/26 14:20
수정 아이콘
제가 최불암시리즈 ys는못말려 덩달이시리즈 등등을 좀 읽었읍니다
Chasingthegoals
20/02/26 18:48
수정 아이콘
마스크 압수
20/02/26 20:06
수정 아이콘
가발 및 모자 압수
HuntCook
20/02/26 11:50
수정 아이콘
14일에 교통사고를 당해서 6주 깁스를 하고있는데 병원들이 입원을 안시켜줍니다.. 큰병원에서 깁스하고 동네병원에서 물리치료를 받는데 동네병원 의사샘이 '아니 이런데 입원을 안시켜쥐요?' 하시더니 입원 안시켜줌 크크.
DownTeamisDown
20/02/26 11:52
수정 아이콘
하긴 이런것도 있긴 할겁니다 입원실을 확보해야하니까...
기기괴계
20/02/26 11:55
수정 아이콘
정형외과에 대해 심평원 심사가 깐깐하거든요.

게다가 의학이라는 학문의 특성 상 비방이라는게 없고 평준화 정형화 되어 있다 보니, 평균에서 멀어지면

사우론의 눈이 절대 반지를 찾아내듯 심평원의 눈을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나라와 보험회사가 입원 허가 항목을 조절하면 그에 따라줄어들 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풍선효과로 기사처럼 한방병원에 입원을 많이 했고, 하고 있습니다.

최근 보험업계가 한방 쪽에 감시의 눈을 부릅뜨는 이유가 다 있지요.
메레레
20/02/26 13:29
수정 아이콘
깁스한다고 입원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교통사고가 아니라 의료보험환자도 깁스 6주하는 경우 입원 안시켜줍니다.
독수리가아니라닭
20/02/26 11:57
수정 아이콘
입원한 상태에서 사방에 바이러스를 뿌리고 다니던 그 분이 생각나네요
20/02/26 12:04
수정 아이콘
나이롱을 떠나서 조금 아픈 걸로는 병원을 안가는 거 같더라구요. 진짜 아프거나 약타러 어쩔 수 없이 오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forangel
20/02/26 12:28
수정 아이콘
저희 어머니도 병원 못가시는중..
약 다 떨어지면 가시겠다고..
20/02/26 12:21
수정 아이콘
나이롱이 아니더라도 이 시국에 입원하고 싶은 사람은 없을껀데요... 어지간하면 퇴원하겠죠. 줄어든 숫자가 모두 나이롱이라고 할순 없죠.
물론 현재는 한방병원 관련 기준이 좀 더 느슨한건 맞습니다. 심평원에서 계속 두고 보진 않을테니 조이겠죠.
DownTeamisDown
20/02/26 12:23
수정 아이콘
하긴 생각해보니 그렇긴 합니다...
분명 저기 나이롱도 있겠지만 아닌사람도 있겠죠
wannaRiot
20/02/26 12:45
수정 아이콘
거 참 잼있는 상황이네요 흐흐
-안군-
20/02/26 13:36
수정 아이콘
음압병동이 아닌 이상 병원이 더 위험할수도 있다는게 메르스때 얻은 교훈이니까요. 게다가 거기가 다른데도 아니고 삼성의료원...
20/02/26 14:38
수정 아이콘
뭐 그래도 병원은 가야죠.. 어제 저는 확진자 나온 병원에 다녀왔습니다

별수있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951 [일반] (그알)관악구 모자 살인사건 [83] 청자켓16479 20/03/08 16479 2
84859 [일반] (미국 경선) 수퍼 화요일 결과의 윤곽이 나오고 있습니다. [43] OrBef10824 20/03/04 10824 1
84852 [일반] (삼국지) 손권의 거짓 항복과 세 번의 승리 [41] 글곰8545 20/03/03 8545 15
84823 [일반] (삼국지) 삼국지의 전쟁과 역병들 [35] 글곰8667 20/03/02 8667 7
84812 [일반] 부티지지 대선경선 하차 [70] 어강됴리11426 20/03/02 11426 0
84811 [일반] [보건] 코로나19 유럽확산 현황 (3.2 오전) [73] aurelius16733 20/03/02 16733 5
84807 [일반] [보건]코로나 미국 근황. [53] kien16645 20/03/02 16645 1
84790 [일반] 인터넷만 발달하면, 선동당하는 일은 없겠지 [33] 꿀꿀꾸잉10057 20/03/01 10057 18
84763 [일반] 일본 홋카이도 근황 [80] 복타르17366 20/02/28 17366 8
84694 [일반] 우리의 출산율은 왜 이럴까에 대한 두가지 생각 [118] 도뿔이13756 20/02/26 13756 12
84680 [일반] 코로나 바이러스로 나이롱 환자 줄어 [27] DownTeamisDown9867 20/02/26 9867 0
84678 [일반] 다단계 끌려갈 뻔 했던 이야기 [37] 영소이8877 20/02/26 8877 32
84670 [일반] [경험담] 어쩌다 신천지에 빠지게 되는가 [103] jjohny=쿠마31499 20/02/25 31499 97
84655 [일반] [단상] 기독교가 기여한 긍정적인 유산 [97] aurelius16319 20/02/25 16319 23
84649 [일반] 샌더스가 슈퍼화요일이 지나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될 것같습니다. [40] 루저9788 20/02/25 9788 6
84642 [일반] PC는 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가. 유의미한 논의가 가능할까 [70] 욕설7795 20/02/24 7795 1
84627 [일반] 대구 서구보건소 박살났군요..(수정 링크대체) [183] 유목민20679 20/02/24 20679 3
84607 [일반] 90년대 미국 연방정부의 실패: 루비 능선 대치 사건 [7] Volha10113 20/02/23 10113 9
84563 [일반] 대구가톨릭대병원서 부모에 간 기증자 코로나 확진 [103] Leeka11716 20/02/22 11716 1
84559 [일반] 코로나 확진자 +142명 추가. 현재까지 346명 확진 [241] Leeka15421 20/02/22 15421 2
84548 [일반] 미국 경선에서 샌더스 인기가 높은 김에 재미있는 이미지 하나 올립니다. [61] OrBef12285 20/02/21 12285 9
84514 [일반] 신천지 비난 여론과 관련하여... [393] jjohny=쿠마18668 20/02/21 18668 8
84494 [일반] [일상] 두부 조림 [9] 연필깎이4360 20/02/20 4360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