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2/20 19:15:20
Name 연필깎이
Subject [일반] [일상] 두부 조림
저희 할머니께선 참 음식을 잘하십니다.
그리고 그 음식솜씨는 고스란히 우리 이모가 물려받았습니다.
사실 제 이모는 육류를 전혀 못 드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닭백숙 등등 고기 요리를 그렇게 잘합니다.
맨날 이모한테 '솔직히 고기 못 먹는 거 거짓말이지?'라고 장난을 칠 정도입니다.

그에 반해 우리 엄마는 할머니의 손재주를 물려받았습니다.
요리를 잘하지 못하는 우리 엄마 덕에 제 성장기의 밥상은 주로 배달음식이었습니다.
그래도 좋았습니다. 우리 엄마랑 같이 밥을 먹으니까요.

엄마는 그래도 가끔 음식을 해주셨습니다.
그 중 제일 기억에 남는게 바로 '두부조림'입니다.
원체 두부를 좋아하긴 하지만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정말 특별한 맛이 났습니다.
그래서 맨날 엄마한테 두부조림을 해달라고 떼를 썼던 기억이 납니다.

나이를 먹고 타지로 대학을 가며 엄마를 보는 날이 점점 적어질 시점에,
집에 가면 항상 '뭐 먹고 싶어?'라는 물음에 '두부조림'이라고 답을 했습니다.
입대하고 휴가를 나와도 제 대답은 항상 같았어요.

그러면 엄마는 왜 자꾸 그걸 얘기하냐고 툴툴대면서도 만들어 주셨습니다.

사실 두부조림은 집 앞 반찬 가게에 흔히 보이는 음식이지 않습니까?
서울로 직장을 잡은 후 어느 날 두부조림이 너무 땡기는 겁니다.
해서 집 앞 반찬 가게에 급히 가서 두부조림을 샀습니다.

확실히 맛있었습니다. 정말 맛있었어요.
그런데 엄마가 해준 그 오묘한 맛이 안 나는 겁니다.
우리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짠맛과 단맛이 묘하게 섞인 그런 맛이거든요?
헌데 가게에서 파는 두부조림은 맛이 너무 깔끔해요.

뭔가 모를 실망감에 사로잡힌 저는 엄마한테 전화를 했습니다.
'나 이번 주말에 내려갈 테니까 내가 자주 먹는 걸 해달라'고 말이죠.
엄마의 '아 조림?'이라는 그 대답에 미소가 절로 지어졌습니다.

실은 요즘 직장 스트레스가 상당해서 힘이 듭니다.
원형탈모에 스트레스성 위염에 멀쩡하던 사람이 종합 병동이 되어가고 있더라구요.
흔히 몸과 마음이 아프면 맛있는 걸 먹고 푼다고 하잖아요?
얼마 전부터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이 너무 땡깁니다.

그래서 이번 주말에 두부조림을 먹으러 집으로 내려갈까 합니다.
어쩌면 두부 핑계를 대고 엄마를 보러 가는 걸지도 모르지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0/02/20 1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절로 미소가 나오는 훈훈한 이야기네요
두부조림 레시피는 받아두시면 좋을거 같아요(제가 궁금하니까 올려달라는 건 아닙니다 흠흠!)
저도 어머니가 해주시는 닭죽 좋아해서 얼마전에 요리해보려다가 전화로 이러쿵저러쿵 여쭤봤던게 생각났어요 크크
티모대위
20/02/20 19:44
수정 아이콘
따뜻한 이야기네요.. 건강하시길...!
20/02/20 19:52
수정 아이콘
집밥이 그립네요 ㅠㅠ
부대찌개
20/02/20 20:02
수정 아이콘
어서 두부조림 레서피를 내놓으십시오!!
치열하게
20/02/20 20:05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맛있죠. 따뜻한 흰 밥에 먹으면 꿀맛. 사실 두부가 다 맛있죠. 그나저나 할머님은 능력자셨네요.
그리움 그 뒤
20/02/20 20:06
수정 아이콘
좋아요~~
두부조림 맛있게 드세요
20/02/20 21:27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좋아요. 어머니께서 오래 오래 건강하시길 빕니다.
오지키
20/02/21 00:21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덕후로서 매우 공감합니다.
저도 몇개월만에 부모님 댁에가면 리퀘스트 no1요리가 두부조림이라서 정말 많은 양을 만들어주십니다.
따로살면서 저는 몇번이나 시도해봤지만 실패했습니다.
즉, 언젠가는 기억속에서만 머무를 요리라서 더 소중한 것 같네요.
껀후이
20/02/21 10:36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너무 좋아요...
그래서 레시피는 안 주시나요?!?
덕분에 훈훈하게 아침 시작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951 [일반] (그알)관악구 모자 살인사건 [83] 청자켓16478 20/03/08 16478 2
84859 [일반] (미국 경선) 수퍼 화요일 결과의 윤곽이 나오고 있습니다. [43] OrBef10823 20/03/04 10823 1
84852 [일반] (삼국지) 손권의 거짓 항복과 세 번의 승리 [41] 글곰8544 20/03/03 8544 15
84823 [일반] (삼국지) 삼국지의 전쟁과 역병들 [35] 글곰8666 20/03/02 8666 7
84812 [일반] 부티지지 대선경선 하차 [70] 어강됴리11426 20/03/02 11426 0
84811 [일반] [보건] 코로나19 유럽확산 현황 (3.2 오전) [73] aurelius16733 20/03/02 16733 5
84807 [일반] [보건]코로나 미국 근황. [53] kien16645 20/03/02 16645 1
84790 [일반] 인터넷만 발달하면, 선동당하는 일은 없겠지 [33] 꿀꿀꾸잉10056 20/03/01 10056 18
84763 [일반] 일본 홋카이도 근황 [80] 복타르17366 20/02/28 17366 8
84694 [일반] 우리의 출산율은 왜 이럴까에 대한 두가지 생각 [118] 도뿔이13756 20/02/26 13756 12
84680 [일반] 코로나 바이러스로 나이롱 환자 줄어 [27] DownTeamisDown9866 20/02/26 9866 0
84678 [일반] 다단계 끌려갈 뻔 했던 이야기 [37] 영소이8877 20/02/26 8877 32
84670 [일반] [경험담] 어쩌다 신천지에 빠지게 되는가 [103] jjohny=쿠마31499 20/02/25 31499 97
84655 [일반] [단상] 기독교가 기여한 긍정적인 유산 [97] aurelius16319 20/02/25 16319 23
84649 [일반] 샌더스가 슈퍼화요일이 지나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될 것같습니다. [40] 루저9788 20/02/25 9788 6
84642 [일반] PC는 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가. 유의미한 논의가 가능할까 [70] 욕설7795 20/02/24 7795 1
84627 [일반] 대구 서구보건소 박살났군요..(수정 링크대체) [183] 유목민20679 20/02/24 20679 3
84607 [일반] 90년대 미국 연방정부의 실패: 루비 능선 대치 사건 [7] Volha10113 20/02/23 10113 9
84563 [일반] 대구가톨릭대병원서 부모에 간 기증자 코로나 확진 [103] Leeka11716 20/02/22 11716 1
84559 [일반] 코로나 확진자 +142명 추가. 현재까지 346명 확진 [241] Leeka15420 20/02/22 15420 2
84548 [일반] 미국 경선에서 샌더스 인기가 높은 김에 재미있는 이미지 하나 올립니다. [61] OrBef12285 20/02/21 12285 9
84514 [일반] 신천지 비난 여론과 관련하여... [393] jjohny=쿠마18668 20/02/21 18668 8
84494 [일반] [일상] 두부 조림 [9] 연필깎이4360 20/02/20 4360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