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1/18 22:49:01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인구론은 아직 유효한것 같습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린우드
20/01/18 23:02
수정 아이콘
아싸들은 비혼으로 살아서 유전자가 이어지지 않고 인싸들만 결혼해서 유전자가 이어지니

미래 세대는 인싸피케이션의 세대일것이 틀림없습니다.
크림파이밀크
20/01/18 23:05
수정 아이콘
인구론은 인구를 줄여야 한다는 이론 아닌가요? 출산율 감소가 문제된다고 보시는데 그해결책이 인구 줄이는거란 건가요?
아슨벵거날
20/01/18 23:41
수정 아이콘
출산율 감소가 지속되고 고령자들이 삶을 마감하면 어느순간 자연스럽게 인구가 줄지 않을까 싶어서요.

그럼 인류가 개인의나은 삶을 위해 스스로 수를 줄인것이니 인구를 줄여야 한다라고 말한 맬서스의 말이 맞을수도 있다고 생긱해봤습니다.
20/01/18 23:05
수정 아이콘
불길하게도 이슬람 애들은 열심히 애를 낳고 있어서 유토피아보다는 디스토피아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미래에 대해서 걱정을 내다버린 유전자만 살아남을 것 같으니 어찌보면 유토피아일지도요.
박정희
20/01/19 01:05
수정 아이콘
이슬람의 대표국가 사우디 이란 등의 출산율은 한국보다는 높지만 점점 낮아져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고출산 국가는 아프리카의 빈국들입니다. 출산율 5~6명대인 나라와 1명대의 나라가 인구에 대해 가지는 관념은 다를 수밖에 없고요.
한사영우
20/01/18 23:07
수정 아이콘
변화의 시기에 혼돈과 어려움이야 당연하겠지만
대충 영화나 소설등에 등장하는 디스토피아는
항상 인구가 너무 많아 하층민들이 쓰레기더미 속에 살고 있는걸로 나오고
유토피아까진 아니지만 뭔가 깨끗하고 뭔가 발전한 미래는 (항상 뭔가 문제가 있는 사회지만)
어느 정도 인구수가 조절되 있는걸로 나오죠
미래를 예측하는 사람들도 한정적인 자원안에서 예측하다보니 인구수는 많을수록 살기 힘들다는 쪽인것 같습니다.
StayAway
20/01/18 23:18
수정 아이콘
인구 증가 속도와 식량 생산 증가를 보면 인구론 자체는 명백히 틀린게 맞긴한데,
기초 소득 같은 이야기가 꾸준히 나오는 걸로 봐서 저소득층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일은 없을거 같긴합니다.
개인적으로 최근의 급격한 출산율 감소를 보고있자면 레밍즈가 떠오르더군요.
20/01/19 00:54
수정 아이콘
타노스?
20/01/19 0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순히 식량만을 기준으로 보면 맬서스가 틀렸지만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 같은 신맬서스 이론이 등장했으니 맬서스가 마냥 틀렸다고 보기도 어렵죠. 케인즈도 맬서스 이론에서 모티브를 딴 경기안정정책을 주장한 바 있고요.

자원고갈이나 지구온난화 문제 등을 생각하면 저도 사실 저출산이 반드시 나쁜것만은 아니라는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부작용은 기계화가 메꿔줄거라고 생각하고요
i_terran
20/01/19 03:45
수정 아이콘
저는 경제성장이 자원고갈 환경파괴로 이어진다면, 한동안은 경제성장을 하지 말아야 하는 시기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인류 역사를 볼때 20세기 중후반 21세기 초반에 살았던 인류는 경제성장을 했고
이후 인류의 영원한 삶(특이점)을 위해서 자본을 쌓는 도구로 활용되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본문 글에 동의합니다.
아델라이데
20/01/19 12:14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의 저출산률은 사회적 조건때문에 만들어진거라고 보기 때문에 조건이 아이낳기에 좋아지면 다시 올라갈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우하향이 아니라 우하향 후 일정수준 유지 및 인구수 유지 정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아슨벵거날
20/01/19 13:50
수정 아이콘
정규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자영업자 안가리고 출산만 하면 엄마 아빠 모두가 자유롭게 각각 육아휴직 2년을 쓸수있고 육아휴직 중에도 일정한 급여가 나온다면 가능할 수도 있죠

과연 그런 사회가 올까요?
-안군-
20/01/19 14:27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출산율이 가장 높은 나라들은 아프리카와 동남아의 최빈국들이고, 선진국일수록 출산율이 낮아지죠. 이건 이슬람국가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정치와 경제가 안정된 나라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편입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전쟁직후나 흑사병 등이 지나간 직후에 베이비붐 현상이 일어나고요.
어쩌면 복지를 더 강화해서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이 되면 오히려 출산율이 더 낮아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VictoryFood
20/01/19 15:09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에 요즘 관심이 갑니다.
인간의 DNA에 살기 좋으면 복제에 대한 욕구가 떨어지게 되는게 아닌가 하구요.
살기 힘든 사회라면 숙주가 위험해지니 빨리 DNA를 복제해 새 숙주를 찾아야 하지만, 사는게 편하면 힘들게 새 숙주를 찾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요?
20/01/20 01:50
수정 아이콘
불편한 진실이지만 저도 이게 맞긴 하다고 봅니다.
출산률 높이려면 일단은 혼인율부터 높여야 하는데, 그러려면 여성의 재정 자립도가 떨어져야하고, 그러려면 나라가 불안정하거나 아니면 문화자체가 보수적이어야하죠. 자식이 부의 재창출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면 떨어질 수록 이런 경향은 심해지고요. 자식을 책임까지 져야하는 동아시아가 제일 저출산이 심하고, 그나마 내팽겨치기라도 하는 WASP가 조금 낫고, 그냥 일단 던져놓고보는 히스패닉계랑 흑인계층이 출산률이 그나마 높은걸 보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386 [정치] 기자 소속사와 얼굴까지 공개된 대통령실 브리핑 질의응답 근황 [25] Davi4ever9038 25/06/25 9038 0
104385 [일반] 동아일보에서 조사한 서울시 싱크홀 안전지도 [59] EnergyFlow6475 25/06/25 6475 0
104384 [일반] “우리가 매일 쓰는 그거, 100년 후엔 ‘21세기 석면’?” [52] 여기7388 25/06/25 7388 37
104383 [일반] AI는 주니어 킬러 꿈을 꾸는가 [64] 도롱롱롱롱롱이3803 25/06/25 3803 16
104382 [일반] 개인적인 지쿠악스 후기 [31] 티아라멘츠3587 25/06/25 3587 2
104381 [정치] 내란특검 윤석열 체포영장 청구 [121] a-ha16411 25/06/24 16411 0
104380 [일반] [만화] 최근 1년 동안 산 만화책(e북) 결산 [23] 글곰5177 25/06/24 5177 3
104379 [일반] 김구 선생님의 팬티는 그 곳에서 안녕하십니까? feat. K팝데몬헌터스 [37] LuckyVicky8644 25/06/24 8644 15
104378 [일반] 저의 차 구입기 [28] 흰둥6396 25/06/24 6396 5
104377 [일반] 지금이 가장 귀여울 때에요 [66] 소이밀크러버9120 25/06/24 9120 100
104376 [일반] (스포없음)k팝 데몬 헌터스 후기 [50] 깐부6878 25/06/24 6878 3
104375 [정치] 이란 카타르 미군기지에 보복 공격 [78] 허어여닷12711 25/06/24 12711 0
104374 [일반] 클레임은 확실하게... 뒷 탈 없게,,, [25] 기다림...그리6479 25/06/24 6479 10
104372 [정치] 2030 여성들이 가장 적대시하는 집단 [580] 제로투22164 25/06/23 22164 0
104371 [일반] BTS - 쩔어 코레오그래피 영상입니다. [10] 메존일각3212 25/06/23 3212 7
104370 [일반] 『미지의 서울』 - 양심은 어떻게 일어서는가? [21] meson3780 25/06/23 3780 10
104369 [일반] YES24가 던진 돌덩이로 다시 한번 도서 정가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듯. [17] 時雨4062 25/06/23 4062 6
104368 [일반] 동네 정형외과 의원이 2년만에 폐원을 하네요 [33] 앗흥7965 25/06/23 7965 0
104367 [정치]  이시바 총리, NATO 정상회의 불참으로 가닥… 중동 정세 등 종합적 판단인 듯 [438] 여기16512 25/06/23 16512 0
104366 [정치] 李대통령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 발표 [88] 전기쥐8844 25/06/23 8844 0
104365 [일반] 그날의 총성이 만든 세계: 쾨니히그레츠, 현대사의 첫 도미노 [9] 여기2253 25/06/23 2253 13
104364 [일반] 전기차 보급은 한국의 석유 의존도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을까? [23] 깃털달린뱀4694 25/06/23 4694 1
104363 [정치] 책 후기 - <기울어진 평등> [18] aDayInTheLife4267 25/06/22 42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