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07 17:47:01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도서] 광동무역체제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구 관련
영국 제국주의에 대한 일본서적을 한권 읽다가 든 생각인데,
우리나라에서 의외로 동아시아의 경제사에 대한 대중서가 거의 없는 거 같습니다.
교보문고에서 광동무역이라고 검색하면 관련 책이 전무하고
근대 동아시아로 검색해도 광동무역체제 
(차무역과 아편무역으로 영국->인도->중국->미국이 연결되는 거대한 세계무역체제) 에 대한 책은 딱히 없더군요

그런데 이 광동무역체제와 이로부터 촉발된 아편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에 끼친 영향을 생각하면
이에 대한 연구는 지금보다 훨씬 많아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위키피디아에서도 보니 광동무역에 대한 가장 우수한 아티클은 일본어였습니다. 
하필 왜 일본인들이 이에 대해 가장 집요하고 치밀하게 연구했는지도 궁금한 부분이네요. 

Canton System에 대한 위키피디아 한국어 페이지는 일본어 페이지를 축약 복붙 한 것인데
일본어 페이지에 들어가서 참고문헌을 보니 흥미로워보이는 책들이 여럿 있더군요

다른 한편 영미 쪽에서도 나름 꽤 흥미로운 책들을 몇권 출판했던데, 우리나라에서도 소개되면 좋을 거 같습니다. 

Global Trade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House of Houqua and the Canton System
19세기의 세계무역: 오병감과 광동체제

When America First Met China: An Exotic History of Tea, Drugs, and Money
미국이 중국을 처음 만났을 때: 차, 마약, 돈의 대서사시

저도 읽어보진 않았지만, 아래 책은 꼭 한 번 읽어보고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19/11/07 17:52
수정 아이콘
특별한 다른 이유가 없어도 동아시아 지역사연구가 자기지역 연구인 동아시아에서 학술저변이 가장 넓은 나라가 일본이라 연구성과가 잘 나온 형태에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19/11/07 17:59
수정 아이콘
대학교에서 처음 들어본 그 주제네요.
일본은 그 무역에 편승해 개화, 유신까지 성공했으니 당연히 관련 학계에선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일본학과 학부과정에도 나올 정도니) 조선은 당대의 국제무역 사이클에서 벗어나 있던 상태라 관련 대중서적이 적을 수 밖에 없을테지요.
저도 학교다닐때 얻어 들은것 약간하고 해당 주제에 정통한 블로그 글 조금 읽어본 것 밖엔 없네요 크...
TWICE NC
19/11/07 19:38
수정 아이콘
제가 학교서 배울 땐 그냥 중국의 차 구매량이 증가한 영국에서 무역수지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편 판매를 늘렸다 정도로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 그 이면엔 더 큰 무역의 흐름이 있었던 거네요
다크템플러
19/11/07 22:53
수정 아이콘
번역본 합치면 그나마 마크엘빈 서적이...
Jedi Woon
19/11/08 16:40
수정 아이콘
딱 그당시 조선 위정자들의 생각과 지금 현대인들의 생각이 동일한거 같습니다.
중국에서 양놈들이 쳐들어왔대. 거기 뭔일이 있든 우리랑 뭔 상관이야.
관심이 없으니 연구가 없고, 연구가 없으니 논문도 없고, 논문도 없으니 대중서야 뭐.....
말다했죠
19/11/08 17:11
수정 아이콘
소책자지만 기시모토 미오의 동아시아의 근세가 수박 겉은 핥아줬던 기억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476 [일반] [북한] 최선희, 북러 국제·역내 전략공조 위해 방문 [6] aurelius9213 19/11/20 9213 1
83475 [일반] 한략(韓略) (2) [33] 성상우7415 19/11/20 7415 3
83474 [일반] 난생처음 소송 피고가 되었습니다.(다들 감사합니다.) [45] lux16799 19/11/20 16799 1
83473 [일반] 겨울왕국2 개봉기념으로 쓰는 이야기 - 01. 겨울왕국팬들을 환장하게 만든 동영상 [10] 치열하게11324 19/11/19 11324 2
83472 [일반] 유니클로를 보니 불매운동이 저물어 가네요. [189] 그랜즈레미디20031 19/11/19 20031 6
83471 [일반] [바둑]은퇴를 바라보고 있는 이세돌 9단 [17] 及時雨13540 19/11/19 13540 8
83470 [일반] 한국(KOREA)의 정통성 [36] 성상우9316 19/11/19 9316 3
83469 [일반] 단순 실수로 전과목0점.. 수능4교시 논란 [107] 사악군17377 19/11/19 17377 14
83468 [일반] [역사] 19세기 프랑스인의 눈에 비친 조선 [29] aurelius13591 19/11/19 13591 35
83467 [일반] 디즈니+가 시작 텃날 가입자1000만명을 기록햇네요 [59] 강가딘14841 19/11/19 14841 0
83466 [정치] 홍콩을 바라보는 색다른 시각을 소개합니다 [48] Montblanc16683 19/11/19 16683 0
83465 [정치] 나경원 원내대표가 딸 면접을 맡은 교수를 올림픽 예술 감독으로 밀어주었다는 의혹. [598] kien20448 19/11/18 20448 0
83464 [일반] 여론참여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8] 6377 19/11/18 6377 0
83463 [일반] [테니스] 얼마나 고여있는지 다시 한 번 알아보자 [43] Rorschach16184 19/11/18 16184 4
83462 [일반] [고문서] 조선천주교의역사 (1874年) [12] aurelius8399 19/11/18 8399 8
83460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5) [20] 성상우9261 19/11/18 9261 2
83459 [일반] 왜냐맨 인기는 오래 갈까요 [103] 삭제됨15568 19/11/18 15568 9
83458 [일반] 자영업자는 정말 도인이 되야할 수 있는거 같습니다 [37] 삭제됨15545 19/11/17 15545 15
83457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4) [8] 성상우8582 19/11/17 8582 3
83456 [일반] (스포)사이코패스 3기 [7] 삭제됨8216 19/11/17 8216 0
83455 [일반] "정규직됐으니 월급 올려라"..공기업 골병 [140] 삭제됨100831 19/11/17 100831 14
83454 [정치] 두 전현직 의원의 21대 총선 불출마 선언문 [80] Jun91115925 19/11/17 15925 0
83453 [정치] 일본이 결국 규제품목 전부 수출 허가 하긴 했습니다. [132] 삭제됨19909 19/11/17 199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