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0/25 09:11:5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도서] 아시아근현대, "세계사 탄생 이후 800년"

22a050a01dd956eb28bf140d2d4a6aeb.jpg

 

어제 저녁 교보문고에서 흥미로운 책 한권을 발견했습니다. 

2019년 4월 신서형태로 발간된 일본책인데, 

아시아의 역사를 몽골제국의 성립부터 잡고 있다는 게 신선했습니다.  

 

목차를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서장 - 아시아 원형

1. 아시아 개요

2. 종교와 토착국가

3. 몽골제국 등장 이전 외세와의 교류

 

제1장. 몽골제국 - 세계사의 탄생

1. 몽골제국의 등장과 지배

2. 몽골제국 이후의 토착국가 - 몽골제국의 후계국가

 

제2장. 유럽세력의 충격 - 아시아의 대전환

1. 유럽세력의 식민지화

2. 유럽세력은 아시아를 어떻게 변화시켰나

 

제3장. 근대일본의 아시아지배

1. 아시아진출의 배경과 과정

2. 일본은 아시아를 어떻게 변화시켰나

 

제4장. 독립, 전쟁, 혼란 - 미국의 군사개입

1. 독립의 모습

2. 미국의 군사개입

3. 혼란스러운 독립국가들

 

제5장. 경제개발, 민주화, 아시아공동체 - 미국과의 협력 하에

1. 경제개발

2. 민주화

3. 미국과의 긴밀한 경제/사회 관계

4. 아시아 공동체의 길

 

종장. 아시아란 무엇인가

1. 세계사 관점에서 아시아의 특성

2. 이제부터의 아시아

 

저자는 몽골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이 어떻게 아시아를 변화시켰고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 수동적인 관점이 아니라 상호작용의 능동적인 관점에서 조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표지에서 "(아시아는) 지배당한 것만은 아니다"라고 쓰여있습니다. 

일단 주문해두었는데, 어서 한 번 읽어보고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각여삼추
19/10/25 09:24
수정 아이콘
일본어, 프랑스어까지 대단하시네요. 역사학 전공자신가요?
므라노
19/10/25 10:58
수정 아이콘
아니 일본어도 하실 줄 아시는겁니까.. 대단하네요.
마우스질럿
19/10/27 09:49
수정 아이콘
그냥 전형적인 일본인식의 사고방식이라고 봅니다.

몽골의 등장 이전까지는 동아시아의 변방 그중에서도 변방이었으나

몽골의 등장 이후로 세계사에 일본의 이름을 당당하게 올리니까요

비루 했던 과거를 잊고 싶은 일본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봅니다.

독도 문제를 가지고 샌프란시스코조약 이후만을 강조하는 일본의 시각도 그 이전까지는 이 지역의 영유권이 자기들에게 없음을 잘 자각하기 때문이듯이

몽골 등장 이전의 일본이란 중국의 한자,법률,제도등을 받아들여 문명화 되어가는 과정일 뿐이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387 [일반] 간접연관이론 [5] 성상우7294 19/11/11 7294 0
83386 [일반] 태연과 아이유 그리고 헤이즈와 백예린 [74] 야생의숨결19365 19/11/11 19365 6
83385 [일반] 방어의 계절입니다 묵은지를 준비합시다 [53] 비싼치킨14664 19/11/11 14664 33
83384 [일반] 딱하니 가진 재능은 없는데 성실한 학생 [78] OrBef23700 19/11/11 23700 55
83383 [일반] [역사] 1877년 조선 외교관의 일본시찰 [40] aurelius14423 19/11/10 14423 13
83381 [일반] 병원에서의 선교행위 이래도 되는건가요? [74] 중년의 럴커16584 19/11/10 16584 26
83380 [일반] 수능중심이면 일반고가 더 좋습니다. [89] 펠릭스30세(무직)14128 19/11/10 14128 15
83379 [일반] 한국의 이미 높고, 앞으로 더 높아질 평균수명에 대해 [63] 데브레첸16632 19/11/09 16632 4
83378 [일반] 예비고사의 추억(2) [7] 이순6960 19/11/09 6960 3
83377 [일반] 서서히 밝혀지고 있는 데스 스트랜딩이라는 게임의 목적. [54] 삭제됨19122 19/11/09 19122 35
83376 [정치] 저출산과 역사, 정치 [20] antidote11276 19/11/09 11276 0
83375 [정치] 조선일보가 분석한 페미니즘 이슈 [44] 나디아 연대기15523 19/11/09 15523 0
83374 [일반] [팝송] 미카 새 앨범 "My Name Is Michael Holbrook" [3] 김치찌개8444 19/11/09 8444 2
83373 [일반] 한국(KOREA)이 나아갈 길 [8] 성상우7805 19/11/09 7805 3
83372 [일반] 제일 효과적인 금연 방법 [24] 삭제됨9219 19/11/09 9219 3
83371 [일반] 새벽단상(Feat.진슬기 신부님) [1] 포인트가드5835 19/11/09 5835 2
83370 [일반] 내가 생각하는 저출산의 확실한 해법 [43] 삭제됨13103 19/11/09 13103 3
83369 [일반] 갑자기 감성적이 되어서 쓴 (사실 맥주 두 캔 먹어서 쓴) 첫사랑 이야기 [3] 8131 19/11/08 8131 8
83368 [정치] 북한 주민 추방의 법률적 의미 [438] 사악군21113 19/11/08 21113 0
83367 [정치] 북송을 스스로 강력히 요구하는 경우에도 강제로 '억류'해야 하나?(feat.야당의 무한 트집) [61] coyner11456 19/11/08 11456 0
83366 [일반] 5차 산업혁명 [17] 성상우11897 19/11/08 11897 2
83365 [일반] 한국 저출산의 미래, 영향 그리고 대책. [519] 아리쑤리랑55424 19/11/06 55424 136
83364 [일반] [인터뷰] 어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이코노미스트 인터뷰 [17] aurelius11740 19/11/08 11740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