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0/12 18:24:40
Name aurelius
File #1 0491F13F_4E8D_4C79_AF1D_B5CBD0097763.jpeg (186.1 KB), Download : 72
Subject [일반] [일상글] 이번주에 구매한 도서 목록


이번주에 교보문고와 알라딘 중고책방에서 구매한 도서 목록입니다

1. The Marshall Plan
미국 냉전봉쇄정책의 핵심 마셜 플랜에 대한 책으로 파이낸셜타임즈와 뉴욕타임즈의 찬사를 받은 책입니다. 지정학적 관점에서 마셜플랜의 도입 과정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정책결정자들의 의견과 이견, 경쟁과 논란 그리고 이 정책을 둘러싼 유럽과 소련의 입장을 폭넓고 심도 있게 분석한 책이라고 합니다.

2. 정해진 미래
서울대 보건대학교 교수가 저술한 책입니다. 최악의 출산율, 급감하는 인구.... 사회에는 무수히 많은 변수가 있지만 인구만큼은 정확한 변수라고 합니다. 엄청난 속도로 감소하는 대한민국의 인구가 미치는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여파를 다루는 책입니다.

3. 가짜 민주주의가 온다(원제: the road to unfreedom)
유명한 미국 학자 티모시 스나이더가 저술한 책입니다. 동유럽 역사의 권위자인데, 이번에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나아가 유럽과 미국에서 어떻게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책입니다. 가짜뉴스의 파급력도 다루고 있습니다.

4. 지적이고 과학적인 음주탐구생활
공대 교수가 저술한 책이라는데, 목차가 무척 재미있어보입니다. 맥주와 와인, 위스키와 소주 각 주종의 역사와 이를 둘러싼 다양한 일화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5. 빵과 서커스
일본 도쿄대 건축학과 교수가 지은 책인데, 로마제국의유명한 문화적 유산을 건축학적,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6. 지극히 사적인 프랑스
비정상회담에도 출연했던 오헬리엉이 한국인 작가와 공동저술했다던데, 환타지와 로망을 배제하고 현지인이 느끼는 날것 그대로의 프랑스를 소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서 한 번 읽어봐야겠습니다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12 19:03
수정 아이콘
오 정해진 미래 재밌겠네요. 시험 끝나면 도서관 가서 읽어봐야지
갤럭시S10
19/10/12 19:14
수정 아이콘
정해진 미래 읽어보고 싶네요 흐흐
19/10/12 19:40
수정 아이콘
다 읽고 싶네요. 흐흐 추천감사합니다
키비쳐
19/10/12 19:54
수정 아이콘
먼저 읽어본 입장에서, 정해진 미래는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저출산에 대해서 조금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책이었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19/10/12 21:17
수정 아이콘
본문을 보고 생각해보니 도서관울 꽤 오랫동안 안갔었네요..
어차피 하는 게임은 오토로 돌리니, 이번주에는 간만에 도서관에 가봐야겠네요.
강미나
19/10/13 01:09
수정 아이콘
정해진 미래 꽤 괜찮았습니다. 다만 저자는 출산율보다는 출산아 수를 기준으로 잡아야 한다면서 연간 출생 45만 전후 정도면
일단 어떻게든 버틸 수는 있는 최저한의 수치라는 분석을 제시했는데(15년 정도까지가 딱 그 수치였습니다)
17-18 부동산 폭등을 거치면서 현재는 35만도 깨진 상황이라.... 진짜 출산율 문제는 파고들면 들수록 노답이더군요.
chilling
19/10/14 01:44
수정 아이콘
역시 같은 책을 읽어도 사람마다 다르게 느낀다는 게 재밌습니다. 정해진 미래를 추천하는 분들이 많은데 저는 이 책 정말 별로라고 생각하거든요.

흥미로운 통계들을 한 권에 모아 편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 말고는 좀 심하게 말하자면 종이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편협한 주장이 가득하다고 평가합니다. 인구통계를 전문으로 하는 학자가 다른 영역 침범해 단적으로 이야기하는 것부터 마음에 안 들었는데 그 조차도 틀린 경우가 적지 않고, 결론부에 알맹이 없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 등 서울대 교수라는 타이틀만 빼면 저와 같은 장삼이사들이 인터넷에서 떠드는 수준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19/10/16 08:5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제목과 책 소개를 보고 별로일 거 같았는데
또 댓글 흐름은 추천이라 사야되나 하고 있었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214 [일반] [미국] 이번달 가장 중요한 뉴스 [34] aurelius13021 19/10/23 13021 4
83212 [일반] [역사] 잊혀진 개화기의 풍운아, 이동인 [4] aurelius8511 19/10/23 8511 9
83211 [일반] 마블영화 관련 게시물을 보고 생겨난 새벽 감성 [13] cloudy7795 19/10/23 7795 3
83210 [일반] [삼국지]미축, 인생을 건 도박을 하다 [38] 及時雨10750 19/10/23 10750 44
83209 [일반] 나이가 무슨 상관인데 ? [37] ikabula10750 19/10/23 10750 11
83208 [일반] 대한민국의 수학능력 시험의 문제점. [48] 펠릭스30세(무직)12885 19/10/23 12885 6
83207 [일반] [잡글] 진격의 거인과 일본의 패전 의식 [45] aurelius14777 19/10/22 14777 14
83206 [일반] 두번째 삼국시대. [16] Love&Hate16569 19/10/22 16569 38
83205 [일반] 자연선택설이 아닌 인간선택설? [31] VictoryFood11183 19/10/22 11183 1
83204 [일반] 요즘 배달대행의 음식 빼먹기에 대해 이야기가 많네요 [99] Cand17528 19/10/22 17528 2
83203 [일반] 정시 확대와 함께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들 [91] 아유9519 19/10/22 9519 4
83202 [일반] [단상] 한국과 일본이 바라보는 미국/서구 [108] aurelius15265 19/10/22 15265 30
83201 [일반] 아들과 놀기! 이런저런 로보트 장난감 평가 [44] 하나둘셋9721 19/10/22 9721 6
83200 [일반] (삼국지) 두기, 윗사람에게 아부하지 않는 당당함 [28] 글곰9765 19/10/22 9765 39
83199 [정치] [단독] 도넘은 공기업 정규직화…이번엔 건보 1600명 [481] 미뉴잇23269 19/10/22 23269 0
83198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을 만든 4명의 영국인 [14] aurelius9062 19/10/22 9062 12
83197 [일반] 쓰레기 대학원에서 정승처럼 졸업하기 2 [6] 방과후계약직7331 19/10/22 7331 4
83195 [정치] 이준석이 말하는 주류 정치인들이 홍콩 시위에 침묵하는 이유 [228] 나디아 연대기26318 19/10/21 26318 0
83194 [일반] 골프 백돌이를 왠만큼 벗어났음을 느끼며 [46] 목화씨내놔9902 19/10/21 9902 4
83193 [일반] 나는야 러익점. 중증 게이머에게 러블리즈를 전파하다. [57] 트린8858 19/10/21 8858 2
83192 [일반] [단상] 왜 갑신정변은 실패할수밖에 없었나? [29] aurelius10947 19/10/21 10947 13
83191 [정치] 일반적인 형사재판의 절차 [26] 烏鳳11383 19/10/21 11383 0
83190 [정치] 검찰이 조국 부인 정경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73] 덴드로븀17679 19/10/21 176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