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0/12 18:24:40
Name aurelius
File #1 0491F13F_4E8D_4C79_AF1D_B5CBD0097763.jpeg (186.1 KB), Download : 45
Subject [일반] [일상글] 이번주에 구매한 도서 목록


이번주에 교보문고와 알라딘 중고책방에서 구매한 도서 목록입니다

1. The Marshall Plan
미국 냉전봉쇄정책의 핵심 마셜 플랜에 대한 책으로 파이낸셜타임즈와 뉴욕타임즈의 찬사를 받은 책입니다. 지정학적 관점에서 마셜플랜의 도입 과정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정책결정자들의 의견과 이견, 경쟁과 논란 그리고 이 정책을 둘러싼 유럽과 소련의 입장을 폭넓고 심도 있게 분석한 책이라고 합니다.

2. 정해진 미래
서울대 보건대학교 교수가 저술한 책입니다. 최악의 출산율, 급감하는 인구.... 사회에는 무수히 많은 변수가 있지만 인구만큼은 정확한 변수라고 합니다. 엄청난 속도로 감소하는 대한민국의 인구가 미치는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여파를 다루는 책입니다.

3. 가짜 민주주의가 온다(원제: the road to unfreedom)
유명한 미국 학자 티모시 스나이더가 저술한 책입니다. 동유럽 역사의 권위자인데, 이번에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나아가 유럽과 미국에서 어떻게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책입니다. 가짜뉴스의 파급력도 다루고 있습니다.

4. 지적이고 과학적인 음주탐구생활
공대 교수가 저술한 책이라는데, 목차가 무척 재미있어보입니다. 맥주와 와인, 위스키와 소주 각 주종의 역사와 이를 둘러싼 다양한 일화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5. 빵과 서커스
일본 도쿄대 건축학과 교수가 지은 책인데, 로마제국의유명한 문화적 유산을 건축학적,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6. 지극히 사적인 프랑스
비정상회담에도 출연했던 오헬리엉이 한국인 작가와 공동저술했다던데, 환타지와 로망을 배제하고 현지인이 느끼는 날것 그대로의 프랑스를 소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서 한 번 읽어봐야겠습니다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12 19:03
수정 아이콘
오 정해진 미래 재밌겠네요. 시험 끝나면 도서관 가서 읽어봐야지
갤럭시S10
19/10/12 19:14
수정 아이콘
정해진 미래 읽어보고 싶네요 흐흐
19/10/12 19:40
수정 아이콘
다 읽고 싶네요. 흐흐 추천감사합니다
키비쳐
19/10/12 19:54
수정 아이콘
먼저 읽어본 입장에서, 정해진 미래는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저출산에 대해서 조금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책이었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19/10/12 21:17
수정 아이콘
본문을 보고 생각해보니 도서관울 꽤 오랫동안 안갔었네요..
어차피 하는 게임은 오토로 돌리니, 이번주에는 간만에 도서관에 가봐야겠네요.
강미나
19/10/13 01:09
수정 아이콘
정해진 미래 꽤 괜찮았습니다. 다만 저자는 출산율보다는 출산아 수를 기준으로 잡아야 한다면서 연간 출생 45만 전후 정도면
일단 어떻게든 버틸 수는 있는 최저한의 수치라는 분석을 제시했는데(15년 정도까지가 딱 그 수치였습니다)
17-18 부동산 폭등을 거치면서 현재는 35만도 깨진 상황이라.... 진짜 출산율 문제는 파고들면 들수록 노답이더군요.
chilling
19/10/14 01:44
수정 아이콘
역시 같은 책을 읽어도 사람마다 다르게 느낀다는 게 재밌습니다. 정해진 미래를 추천하는 분들이 많은데 저는 이 책 정말 별로라고 생각하거든요.

흥미로운 통계들을 한 권에 모아 편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 말고는 좀 심하게 말하자면 종이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편협한 주장이 가득하다고 평가합니다. 인구통계를 전문으로 하는 학자가 다른 영역 침범해 단적으로 이야기하는 것부터 마음에 안 들었는데 그 조차도 틀린 경우가 적지 않고, 결론부에 알맹이 없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 등 서울대 교수라는 타이틀만 빼면 저와 같은 장삼이사들이 인터넷에서 떠드는 수준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19/10/16 08:5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제목과 책 소개를 보고 별로일 거 같았는데
또 댓글 흐름은 추천이라 사야되나 하고 있었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474 [일반] [유럽] 독재국가화 하는 헝가리, 무력한 유럽연합 [32] aurelius12325 20/03/31 12325 0
85131 [일반] [스연] 도쿄올림픽 취소결정. 아베 발표 미루는중.. 현지보도 [98] 스웨트18542 20/03/16 18542 2
84970 [일반] 자화자찬의 클래스가 다른 중국 [40] Normal one10018 20/03/09 10018 9
84284 [일반] 텐센트의 사망자 표기 오류 : 중국의 코로나 관련 통계를 믿을 수 있을까? [57] 곰그릇10201 20/02/06 10201 2
84159 [일반] 우한 폐렴에 대해 제가 보고 들은 것들. [49] 오클랜드에이스19252 20/01/27 19252 68
83425 [일반] 4C - 글을 쓸 때 이것만은 기억해 두자 [43] 이치죠 호타루8596 19/11/15 8596 32
83094 [일반] [일상글] 이번주에 구매한 도서 목록 [8] aurelius7474 19/10/12 7474 3
81406 [일반] 문재인이 사실상 순국유가족 농락하네요. [578] 차오루38272 19/06/06 38272 116
81206 [일반] [단상] 유럽의 어제, 유럽의 오늘, 유럽의 내일 [41] aurelius8214 19/05/21 8214 8
80967 [일반] 공주보 교량, 지하수, 가뭄 그리고 가짜뉴스(PD수첩) [24] 읍읍13349 19/04/27 13349 24
80966 [일반] 선진국 치매 연구 근황.jpg 이라고 돌던 자료가 가짜뉴스라는군요 [41] 말다했죠13896 19/04/27 13896 7
80754 [일반] 하청노동자는 더 많이 죽을까? 팩트입니까? [76] 삼공파일11776 19/04/11 11776 12
80497 [일반] '반페미 유튜브 규제?' 가짜뉴스에 곤혹스러운 여가부 [122] 치열하게17620 19/03/20 17620 33
80431 [일반] 연예 지망생 성접대 의혹에 대한 구체적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49] 준벙이18448 19/03/14 18448 5
80250 [일반] 최근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부가 불법 낙태약 사이트만 차단을 해제했다'라는건 가짜뉴스라고 합니다 [142] 修人事待天命19244 19/02/27 19244 44
80043 [일반] 홍카콜라와 알릴레오, 숨지 말고 나오세요. [45] 마담리프9878 19/02/11 9878 3
79887 [일반] 가짜뉴스 판명으로 글삭제 [78] 삭제됨19157 19/01/27 19157 8
79864 [일반] 음모와 배신이 난무하고 가짜뉴스가 진짜뉴스로 둔갑하는 세상 [102] 라이츄백만볼트13038 19/01/25 13038 9
79830 [일반] [외신] 프랑스-독일 신우호조약 "아헨 조약" 체결 [61] aurelius10902 19/01/23 10902 6
79723 [일반] (충격) AI가 만든 가짜뉴스의 위력 [24] aurelius12940 19/01/12 12940 0
79707 [일반] [단상] 탈권위주의 그리고 SNS 시대의 민주주의 [107] aurelius12268 19/01/11 12268 32
79515 [일반] 정정보도는 1면에 해야한다는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72] 홍승식9766 18/12/28 9766 4
79210 [일반] [뉴스 모음] No.219. '언론인', 아니 '천룡인'들의 '아님 말고' 외 [37] The xian10402 18/12/09 10402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