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09 20:52:37
Name FLUXUX
Subject [일반] 패션고자이던 내가 이세계에서는 패션리더? (수정됨)
 초등학교시절, 저는 옷에 대한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랑죠가 그려진 반짝반짝한 신발을 갖고 싶어 엄마를 졸랐던 게 유일한 관심이었습니다. 그러다 옷에의 욕망은 이성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 중학교 때 폭발했고, 저는 친구들과 안양지하상가에서 초면에 살갑게 어깨에 팔을 두르는 2인 1조 형님들을 피해 다니며 쇼핑을 했습니다. 그 때에도 친구들과 저의 옷을 고르는 기준은 처참했어요. 슬램덩크 캐릭터 티셔츠를 서로 사고 싶지만 똑같은 옷 사기는 싫어 가위바위보를 하고, 한창 힙합이 유행할 때라 로카웨어나 DC, 팀버랜드, 에코같은 브랜드들의 카피들을 너도나도 샀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엔 힙합은 물 건너갔지만 여전히 쇼핑은 안양지하상가였습니다. 엄마가 사오시는 옷들은 그 당시 표현으로 범생이같았다고 할까요. 그러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유별난 친구를 한명 발견했습니다. 친하지 않으면 사복 입은 모습 보기 힘든 게 고등학교이지만 세 가지 케이스에서 자신의 패션을 뽐낼 수 있었습니다. 체육시간, 소풍(수학여행), 겨울. 체육시간에는 체육복을 빨거나 안 가져왔다고 변명하고 티셔츠를 뽐낼 수 있었고, 소풍은 고등학교의 패션위크였고요. 겨울에는 어떤 아우터로 자신만의 개성을 뽐내느냐가 관심이었죠. 그때는 힙합브랜드의 두꺼운 후리스같은 점퍼가 유행했습니다. 그런데 그 유별난 친구는 소풍에 카라셔츠를 이중으로 레이어드해서 입고 오는 당시로서는 기행을 뽐내었고, 겨울에는 아메리칸 이글의 양털자켓을 입었습니다. 양털자켓을 처음 봤을 때의 그 충격이란... 뭔가 어른같은 그 느낌에 압도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저의 패션은 안양지하상가의 한도 내에서만 존재했었습니다.
 

대학교 입학 전, 친구들과 쇼핑을 가서 지하상가를 벗어나 리바이스 생지데님자켓과 엔지니어드 진, 카고바지, 그리고 그 당시의 최고의 유행템인 비니모자색깔세트를 샀습니다. 이 때 알았어야 하는 것은, 옷은 가장 예쁜 한 벌을 사는 것보다 무난한 5일치 옷을 사는 게 훨씬 더 낫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곧 두 살 연상의 동아리 선배와 사귀게 되는데 그 누나가 저를 간택한 이유는 그 옷을 입는 센스가 1학년 애송이같지 않았다 였습니다. 이 발언은 저의 패션을 10년간 정체되게 만든 주범입니다. 저는 건방지게도 스스로의 안목에 콧대가 높아졌고 가장 예쁜 옷 하나를 내가 가진 전부를 쏟아붓더라도 사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가장 예쁜 옷을 하나 사고 가지고 있는 옷들을 그 예쁜 옷에 맞춰 사다보니 그 옷을 안 입는 날은 패션고자가 될 수 밖에 없었고, 제가 색약이 있어 색의 오묘함을 맞추지 못하다 보니 초록색 니트와 주황색 바지를 입었다가 당근같다며 당근으로 불리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연애를 할 때는 제 꼴을 못 버틴 여자친구들이 옷을 골라주어 조금 나아지는 때가 생겼습니다.
 

그러다 취직을 하게 되었고, 정장을 입게 되었습니다. 인터넷 속성 정장 공부를 하고 나니 정장입는 공식이 정말 쉬웠습니다. 기본템 최소 두 개씩만 있으면. 차콜&네이비 수트, 블랙&브라운 구두&벨트만 있으면 셔츠와 타이의 베리에이션만으로도 다양한 느낌을 낼 수 있었죠. 취직 초반 월급을 수트에 투자하고 어느 정도 수트가 완성되고 나서는 셔츠와 타이에 투자를 하니 그 재미가 엄청났습니다. 색상도 복잡한 색은 많이 사용되지 않기도 하고요. 그렇게 취직하고 2년 뒤 저는 FLUXUX씨 정말 옷 잘입네! 라는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처음으로 들어보는 그 짜릿함이란.
 

그러나 인생사 새옹지마라던가요. 저는 얼마 전 캐주얼한 옷을 입는 회사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이제 정장은 더 이상 필요가 없어졌고, 제 캐주얼한 옷들은 전 직장 시절 나이와 회식으로 찐 배를 가리기 위한 중학교 때 힙합룩같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이젠 양털자켓을 입던 친구를 보고 슥 지나갈만큼 패션에의 욕심이 없지 않습니다. 일단은 운동을 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캐주얼의 복잡한 공식들을 이해하러 가야겠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패션생활 되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천호우성백영호
19/09/09 20:54
수정 아이콘
너무나...눈이 아픕니다...
19/09/09 20:56
수정 아이콘
크흡.... 작.전.성.공.이군요.
19/09/09 21:09
수정 아이콘
딱히 패셔니스타는 아니었지만 결혼하고 애가 나오니 패션에 까지 힘쓸 여력이 사라지네요ㅠ
19/09/09 21:14
수정 아이콘
패션이야 결국 자기만족일 뿐 아니겠습니까. 그래도 행복하시죠?
Zoya Yaschenko
19/09/09 21:57
수정 아이콘
여자친구들이 밑줄 쫙
스테비아
19/09/09 22:06
수정 아이콘
안되겠소. 쏩시다!
19/09/09 23:06
수정 아이콘
사.... 삼년넘게 솔로에요. 선처해주시길 바랍니다....
카롱카롱
19/09/10 00:23
수정 아이콘
녀자친구들이 옷을 골라주기도 하는군요...
티모대위
19/09/10 14:57
수정 아이콘
제 여친도 참다 참다 못해서 옷 골라주더라고요.. 언제부턴가 제가 새로 사는 모든 옷은 여친님의 손을 거칩니다...
답이머얌
19/09/10 07:41
수정 아이콘
그럼 다시 안양지하상가로....
Albert Camus
19/09/10 08:10
수정 아이콘
안양으로 갑시다!
처음과마지막
19/09/10 12:02
수정 아이콘
패션의 완성은 얼굴과 몸매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778 [일반] 학종 vs 수시 vs 정시 [90] 주워니긔8027 19/09/19 8027 13
82777 [일반] 학종에 대한 소심한 응원글 [77] 하아위8633 19/09/19 8633 15
82776 [정치] 아마존, 알렉사를 통해 선거 정보 전달 [4] 타카이8062 19/09/19 8062 0
82775 [일반] 서울시교육청에서 일요일 학원 휴무제를 추친합니다. [121] Leeka10288 19/09/19 10288 1
82774 [일반] 담배, 니코틴, 금연, 챔픽스 [19] 모모스201313710 19/09/19 13710 5
82773 [일반] 수시로 무너져가던 모교 이야기 [71] 아웅이10982 19/09/19 10982 47
82772 [일반] 제주도 버스를 이용하실땐 카카오맵을 이용하세요 [14] 삭제됨6700 19/09/19 6700 3
82771 [일반] 이상화(Idealization)와 평가절하(Devaluation), 도덕화와 흑백논리 [13] Synopsis6865 19/09/19 6865 3
82770 [정치] 문대통령 국정지지도, 취임 후 최저치 [166] 물멱15342 19/09/19 15342 25
82769 [일반] (삼국지) 종요, 가장 존경받았던 호색한 [25] 글곰10135 19/09/19 10135 9
82768 [일반] 정말 정시는 수시보다 돈이 많이 드는, 금수저들을 위한 전형일까? [122] 25cm15247 19/09/19 15247 12
82767 [일반] [도움요청글] 본인, 주변에 RH+ 0형 계실까요? [10] 분당선7085 19/09/18 7085 1
82765 [일반]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 검거 + 경찰,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 관련해서 내일 오전 9시 30분 브리핑 예정 [220] 한국화약주식회사29223 19/09/18 29223 9
82763 [정치] 자유한국당 김재원 "수시 폐지, 정시 100%" 법률안 발의 [252] 리니지M14648 19/09/18 14648 33
82760 [정치] 정경심 교수의 표창장 퍼즐 조각이 거의 맞춰진 거 같아요. [206] 박진호32624 19/09/18 32624 54
82759 [일반] 조만간 개봉할 조커 영화가 어떤 분들의 심기를 건드렸나 봅니다. [185] HiThere23415 19/09/17 23415 31
82758 [일반] [단상] 영원의 도시 로마, 서구문명의 심장 [6] aurelius9962 19/09/17 9962 12
82757 [일반] 근로시간 단축 딜레마 [174] 오른발의긱스19773 19/09/17 19773 20
82754 [일반] 국내 돼지열병 첫 감염사례 발견. [71] 삭제됨13831 19/09/17 13831 2
82753 [일반] (삼국지) 육항, 대를 이은 오나라의 보루 [19] 글곰10236 19/09/17 10236 21
82752 [일반]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114] sakura18231 19/09/17 18231 3
82751 [일반] 미국 셰일혁명 근황.JPG [114] attark19493 19/09/17 19493 9
82750 [일반] PGR러들에게 무쓸모한 정보. 당신의 정자상태에 대해 알아봅시다. [52] 사업드래군13253 19/09/16 13253 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