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8/19 23:59:49
Name style
Subject [일반] 어정쩡한 신용카드가 단종됩니다.


https://card.search.naver.com/card.naver?where=service&query=KB%EA%B5%AD%EB%AF%BC+Liiv+Mate%EC%B9%B4%EB%93%9C&anq=0&singleCardId=1687&is=1&benfDetail=1

국민카드가 또 칼질을 합니다.
이 카드의 특징은 페이류 2% 무제한 적립입니다.
보통의 카드는 적립률이나 할인율이 높지만 한도가 있지만 이 카드는 없어서 몇 백만원 이상 고액 결제시에 도움이되죠.

근데 그 카드가 단종이 됩니다.
이 카드 처음 나올때부터 어정쩡해서 발급받을까 말까 고민했는데 고민의 마지막이 다가오네요.
사용하고있는 다른 카드들이 보통 평균적인 월 사용액에선 더 혜택이 좋은데
다른 큰 목돈이 들어갈 경우는 이 카드가 또 괜찮은거죠...

혹시 제가 결혼할때 좀 도움이 될까 싶어서 저는 신청해보긴하는데 쓸 일이 있을런지...

홈페이지/모바일 발급 신청은 20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포스2
19/08/20 00:10
수정 아이콘
결혼할때 큰돈을 신용카드 긁을때 썼습니다.
지포스2
19/08/20 00:14
수정 아이콘
써보니까 적립류 중에서는 이만한게 또 별로 없더라구요..
19/08/20 00:17
수정 아이콘
근데 평균 월 사용액으로는 혜택 한도가 적어서.. 이정도면 상당히 괜찮은 것 같더라고요.
19/08/20 00:42
수정 아이콘
국세 납부용으로 좋죠.
19/08/20 02:55
수정 아이콘
이거 쏠쏠한데... 진짜 좀 쓸만하다 여겨지는 카드들은 여지없이 단종이네요
모나크모나크
19/08/20 08:51
수정 아이콘
대박카드는 아닌데 큰 돈 쓸 일 있어서 긁을 때 좋습니다. 적립 한도가 없이 페이로 2% 되니까.. 이런 카드는 잘 없거든요.
이사하면서 가전살 때 곧 산후조리원.. 이런 일 있으신 분들은 발급 받아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19/08/20 08:56
수정 아이콘
좋은거 알아갑니다.
나무늘보
19/08/20 09:52
수정 아이콘
그런데 막상 목돈이 들어갈 상황이 1년에 몇번 없는 분들이라면
연회비 생각하시면 또......
계륵 같은 카드네요
제임스림
19/08/20 10:07
수정 아이콘
저는 이카드 저카드 혜택 맞춰가면서 쓰는것 자체가 피곤해서
그냥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2% 적립해주는 이 카드를 쓰고 있습니다.
그 동안 여행 경비니 대형 가전이니 큰 돈 쓸일이 종종 있긴 했지만
그거 아니어도 그냥 저냥 쏠쏠합니다
1perlson
19/08/20 10:2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신용카드는 뭐 매입한다고 천단위로 쓰는거 아니고 평균적으로 1~2백 정도 쓴다고 하면 이것 저것 알아보고 고민하고 쓰는게 더 손해라고 생각합니다. 불필요한거 한 번 덜 사는게 돈 버는거라 괜히 뽐뿌한다고 불필요한거 싸게 사는거랑 비슷한거라고 생각해서 저도 지금 쓰는 마일리지 카드 별로 의미 없다고 보지만 규모있는 자영업자가 되기 전까진 무쓸모 같습니다.
안프로
19/08/20 13:14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2%는 전월실적 30만원이군요 주카드로 쓰면 괜찮을 것 같고
유지용으로 두기엔 연회비가 15000원이라 애매하네요
19/08/20 13:5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모바일로 페이류로 써서 2% 해택보시려면 모바일 카드 연회비 6천원 짜리도 있습니다
안프로
19/08/20 14:03
수정 아이콘
오호 그럼 알파원카드로 이식해서 쓸수 있으니 괜찮겠네요
19/08/20 14:24
수정 아이콘
쓸 일 없는데 단종이라길래 일단 만들었습니다.
지금 갖고있는 마일리지 카드 단종 전까지는 계속 쓸 예정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432 [일반] 군대로 이해하는 미국의 간략한 현대사. [32] Farce9737 20/05/27 9737 36
86298 [일반] 현재 미국의 식료품 상황.... [16] 쿠키고기11889 20/05/18 11889 7
86177 [일반] 시대의 주인(Master Of Age) [11] 성상우6279 20/05/12 6279 1
86115 [일반] 제논의 역설과 볼츠만의 비탄 [14] 나는모른다10228 20/05/08 10228 4
84612 [일반] [도서] 우리집 서재 도서 목록 공유합니다 [14] aurelius15869 20/02/23 15869 17
84431 [일반] 생태학적 레닌주의를 시도할 때이다 [번역] [15] 아난6354 20/02/18 6354 3
84385 [일반] 조던 피터슨 근황 [26] Volha14454 20/02/13 14454 2
84159 [일반] 우한 폐렴에 대해 제가 보고 들은 것들. [49] 오클랜드에이스19352 20/01/27 19352 68
84020 [일반] 2020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 발표 [21] Rorschach11295 20/01/13 11295 5
84008 [일반] Elfenlied의 오프닝 테마 송 - LILIUM [6] 아난4989 20/01/12 4989 0
82266 [일반] 어정쩡한 신용카드가 단종됩니다. [14] style10181 19/08/19 10181 0
81884 [일반] [역사] 스페인 유대인들의 역사 [8] aurelius8398 19/07/19 8398 14
81700 [일반] [토막글] 트위터로 팔로우하기 좋은 사람들 [14] aurelius7958 19/07/05 7958 0
81531 [일반] [연재] 마나 소모량을 줄이자, 습관화 - 노력하기 위한 노력 (6) [29] 228731 19/06/19 8731 37
80215 [일반] (부분 번역) 여가부 방송 가이드라인에 대한 뉴욕 타임즈 기사 [21] OrBef10850 19/02/22 10850 3
79976 [일반] 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63] Danial11883 19/02/02 11883 28
79942 [일반] 예비타당성 조사가 SOC 최후의 보루인 이유 [120] 아유12738 19/01/30 12738 15
79719 [일반] 조지 워싱턴의 급박한 열흘 [32] OrBef12362 19/01/12 12362 67
79660 [일반] 33세. 음악감상. 40세 [6] MelanCholy6827 19/01/07 6827 1
79528 [일반] 심리학의 중대한 오류들 [25] 나는모른다13409 18/12/29 13409 0
79463 [일반] BMW 차량결함 은폐, 축소, 늑장리콜 [50] 사업드래군7645 18/12/24 7645 0
79284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6. 민자에 관한 오해와 오해 [41] 루트에리노7166 18/12/11 7166 23
78142 [일반] 수학적 아름다움은 물리학을 어떻게 이끌었는가? [103] cheme20112 18/09/06 20112 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