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7/31 07:22:12
Name 뿌엉이
Subject [일반] 반도체 소재 대체 두달이면 된다. 여름 휴가를 못가는게 아쉬울 뿐' (수정됨)
http://m.mtn.co.kr/news/news_view.php?mmn_idx=2019073014322076234#_enliple

반도체에 대한 최근 기사 입니다
삼성이 일본의 반도체 규제에 대하여 공급망 불안을 이유로
공정을 바꾸고 있다는군요 굉장히 희망적으로 기사가 나가서
어느정도 언플도 있을거라 다 믿지는 않지만 최악의 예상들 반도체가 망할것이다 공장 가동이 중단될것이다
라는 사태는 벌어지지 않을것 같네요
흥미로운건 공정을 바꾸는게 굉장한 작업이라 소재을 일단 바꾸면 다른걸 쓰기 힘들다는
앞으로는 일본걸 쓰고 싶어도 못쓸거라는군요
일본의 경제제재로 피해가 있겠지만 잘 극복 바랍니다  
"기술 생태계 역시 오랜 역사의 누적으로 만들어집니다. 한번 생태계가 파괴되고 나면 원래대로 돌아가기 매우 힘듭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수십년간 이뤄온 반도체 생산의 유산이 무너져 버렸습니다. 소재업체 관계자는 “신뢰가 무너진 것은 수출 규제가 해지된다고 해도 돌아갈 수 없는 불가역적인 일이 발생한 것”
일본이 수출제재을 해서 우리에게 타격을 주겠지만 본인들도 신뢰을 상실함으로서
돌이킬수 없는 피해을 볼거라고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비쳐
19/07/31 07:28
수정 아이콘
어둠의 한사모, 아베
19/07/31 07:28
수정 아이콘
이게 정말이라면 참으로 다행한 일입니다. 근데 반도체 끝자락에서 수박 겉핥기로나마 구경해본 입장에서 생각해볼 때 저게 그렇게 두 달만에 되는 일인지에 대해서는 좀 회의적이긴 해요.
지구사랑
19/07/31 08:29
수정 아이콘
반도체를 나름 안다고 생각하는데, 결국 아베의 승부수는 자충수가 될 것으로 봅니다.
자본주의가 원래 그래요, 소비가 문제지 생산은 (적어도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생산에 차질이 생기는 것은 어떻게든 결국 길을 찾게 되어 있어요.
단기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말도 그다지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것이,
시장 점유율이 5% 쯤 되는 군소 회사면 모를까, 가격 결정에 주요 변수가 될 수 밖에 없는 규모를 가지고 있으면,
혼자 그 고통을 지는 것도 아닐 뿐더러, (밸류 체인에 엮인 모든 회사에 결국 다 부담이 흘러가니까,.
반도체와 관련된 밸류 체인은 대단히 큽니다. 공연히 산업의 쌀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죠.
예를 들어 반도체의 최종 소비자 중 하나가 자동차인 바, 도요다 자동차에도 결국 부담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독과점에 가까운 생산자라면, 오히려 이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흐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트럼프가 중국을 때리면 중국이 피해자인 것 같지만, 사실은 미국의 소비자도 같이 피해를 보듯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치적인 결정은 정치가의 의도대로 선형적인 인과 관계를 갖지 않습니다.
저는 이번 사태를 보면서 아베가 의외로 머리가 나쁘다고 느꼈습니다. (사실 일본이건 우리나라건 큰 차이 없겠습니다만)
카루오스
19/07/31 07:31
수정 아이콘
공밀레 공밀레
klemens2
19/07/31 07:32
수정 아이콘
재드래곤 돈 좀 팍팍 풀길
하이텐숀
19/07/31 07:46
수정 아이콘
그럼 원래 납품하던 일본 회사들은 아베 때문에 피 보게 되는거죠?
19/07/31 07:50
수정 아이콘
이 경우 뼈를 내주고 살을 친다! 라는 전략인 느낌이라 피보는건 예정된 수순이긴 했죠.
19/07/31 07:54
수정 아이콘
살을 주고 뼈를 친다! 가 맞지 않나요?
19/07/31 07:57
수정 아이콘
분수님이 말한게 맞긴한데 왠지 그냥 냅두고 싶어져서 냅둡니다 크
유니브로
19/07/31 08:45
수정 아이콘
이경우에는 뼈를 내주는게 맞는거 같아요 크크
매일푸쉬업
19/07/31 10:37
수정 아이콘
일본이 뼈를 주고 한국의 살을 친듯
키비쳐
19/07/31 08:04
수정 아이콘
(‘보통 그 반대 아닌가?’ 생각하지만 묘하게 설득력이 있어 그냥 지나감)
닭장군
19/07/31 09:44
수정 아이콘
물컹!(대기업의 기름진 겹배)
조선일보망해라
19/07/31 07:54
수정 아이콘
사태가 장기화되면 도산 위험도 있을겁니다. 한국업체 상대로 벌어들이는 매출이 거의 절대적인 수준이니까요.
잉크부스
19/07/31 15:43
수정 아이콘
뭐 도산위험이 있는정도가 아니라 도산 확정이죠..
거의 전량을 한국에 팔고있던 업체라서..
huckleberryfinn
19/07/31 07:46
수정 아이콘
두 달에는 안 될거 같은데
19/07/31 10:12
수정 아이콘
저 기업은 레알로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은...
스카이다이빙
19/07/31 07:55
수정 아이콘
겨우 두달이요? 일본압박용 블러핑?
19/07/31 07:55
수정 아이콘
완전 대체는 두달로 안되겠죠. 준비는 가능하려나요?
루크레티아
19/07/31 08:09
수정 아이콘
왠지 할 것 같아요. 시스템이란게 부품을 갈아 넣으면 그래도 어찌어찌 되긴 하더라고요. 그 부품이 사람이라 문제지..
샤르미에티미
19/07/31 08:10
수정 아이콘
이 글 제목과 내용만 보고는 분쟁 해결 빨리 안 하면 일본 소재 수입하는 일은 없다로 읽혔는데...기사 내용보니 그게 아니라 진짜 현장에 계신 분들의 이야기군요. 물론 저것조차도 계산된 인터뷰 내용일 확률이...일단 아예 순수한 인터뷰일 확률은 매우 희박하지만, 일본 정부 진짜 멍청하다는 생각 밖에는...일본은 원래 불매 하고 있었고 우린 많이 사주고 있었는데 말이죠.
Albert Camus
19/07/31 08:25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해결되어도 차츰차츰 모든 분야에서 리스크헷지를 시도하지 않을까요? 오케이, 일단 필요하면 쓰는데, 그래서 국산화는 언제할건데? 라는 식으로요.

거위 배는 이미 갈린게 아닌가 싶어요.
미야와키 사딸라
19/07/31 08:13
수정 아이콘
삼성은 갈아넣어서라도 가능할 것 같은
우주소녀
19/07/31 08:18
수정 아이콘
뭔가 스웩이 넘침
물속에잠긴용
19/07/31 08:18
수정 아이콘
80년도에 삼성전자 VTR개발했던 팀에 근무하셨던 먼 친척 형이 했던 말이 있습니다.
"이미 개발된 제품은 맘만 먹으면 다 카피할 수 있다. 시간이 걸리고 경제성이 문제라 할 필요가 없을 뿐..."
삼성전자가 처음 VTR양산한 게 일본이 기술이전 거부해서
일본 전자제품 사다가 그대로 DEAD COPY 한 거였죠. 당시 VTR 생산할 수 있는 나라가 4개국 뿐이었을 때
스카이다이빙
19/07/31 08:59
수정 아이콘
리버스 엔지니어링이 가능한 제품은 맞는말이긴하죠
명란이
19/07/31 21:05
수정 아이콘
요즘은 그게 좀 힘듭니다.
공정 단계에서 이후 관리까지 모조리 카피해와야 만들 수 있는 제품들이거든요.
칼라미티
19/07/31 08:23
수정 아이콘
사실이었으면 좋겠네요.
Albert Camus
19/07/31 08:25
수정 아이콘
제대로 갈리긴 할텐데...
19/07/31 08:27
수정 아이콘
외계인을 갈아넣을지도
19/07/31 08:29
수정 아이콘
이게 사실이 된다면, 우리나라로써도 상당한 득이 될거같네요
태바리
19/07/31 08:30
수정 아이콘
예전 불났을때도 몇일만에 생산 재개 할꺼라고 하니 안된다던 사람들 많았죠.
삼성은 어떤수를 쓰던 할 것 같습니다.
Placentapede
19/07/31 08:34
수정 아이콘
삼성이 선역은 아니지만 무능한 바보1은 더더욱 아니라서 꾸역꾸역 해낼듯
미카엘
19/07/31 08:34
수정 아이콘
갈아넣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ioi(아이오아이)
19/07/31 08:39
수정 아이콘
12시간 2교대로 2달 굴리면 어떻게 될 껄요?

그거 할 동안 사람 몇 명이 죽을 거라 문제지
19/07/31 08:45
수정 아이콘
삼성 이즈 베스트
Multivitamin
19/07/31 08:47
수정 아이콘
갈아넣으면 가능하고 이미 많이 갈리고 있습니다.
마프리프
19/07/31 08:52
수정 아이콘
공밀래~ 공밀래~ 신나는 노래 나도 한번 불러보자~
덴드로븀
19/07/31 08:55
수정 아이콘
뭐 갈아넣는거야 잘하는곳이긴 한데...
잘 갈아넣어서 만들었을거라고 믿었던 갤럭시 폴드가 알파테스트수준의 제품을 팔려다 걸려서 아직도 못팔고 있죠.
제대로된 완성품이 나와서 공정에 잘 쓰이고 있다는말이 나오기전까진 안심해선 안된다고 봅니다.
Multivitamin
19/07/31 1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갤럭시 폴드는... 자세하게 말할순 없는데 갈아넣을 기간이 더 필요했었죠. 그리고 완전 새로운 제품이었기때문에 알려진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해도 다른 문제가 나왔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제품이 힘든거고요.

이번 품목은 수율의 문제라, 공정 튜닝을 얼마나 하느냐의 문제고 갈아넣으면 무조건 되긴 될거에요. 물론 공정 쓰이기 전까진 안심하면 안된다는 말은 맞습니다.
세로가로
19/07/31 08:58
수정 아이콘
반도체 소재 대체가 힘들다고 보는 쪽은 진대제, 양향자, 최태원 처럼 해당 분야에 수 십년 종사한 전문가 혹은 결정권자임에 비해서,

소재 대체 그 까짓 거 안 했을 뿐 못한 게 아니라며, 언론이 듣기 좋으라고 퍼오는 기사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주로, 삼성전자 엔지니어, 연구원, 아무개 식으로 실명도 없고, 전문성도 의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언가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도 아니구요. 정신차려 보니 조립 말고 한 게 없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벽돌 나르는 것도 아니고, 2달 밤새서 그까이꺼 대체하겠다는데, 이게 기사가 맞는지도 모르겠습니다.
19/07/31 09:06
수정 아이콘
어쨌거나 일본이 소재를 안주겠다고 했으니 최대한 대체품을 찾는 방향으로 가는게 맞겠죠. 안팔겠다는데 그게 땅에서 솟아날것도 아니고..
또 최태원 사장 같은경우는 불산의 품질 여부를 문제점으로 지적했는데 왠 국내기업이 가능하다고 기사가 났었죠
그리고 현장 엔지니어면 무작정 비전문가라고 보기에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19/07/31 09:2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여쭤보는건데 혹시 가로세로연구소와 관련이 있으신지요?:)
유리한
19/07/31 09:27
수정 아이콘
사실 엔지니어가 윗선보다 해당 파트에 대해서는 훨씬 자세히 알고있는것도 사실이라..
꿈꾸는용
19/07/31 11:13
수정 아이콘
최대한 좋은쪽으로 해석해 보자면 말씀하신 의사결정권자들은 어찌되었던 회사가 돈을 벌게 해야 하는데 (=검증된 일본 제품을 쓰는게 리스크가 적음), 실무진들은 어찌 되었던 실제로 돌아가기만 하면 되니까요.
최태원 회장이 언급했던 것도 결국 그런 맥락이 아닌가 싶습니다. 국산품이 있기야 하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일본제품처럼 검증된 물건을 원하는 수량만큼 공급받을 수 있느냐는 또 다른 문제라...
19/07/31 12:03
수정 아이콘
역시 가로세로
새강이
19/07/31 09:06
수정 아이콘
음..몇몇 품목은 두 달 걸려서 대체할지도 모르지만..저렇게 대체가 빨리 되려나요 반도체 업계는 완전 첨단산업인데..
마법거북이
19/07/31 09:08
수정 아이콘
이게 밤새서 직원들이 노력하면 두달안에 '이젠 문제 없어!'가 되는 거였나요..????

그렇다면 왜 그 난리를....
19/07/31 09:17
수정 아이콘
삼성 엘지같은 대기업이야 당연히 버틸여력이 있지만 자본이 약한 중소기업들은 피해가 크죠
그렇구만
19/07/31 09: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성이 망하는 시나리오 중 하나이고 이미 오래전에 그 시나리오를 예측했다고 하죠.
삼성이라면 그런 시나리오가 있다 정도로 끝난게 아니라 대책을 어떻게 할거냐에 대한 논의도 계속 존재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 메뉴얼이 존재한다면 이제 그렇게 실행만 하면 되는 상황이겠죠. 두달이건 아니건 소재변경 되면 일본은 .. 저멀리

그리고 반도체가 작년같은 호황기가 아니라서 이번 일이 그나마 역설적으로 다행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계층방정
19/07/31 10:55
수정 아이콘
저도 반도체 불황기가 아니라 호황기일 때 더 공격이 강력하게 들어갈 것 같은데 왜 일본이 지금 이러나? 하는 의문이 듭니다.
잉크부스
19/07/31 15:49
수정 아이콘
망하는 시나리오라기 보단
업체가 특정 공급업체에 의존적이 되면 갑으로서의 가격협상력을 상실합니다.
그래서 꾸준히 대체 업체 대체 공급라인을 검토하고 준비하죠.. 그럼 오히려 공급라인을 변경하지 않아도 견제력을 가지게 됩니다. 공급업체에선 혹시나 바꿀까봐 가격이나 품질로 장난을 못쳐요..

다시말해 모든 대기업은 독과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 공급라인에 늘 플랜 B를 준비합니다.
이번엔 그 플랜 B가 실제 가동된거구요
가만히 손을 잡으
19/07/31 09:25
수정 아이콘
멍청한게 앞으로 핵심소재나 주요부품의 경우 한국대기업들에게 항상 빽업대책이 필요하다는 당연한 진리를 몸으로 깨닫게 해줬다는 겁니다.
정말 대체가 불가능한 품목도 있을 수 있지만 다른 모든 분야에서 '일본산을 구할수 없다면' 이라는 명제를 현장에 던져준거니 길게보면 현명한건 아니죠.
19/07/31 09:30
수정 아이콘
잠입취재) 삼성 지하연구실의 참상...외계인권 어디로?
홍승식
19/07/31 10:00
수정 아이콘
외계인들께 미리 애도를 보냅니다. ㅠㅠ

농담이고 하지 못할 건 없다고 봅니다.
다만 그 시간이 문제고, 그 시간을 버틸 수 있느냐 또는 그 시간에 소비되는 기회비용이 얼마냐 가 중요하겠죠.
다른 기사들을 보면 테스트에만 2달이 걸린다는데 이 기사에선 2달만 고생하면 된다면 사실상 실시간으로 대체가 된다는 거라서 이게 가능한 건지는 모르겠어요.

아무리 빨라도 6개월 정도의 시간은 걸린다고 보고 대책을 마련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떻게 대책을 세우고 피해를 최소화 할지가 궁금하지만 그걸 미리 말하는 건 바보같은 일이니 궁금증은 참고 있어야 겠죠.
대책을 내놓으라고 정부에게 묻고 싶지만 현재는 일반인들은 궁금증을 참고 믿어줘야 하는 시기라고 봅니다.
foreign worker
19/07/31 10:02
수정 아이콘
너무 스웩이 넘쳐나긴 하지만 외계인 고문을 좀 더 가혹하게 하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아서 무섭습니다.
19/07/31 10:16
수정 아이콘
기사에 보면 아베때문에, 일본 소재 업체들은 어마어마한 알앤디 비용 저세상으로 보낸거군요...;;;
그건 그렇고 삼성출신 양향자씨 말로는 불화수소는 몰라도 감광액은 최소10년은 걸린다고 했는데.... 정말 외계인이라도 안그로메다에서 잡아온건가요???
캐모마일
19/07/31 10:24
수정 아이콘
삼성에 납품하기 위해서 수천억 들여서 공장을 증설했는데 가동 중단하게 될 예정이라 하더군요 우리가 의존한만큼 일본도 의존한 것이기 때문에
19/07/31 10:30
수정 아이콘
아베짱 덕에 ㅠㅠ
투자비용 어마어마하던데, 화이트리스트 배제하면 완전 매몰비용으로 잡히겠네요;;
FreeSeason
19/08/01 11:33
수정 아이콘
아베챠응
19/07/31 10:25
수정 아이콘
근데 양향자라고 해봐야 고작 상무정도에다가 정확하게 그쪽담당도 아닐텐데 상세한 내막에 대해서 알수 있을까요.. 물론 인맥통해 알아볼수는 있겠지만 한계가 있을듯..
19/07/31 10:27
수정 아이콘
그런것 같습니다. 삼성에 오래있었다고 해봤자;;;
상무출신이라해도 삼성이 얼마나 어마어마한 기업인지는 알지 못했던 것 같아요;; 저 스웩은 정말 무시무시하네요
크레토스
19/07/31 10:27
수정 아이콘
그건 완전 국산화 할 때 얘기겠죠. 일본만 대체하면 되지 국산화 어려운 것까지 꼭 순수 국산화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기사에도 나오지만 전세계 반도체업체들이 현재 한국 반도체 업체에 납품하고 싶어서 접근하고 있다고 하니..
19/07/31 10:28
수정 아이콘
그런거군요, 인터뷰로 들었을때는 엄청 다급해보였는데, 역시 대체기업은 있던거군요
19/07/31 10:39
수정 아이콘
하긴 전세계에서 일본만 만들 수 있는 게 많지 않을 것 같긴합니다.
Albert Camus
19/07/31 10:43
수정 아이콘
pr은 일본제품이 대부분이여서 대체품이 있던가 가물가물하긴 하네요... 저는 이쪽이 염려되는 편이여서.
19/07/31 11:02
수정 아이콘
저도 pr은 노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어서 걱정을 했는데.... 저런 반응을 보이는 것이면
정말 외계인 잡아왔나 생각을...
19/07/31 11:18
수정 아이콘
과학기술개발연구원이 아예 포토레지스트 자체를 대체할 기술이 수평패턴 단 한문제만 남았다고 하더라구요.
19/07/31 11:23
수정 아이콘
아 뭔지는 모르겟지만, pr자체가 이미 무의미한 상황이 온다는 거군요???
Albert Camus
19/07/31 12:03
수정 아이콘
기술 얘기라면 그게 실제 생산에 적용되기까지 너무 멀었을거같은...
Multivitamin
19/07/31 12:45
수정 아이콘
그런 연구쪽 얘긴 10년 뒤에 양산 적용이 가능할수도 있다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Multivitamin
19/07/31 12:50
수정 아이콘
10년 얘기한건 품질의 문제일거에요. 공정수율도 80까지 따라잡는건 단기간에 가능합니다. 근데 90이상부터는 1% 올리는것도 엄청 힘들거든요.
캐모마일
19/07/31 1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일본은 이런것까지도 다 예상하고 일을 벌인거겠죠? 분명히 일방적인 피해만 있는 건 아닐텐데 그래도 한국을 조져서 나오는 득이 더 큰거겠죠? 설마 제국주의 망령이 들어서 정신이 혼란해진 건 아닐테고
19/07/31 10:25
수정 아이콘
바로 그 관련 일하는 사람 아는데 부모님이 물어봐도 말할 수 없는 거라던데...

이게 엄청 세분화 되있어서 어떤쪽은 되고 어떤 쪽은 안되고 일개 엔지니어가 알 방법이 없다고 하더군요.
19/07/31 10:32
수정 아이콘
두달후에 아베가 도게자하는 꼴을 볼 수 있겠군요 후후
19/07/31 10:38
수정 아이콘
막상 일본측도 피해가 커도 대체가 아예 안되는건 아니라 완전히 굴복하지는 않을겁니다. 졌네 이겼네 언론은 떠들겠지만요
유니클로와는 상황이 다릅니다
19/07/31 11:10
수정 아이콘
중립적으로 봐도 양쪽다 피해를 보는건 당연한건데 상식적으로 우리대기업에 일본 부품업체가 납품하는 구조에서 이걸 막으면 납품업체가 더 곤란한게 당연한거 아닌가 싶은..

뭐 우리가 반도체가 잘나가니까 그쪽으로 타격을 주고싶은건지 이게 시작이고 앞으로 다른 계획이 있어서 그런건지 일본이 벌린일이니까 무슨 생각이 있겠죠.
19/07/31 11:15
수정 아이콘
이 사건은 삼성이라는 기업에게는 위기이지만, 이재용이라는 기업인에게는 큰 기회일 수 있습니다. 이재용 체제 하에 이번 사건을 잘 마무리하면, 탈세, 배임, 로비와 같은 이미지를 민족이라는 방패로 상당부분 덮을 수 있고, 기업 내에서 이재용의 리더쉽도 확보되는 셈이니까요. 전공자가 아니라서 이게 해결가능한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오랜만에 삼성을 순수한 마음으로 응원하게 됩니다.
영원한초보
19/07/31 11:39
수정 아이콘
그 이야기를 들으니까 응원하던 마음이 사라지네요
차아령
19/07/31 11:23
수정 아이콘
공돌이 입장에서, 여름휴가 반납이 저렇게 별거 아닌걸로 치부되다니.. 좀 맘이 아프네요.
삼전 반도체 엔지니어들은 정치싸움때문에 본의아니기 피해보고 짜증이 이만저만이 아니겠네요.
오클랜드에이스
19/07/31 11:25
수정 아이콘
사실이면 좋겠는데 반도체 공정이 한 사람이 모든 공정을 다 꿰뚫을 수가 없는 구조라서 그만큼 분업화가 되어 있는 분야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중국쪽이 단기간에 따라잡을수 없다는 이야기도 나오는거고(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엑조디아 모으듯이 다 모아야 되니까) 바꿔 말하면 전체 공정에서 대체가 될지에 대해서는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뾰족한 수가 없으니 두 달만에 대체하는 기적을 샘숭이라면... 혹시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희망회로를 돌려보는 것이 좋겠지요.
김엄수
19/07/31 11:31
수정 아이콘
한쪽에서는 한국이 곧 망할거처럼 비관론을 펼치고
한쪽에서는 한국은 아무 타격없고 일본이 곧 사죄라도 할 거처럼 낙관론을 펼치고.
뭔가 둘 사이에 객관적 진실이 있을텐데 정보를 찾기가 참 힘드네요.
19/07/31 11:46
수정 아이콘
전쟁사를 봐도 예상대로 가지 않듯, 결국 지나봐야 알겁니다.
나른한날
19/07/31 11:53
수정 아이콘
2개월이라는 시간은.. 새로 만들거나 하는 시간이 아니고, T/O기간과 신뢰성 시험 기간일겁니다. 저 기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이미 다 완료 되었고, 검증만 남았다는 이야기로 보이네요...
Judas Pain
19/07/31 11:57
수정 아이콘
기사만 분석해보면 소재공급처/소재 변화에 따른 삼성의 2000여개 공정을 조율하는 것이 2개월이면 된다는 이야기니까 소재기업 확보, 소재기업과 계약, 소재기업의 소재 품질/수율,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업의 경제성 판단 문제는 남아 있는 거겠지요. 경영결정이 내려지면 삼성 내부의 독자적인 공정조율에 2개월 소요라 이해하면 되는 기사인 거 같네요.
나이스후니
19/07/31 12:34
수정 아이콘
보통 이런 제품을 만들때는 양산에 돌입하고 나면 무언가를 바꾸는걸 다들 싫어합니다. 원자재의 경우도 정해진 스펙이 있는데, 둘다 그 스펙을 통과해도 100%같은건 없거든요. 스펙이 99.9% 의 순도를 넘기면 이상이 없었는데 같은 99.9프로의 다른 회사거를 쓰면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연 첫번째회사는 99.90~99.93안에 들었고, 두번째 새로운회사는 99.93~99.99인데 알고보니 순도가 99.90~99.93일때 가장 최적화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러다보니 이렇게 큰건의 경우는 바꾸고 싶어도 문제생기면 누가 책임지냐?에서 아무도 자유로울수 없죠. 게다가 조단위버는 회사에서 직원급에선 이런걸 결정권한조차 없죠.
이정도로 국가적 이슈가 되니 움직일수 있는게 임직원의 상황이죠. 그리고 자체검증에선 이상이 없어도 시장에 나가면 또 생각치 못한이슈가 나오기도 하니 쉽지않죠
번개맞은씨앗
19/07/31 12:42
수정 아이콘
저는 이걸 기본적으로 '국가간 힘 싸움'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각자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한 부분이 있을 텐데, 힘에 대한 현실인식을 하고 다시 균형점을 찾아갈 테지요.

문제는 그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그리고 혹시 전쟁에 준하여 경제적으로 극단적인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이런 부분들일 테고요. 극단적인 일이 벌어질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 중 하나는 일본 모두를 적으로 돌려 혐오와 증오를 품지 말고, 한국에 친밀한 일본인들에게 오히려 지금보다 더 잘해주는 거라 생각합니다.

한국에 관광 온 일본인 여행객들에게도 그리고 일본인 연예인에게도 그리고 일본인 친구들에게도 잘 해줘야, 극단적인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줄어들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일본 제품 불매를 넘어서, 우리나라 상점들의 일본인 거부가 일어나면 뭔가 문제가 심각해진 거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MissNothing
19/07/31 12:44
수정 아이콘
일본처럼 중소기업 제조업들이 강한 기반을 가지고있는 나라에서... 그런 작은 회사들이 한국 장사만 바라보고 일하는 경우가 없진 않을텐데 그런 회사들 도산하고 사장들이 방송나와서 인터뷰하고 이러면 아베정권이 버틸수 있을지...
후마니무스
19/07/31 12:56
수정 아이콘
또 외계인 고문하려나 봅니다
Dr.RopeMann
19/07/31 14:16
수정 아이콘
어떻게 결론이 날지 궁금하군요
19/07/31 14:34
수정 아이콘
제가 연구소에 있지만 진짜 저거때문에 여름휴가 못 가는 사람이 있긴한지 모르겠네요.
포프의대모험
19/07/31 15:38
수정 아이콘
기술팀 죽어나갈거같은데여
Multivitamin
19/07/31 17:24
수정 아이콘
연구소보다는 양산 제조가...
명란이
19/07/31 21:16
수정 아이콘
시험중이라면 시험팀은 휴가 못 갈거 같은데요..
동네형
19/07/31 16:01
수정 아이콘
망하길 원해서 떠드는애들이 문제지 대체는 다 됩니다
안될 이유가 없죠
19/07/31 16:33
수정 아이콘
양산 해보신분은 알겠지만. 2달 동안 철야겠네요.
근데 정말 2달 만에 될려나요?
다크소드
19/07/31 17:36
수정 아이콘
기사보면 일본에서1400억을 들여 연구개발해 만든 포토레지스트를 두달만에 철야한다고 대체가 되나요?? 가능하다면 이참에 국산화 하면 좋긴 하겠지만...
조용히살자
19/07/31 22:16
수정 아이콘
아... 노트 10은 걸러야할까요 ㅜ ㅜ
20초반남자
19/08/01 0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성에서는 또 사실무근이라고 하는거 같기도 하고요 잘 모르겠네요
https://m.fmkorea.com/index.php?_filter=search&mid=news&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2042663120&search_keyword=%EB%AC%B4%EA%B7%BC
도피오
19/08/02 18:54
수정 아이콘
삼진법도 만들었는데 그까짓거 외계인만 좀더 조지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073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6 [61] cheme24462 20/09/12 24462 52
88067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5 [87] cheme27438 20/09/12 27438 39
88066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4 [18] cheme22868 20/09/12 22868 25
88065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3 [16] cheme24936 20/09/12 24936 27
88063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2 [10] cheme24910 20/09/12 24910 34
88059 [일반] 일본 반도체 왕국 쇠망사 1 [66] cheme21049 20/09/11 21049 82
87982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절망편) [84] cheme18441 20/09/05 18441 63
87968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번외) [89] cheme18427 20/09/04 18427 36
87937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부록) [53] cheme16413 20/09/02 16413 45
87930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완) [102] cheme17520 20/09/02 17520 82
87922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2 [95] cheme19885 20/09/01 19885 83
87871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1 [120] cheme27091 20/08/30 27091 89
85119 [일반] 반도체 행복회로-이젠 정말 반도체뿐이야. [6] kien11478 20/03/16 11478 1
83506 [정치] “타이완, 한일 갈등에 양국 관광객 급증…반도체도 반사이익” [21] 나디아 연대기10148 19/11/22 10148 0
82152 [일반] 반도체와 EUV 이야기 [65] 가라한15145 19/08/08 15145 45
82046 [일반] 반도체 소재 대체 두달이면 된다. 여름 휴가를 못가는게 아쉬울 뿐' [100] 뿌엉이13562 19/07/31 13562 12
81890 [일반] 3진법 반도체 [55] 삭제됨17370 19/07/19 17370 4
81790 [정치] 일본은 한국의 반도체 미래를 노리는 겁니다 [54] 잰지흔12247 19/07/12 12247 7
81640 [일반] 일본 반도체 소재 3종 한국 수출규제 발동 [256] 아케이드21280 19/06/30 21280 4
80549 [일반] 일본쪽에서 반도체 핵심 소재인 불산을 일부 수출 제한 했었네요. [71] kien16660 19/03/26 16660 2
80214 [일반] 반도체 클러스터 용인 유치를 보고 생각하는 지역균형발전 [120] 군디츠마라12011 19/02/22 12011 3
80202 [일반]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가 사실상 용인으로 확정되었습니다. [62] 아유13985 19/02/21 13985 2
80120 [일반] [오보] '반도체 클러스터'가 결국 용인으로 갑니다. [27] 우연10123 19/02/14 1012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