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6/24 23:40:49
Name chilling
File #1 추경.jpg (178.9 KB), Download : 64
Subject [정치] 추경과 관련된 이야기들


출처, '2019 대한민국 재정', 국회예산정책처

1. 빚을 내야만 추경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추경의 재원 구성에는 보통 언론, 정치권에서 ‘빚’이라고 표현하는 국채 발행도 있지만 세계잉여금, 한국은행 잉여금 등 다양한 재원이 존재합니다. 세계잉여금은 쉽게 말해 정부가 지출하고 남은 돈입니다. 세금이 정부가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이 들어와 남는 것이죠. 이 남은 돈으로 국가채무 상환하는 등 이곳저곳에 먼저 쓴 후 그래도 남은 일부를 다음 해 추경 총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한국은행 잉여금은 한은도 알고 보면 순이익을 내는 기관입니다. 예컨대 보유한 외화자산을 그냥 묵히는 게 아니라 굴리기도 합니다. 잘 굴려서 수익이 나면 그걸 추경 재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겠죠. 작년엔 한국은행이 거의 4조에 가까운 수익을 냈고, 한국은행 기여금이 추경에 6000억 정도 이용되었습니다. 물론 이런 잉여금 말고도 정부가 볼 때 올해 세수가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면 그 돈을 추경 예산으로 미리 잡을 수도 있습니다.

흔히 “누군가의 매출은 또 다른 누군가의 지출이다.”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정부의 예상을 초과한 세수는 결과적으로 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경제주체인 가계와 기업의 소비, 투자 여력을 그만큼 감소시킨 것입니다. 정부는 가계, 기업과 다르게 수익을 목적으로 행동하는 주체가 아니므로 잉여금을 가계와 기업에게 할 수 있는 만큼 돌려주는 게 당연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전혀 빚을 내지 않는 추경도 있는가?

전 정부로 보자면 16년에 국채를 전혀 발행하지 않고 11조 규모의 추경안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11조 중 9.8조는 예상 세수증가분, 나머지 1.2조는 세계잉여금으로 준비했었는데, 이렇게 하면 빚을 내지 않고 추경이 가능합니다. 현 정부는 17년, 18년 연속으로 추경을 편성했는데, 이때도 16년과 마찬가지로 국채는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항상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겠죠. 추경 전해에 정부의 예상보다 오히려 세입이 적은 세수결손이 발생했었다면 오히려 추경을 통해 그 결손을 메꿔야 하는 상황도 발생하곤 합니다.



3. 최근 자유한국당이 얘기하는 것처럼 19년 추경안은 ‘빚내서 퍼주기’인가?

‘빚내서’라는 표현 자체만 보면 사실입니다. 정부의 이번 추경안은 규모로는 6.7조 정도이며 이 중 빚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국채 발행은 3.6조로 추경액의 약 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역시나 상대평가를 해봐야겠죠. 그 비판을 하는 정당이 정권을 잡았을 땐 어땠는지 비교를 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가 국회로 토스한 추경안 기준)

이명박 정부 : 08년(4.9조, 국채 없음), 09년(28.9조, 국채 22조)
박근혜 정부 : 13년(17.3조, 국채 15.8조), 15년(11.8조, 국채 9.6조), 16년(11조, 국채 없음)
문재인 정부 : 17년(11.2조, 국채 없음), 18년(3.9조, 국채 없음), 19년(6.7조, 국채 3.6조)



4. 빚을 내지 않는 추경이 잘하는 건가?

꼭 그렇게 말할 순 없습니다. 보통 국채를 발행하지 않는 추경 계획이 있었던 때의 재원은 2번에서 언급했던 16년의 사례처럼 초과세수, 세계잉여금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정부가 예상을 실패한 겁니다. 물론 오차가 거의 없이 잘 예상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요. 좋게 보면 실수를 바로잡는 당연한 선택이고, 반대로 “처음부터 잘하지 그랬어?”라고 나쁘게 볼 수도 있습니다.



5. 정부의 추경 계획이 발표되면 야당은 언제나 ‘발목잡기’로 일관하는가?

때에 따라 다릅니다. 현 여당이 야당이던 시절에도 지금처럼 오래 발목을 잡던 적도 있고요.  그래서 올해와 비슷한 상황을 찾아 비교하면 좋은데, 15년이 비교 대상으로 적절합니다.

현 정부는 18년 12월부터 올 5월까지 6개월 연속 수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5년에도 그해 1월부터 시작된 수출 마이너스 성장이 계속되며 우려가 터지던 상황이었고, 이는 16년 7월까지, 총 19개월 연속 수출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안타까운 성적을 남깁니다.

내수 또한 현 정부의 의도와 다르게 경기동행지수나 선행지수에 있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15년에도 14년 7월 최경환이 경제부총리를 맡으며 바로 금융지원까지 포함하면 거의 40조에 다다르는 추가적인 재정 투입을 발표하며, 대출규제완화, 기업소득환류세제 등 부양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었으나 지수가 신통치 않았습니다.

이외에도 정권 3년 차, 다음 해 총선 예정, 국채를 발행하는 추경과 같은 공통점들이 있습니다. 15년에 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만에 추경을 통과시켜줍니다. 19년에 자유한국당은 다들 아시다시피 2달째 국회에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래서 상대평가가 중요합니다. “뭐 둘 다 추경 반대하며 발목 잡는 거 똑같지 않나?” 이런 반응들은 정치 발전에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당시 새민련 대표였던 문재인이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추경에 합의하면서 법인세 정상화를 합의에 명시하지 못한 게 아쉽기는 하다. 협상을 통해 다 얻을 수는 없지만, 우리의 목표를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면 그것이 우리가 거둘 수 있는 성과가 아닌가 생각한다.”



6. 참고하면 좋은 정보들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28074&call_from=seoul_paper
올 추경은 도대체 어디에, 어떻게 쓰겠다는 것인지 궁금하다면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abo.go.kr/
‘대한민국 재정 2018’, ‘대한민국 재정 2019’라고 검색하면 보고서를 읽을 수 있습니다. 상당히 길지만, 예산, 재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굉장히 좋은 자료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25 03:4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키비쳐
19/06/25 06:25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Multivitamin
19/06/25 07:3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선재동자
19/06/25 09:34
수정 아이콘
위에 언급된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나온 ' 2019 대한민국 재정' 책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이게 1년에 한번씩 나오는건데 벌써 한 10년 됐을겁니다.
실무적으로 재정에 대한 기초를 잡기에 가장 좋고, 통계자료도 상당히 유용한 책입니다.
세트로 아마 지방재정과 공공기관재정 책자도 있을건데 얘네는 시리즈가 쌓인지 얼마 안 됐지만, 관련 제도를 이해하고 정리하는데는 이만한 책자들 찾기 어려울 겁니다.
다람쥐룰루
19/06/25 10: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빚을 내서 더 큰 추경을 하는게 효과적일거라 생각합니다만 자한당이 저렇게 눈에 불을 켜고 있는데야 도저히 통과가 어렵겠죠...
제일좋은
19/06/25 11:5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추천.
19/06/25 12:31
수정 아이콘
양적완화도 하는 판국에 빚내서 퍼주는게 뭐 어떤가 싶긴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712 [정치] 일본과의 무역분쟁 해결법 [117] 미사모쯔15018 19/07/06 15018 24
81581 [정치] 추경과 관련된 이야기들 [7] chilling6893 19/06/24 6893 16
81578 [정치] 2019 추경안을 통해서 보는 경기 체감. [74] kien12355 19/06/24 12355 5
81527 [정치] 이랬다가 저랬다가 트위스트 추면서~ [10] chilling6989 19/06/19 6989 23
81475 [일반] 개인적으로 느끼는 한국 보수의 스펙트럼(2) [67] Danial9705 19/06/13 9705 52
81441 [일반] 개인적으로 느끼는 한국 보수의 스펙트럼 (1) [96] Danial12712 19/06/09 12712 41
81424 [일반] 검증이 필요한 현 정부의 역사관. [389] HVN17967 19/06/08 17967 71
81406 [일반] 문재인이 사실상 순국유가족 농락하네요. [578] 차오루38335 19/06/06 38335 116
81338 [일반] 결국 정치 글에서 멀어지는구나 [55] 잠잘까13473 19/05/30 13473 44
81304 [일반] 강효상 "친한 후배 고초 겪고있는 것 같아 가슴 미어져" [137] 쿠즈마노프17027 19/05/28 17027 16
81239 [일반] 조계종 "합장 거부 황교안 자연인으로 돌아가라" [214] 쿠즈마노프16966 19/05/23 16966 23
81229 [일반] 최저임금실책을 쉴드칠려고 이제는 이런 짓도 하네요.(feat 기재부) [182] 차오루20101 19/05/22 20101 37
81198 [일반] '장자연 리스트' 재수사 못해…"수사미진·외압행사는 확인" [54] 홍승식11563 19/05/20 11563 8
81141 [일반] PGR에서의 경제 토론이 비아냥으로 끝나는 이유들. [222] kien19050 19/05/15 19050 124
81133 [일반] 文 "경제 성공으로 가고 있다"···부정적 통계엔 "온도차" 일축 [370] 미뉴잇44266 19/05/14 44266 36
81127 [일반] 나는 왜 지금 어용지식인적인 글을 쓰기로 했는가? [237] 미친고양이11889 19/05/14 11889 25
81112 [일반]  현재의 경제 상황에 현정부의 책임은 어느 정도일까... 2부 [158] 미친고양이19247 19/05/12 19247 15
81084 [일반] 제 개인적인 생각은 우리나라 정치 집단 중 수권능력이 가장 높은 집단은 '친노'인 것 같습니다.(제목수정) [167] 미친고양이14229 19/05/10 14229 12
81056 [일반] 대치동 키즈 [47] 객현나개공16829 19/05/07 16829 59
81018 [일반] 한국갤럽 문재인 정부 2년간 정책 평가 여론 추이 [104] 홍승식12766 19/05/03 12766 1
80967 [일반] 공주보 교량, 지하수, 가뭄 그리고 가짜뉴스(PD수첩) [24] 읍읍13419 19/04/27 13419 24
80706 [일반] 누군가의 기부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 [80] 피터피터10145 19/04/08 10145 24
80629 [일반] 북한: 우리가 철수한다 했습네까? [224] 닭장군21433 19/04/01 21433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