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13 16:21:27
Name
Subject [일반] [보드게임] 트릭 테이킹 게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수정됨)
보드게임의 범주는 어디까지일까요?
엄밀히 말하면 체스나 바둑, 장기처럼 보드판이 있는 게임들만을 보드게임이라고 불러야 하겠지만
오늘날에는 넓은 의미에서 테이블 위에 기물을 쌓아놓고 하는 게임은 죄다 보드게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이할 만한 지위를 가지고 있는 종류가 카드게임입니다.
보드가 없는 대신 얻는 간편함과 카드 몇 장에서 나오는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강한 중독성 등이 그 특징이지요.
저는 어릴 적부터 가족들과 카드게임을 즐겨왔는데요.
원카드와 도둑잡기 처럼 기초적인 게임부터 배워서 훌라나 마이티 같이 제법 전략적인 수를 요하는 게임까지 즐겨 했었지요.
이런 영향인지 본격적으로 보드게임장르에 진입하여서도 가장 좋아하는 장르 중의 하나가 위와 같은 식의 카드게임이었습니다.
특히 카드게임 내에서도 트릭테이킹 장르를 좋아합니다.



그렇다면 트릭테이킹이란 무엇일까요?

1. 플레이어들은 한 트릭에 순서대로 한 장의 카드를 냅니다. 여기서 한 트릭이란 첫 플레이어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플레이어까지 카드를 내는 한바퀴를 의미합니다.
2. 각자 한 장씩 낸 카드 중에서 가장 강력한 카드를 낸 플레이어가 그 트릭을 테이킹해갑니다. 그 트릭을 먹는 것이지요.

위 두가지가 모든 트릭테이킹 게임이 공유하는 규칙입니다.
다음은 대부분의 트릭테이킹 게임이 공유하는 규칙입니다.

1. 트럼프 슈트(가장 강력한 무늬, 기루다)가 존재합니다. 트럼프 카드를 예로 들면 스페이드, 클로버, 하트, 다이아 4가지 무늬 중에 한 가지가 트럼프 슈트로 지정되어 어떤 상황에서도 다른 3가지 무늬보다 강하게 취급되는 것이지요.
2. 리드 슈트(가장 먼저 낸 무늬, 선)가 존재합니다. 트럼프로 게임을 할때 트릭의 첫번째 순서의 플레이어가 스페이드를 냈다면 해당 트릭의 플레이어들은 패에 스페이드가 있다면 스페이드를 따라서 내야하는 것이지요. 즉 리드 슈트를 따라서 내야만 합니다.

대부분의 트릭테이킹류의 게임은 위의 4가지 규칙을 기본으로 한 채 나머지 부분을 다양하게 변주하여 게임의 재미를 높입니다.
대표적인 트릭테이킹 게임을 3가지 정도 소개해드릴게요.



첫 번째는 마이티입니다. 

7

마이티는 조커 한 장을 뺀 53장의 트럼프 카드를 가지고 하는 게임입니다.
마이티의 기원에 대해서는 서울대 수학과 학생들이 만들었다, 과학고 학생들이 만들었다 등 여러 썰이 있지만 확인된 바는 없습니다.
마이티 게임의 특이한 점은 팀대팀의 대결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5인 플레이가 강제되지요.
5명이 패를 10장씩 나눠 받으면 각자 공약을 내겁니다. 점수카드 20장 중에 몇장 이상을 먹겠다 하고 말이지요.
가장 높은 공약을 내건 사람이 주공으로 당선됩니다. 주공은 비밀스럽게 자신의 프렌드를 한 명 지정합니다.
이제 게임은 자신의 공약만큼 점수카드를 먹으려는 주공, 그걸 저지하려는 야당, 그리고 야당인척 하면서 비밀스럽게 주공을 도우는 프렌드의 구도로 진행됩니다.

9
find citibank branch locations


저는 게임을 할 때 이 게임의 멋짐은 어디에 있는가 생각하곤 하는데요.
마이티의 멋짐은 주공과 프렌드의 환상적인 팀플레이에서 나옵니다. 분명 성공하기 어려운 공약이었는데 어찌어찌 맞아들어가서 성공시켰을 때는 매우 기쁩니다. 반면 너무나 쉬워보이는 공약이었는데도 호흡이 엉켜 실패하는 경우도 왕왕 나옵니다.
또한 야당 입장에서 주공의 약패가 분명히 있는데 마지막 플레이시 그걸 공략해 냈을 때 또 매우 기쁘지요.



두 번째는 스컬킹입니다.

8

스컬킹은 아마 현재 한국의 보드게이머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트릭테이킹 게임일 겁니다.
스컬킹은 66장의 카드로 진행하기에 최고 6명까지 같이 즐길 수 있습니다.
트릭테이킹의 기본 골격을 따라가되 스컬킹의 가장 특이점은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거는 비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이티와 같은 게임에서는 트릭을 많이 먹으면 무조건 좋습니다. 때문에 손에 아주 약패가 들어오면 게임의 의욕을 상실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스컬킹에서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대신 스컬킹에서는 시작하기전에 자신이 이번 판에 트릭을 몇개나 먹을지 비딩(예상)을 합니다.
예컨대 손 패가 5장이면 그 중 2개의 트릭을 내가 먹겠다 라고 예상을 하는 것이지요.
이 예상이 맞으면 점수를 얻지만 예상보다 트릭을 더 먹거나 덜 먹을 경우에는 점수가 마이너스됩니다.
따라서 매 판 예상치 못한 재미를 가져다 주지요.

10


스컬킹의 멋짐은 바로 0비딩에 있습니다.
0비딩은 전형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인데요.
이번판에 트릭을 한개도 먹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전략으로 성공할 경우 큰 점수를 얻지만 만약 실패한다면 역시 큰 점수를 잃습니다.
특히 스컬킹 게임은 게임이 진행될 수록 손 패가 늘어나는데요.
마지막 라운드는 손패가 10장으로 진행됩니다. 이 10번의 트릭 중에 한 개도 먹지 않겠다는 선언은 큰 모험입니다.
하지만 심심찮게 나오며 제가 인식하기에는 성공률도 높다는 것이 신기하지요.



마지막으로 소개할 트릭테이킹 게임은 숲속의 여우입니다.

6

숲속의 여우는 2인 게임입니다. 사람 수가 많아질 수록 재미있는 트릭테이킹을 2인이서 즐길 수 있게 변형한 점이 흥미롭지요.
여러 가지 특수 능력이 있는 카드들이 생깁니다.
해당 트릭에 무조건 지는 대신 선을 잡을 수 있는 카드라던가, 기루다의 무늬를 바꿀 수 있는 카드라던가, 혹은 해당 상대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무늬의 강한 카드를 무조건 내야 하는 카드 등이지요.
또한 스컬킹처럼 점수체계가 독특합니다.
서로 13장씩 가지고 시작하는데 0-3트릭, 혹은 7-9트릭을 먹었을 경우 6점을 받지만 4트릭을 먹으면 1점, 10-13트릭을 먹었을 경우에는 0점을 받습니다.
제가 해보니 0-3트릭을 노리는 극단적인 전략은 힘들고 안정적으로 7-9트릭을 노리는 전략을 취하게 되는데 삐끗해서 10트릭 이상을 먹게 되었을 경우에는 점수가 0으로 떨어지는 점이 재미있었습니다.

11

숲속의 여우의 멋짐은 역시 간편함이라는 것이지요.
트릭테이킹 게임이 가지고 있는 패 카운팅, 트릭을 언제 먹을 것인가 하는 운용 등의 기본적인 재미들을 둘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콤팩트함에 담았다는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그래서 내일 보드 게임 하실 분 없습니까?
지난번에 REX소개글을 올렸었는데요.(https://pgr21.com/pb/pb.php?id=freedom&no=80757&page=2)
현재 저 포함 4명인데 한 두분만 더 오시면 즐거움이 배로 늘어날 것 같아서 생각지도 않은 보드게임 소개글을 또하나 작성하는 척 하면서 모집글을 올렸습니다. 렉스도 하고 트릭테이킹 게임도 하고 다른 것도 이것저것 합시다.

쪽지를 보내주십시오.

장소: 대학로 레드 다이스 http://naver.me/5w4T1Zo8
일시: 4. 14 일요일 오후 3시~가능한 시간까지(최소 4시간)
예상 비용: 카페 이용료 3000원 + 음료 한 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13 16:23
수정 아이콘
번외로 티츄라고 하는 보드게이머들에게 첫손가락에 꼽히는 카드 게임이 있는데 이 친구는 보드게임모임을 파괴시키기로 유명합니다. (사람들이 티츄만 해대기때문에 다른 게임을 하려하지 않아서 모임내에서 반목이 생김)
대신 이친구는 트릭테이킹은 아니고 클라이밍 장르의 게임입니다.(한 트릭에 한 장씩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낼 수 있다면, 내고 싶다면 계속하여 낼 수 있음)
3.141592
19/04/13 16:31
수정 아이콘
티츄가 그만큼 재밌기도 하고... 리플레이성이 높고 한판이 짧아서 몇시간짜리 겜에 비하면 진입장벽이 낮은데다 보드게임하다보면 별의 별 똥겜이 있는데 티츄는 실패하긴 힘든 게임이라 그런거같네요. 개인적으로 입문자에게 티츄는 좀 가르칠법한데 테x마라던가 비x컬쳐라던가 머 이런거 시키기는 좀..
19/04/13 16:35
수정 아이콘
테포마는 현재 한국 보드게임 랭킹 1위이기 때문에 이 게임도 소개글을 언젠가 쓰려 합니다
19/04/13 18:05
수정 아이콘
티츄, 간단하면서 몰입도가 엄청난 게임이죠. 서로 승부의욕 불타오르면 몇시간은 후딱 지나가더라구요.
고기덕후
19/04/13 19:33
수정 아이콘
티츄 재밌기는 한데 숙련도가 높은 게이머들이 많아서 팀 밸런스를 잘 못 맞추겠어요
3.141592
19/04/13 16:33
수정 아이콘
서울에 살면 가고 싶지만ㅠ 개인적으론 스컬킹은 평가가 좋고 마이티는 운빨이 강한 느낌이었습니다. 클라이밍에서 추천할만한거 하나는 달무티..?
19/04/13 16:34
수정 아이콘
근데 이게 친구와 주공의 팀웍에 따라 될 판도 안되고 안될 판도 안되는 게임이라..
제 경험에 의하면 숙련자팟일수록 공약이 높아지는 반면
초보자팟에서는 기본적인 13비딩도 실패하기 일쑤더군요. 흐흐
BlazePsyki
19/04/13 16:47
수정 아이콘
서울 살면 가보고 싶네요.
오랫동안 보드게임을 해왔는데 최근에는 판데믹 레거시와 테라포밍 마스를 끝으로 잘 안하고 있긴 한데....
저격수
19/04/13 16:59
수정 아이콘
머크쇼, 자네가 설[마 이 티]볼트에게 상대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나?
아실 분들은 아실 거예요.
19/04/13 18:13
수정 아이콘
역시 마이티! 명작에서도 언급됩니다!
레이첼 로즌
19/04/13 17:00
수정 아이콘
그럼 하트는 역 트릭테이킹 게임에 해당하는 걸까요? 크크 컨텐츠기초 과목에서 보드게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 같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19/04/13 17:17
수정 아이콘
마이티...

고등학교때부터 지금까지 선후배 5명이 분기마다 모여서 밤새하는 게임이지요


중독성 최고.. 4명이 모이면 하트(컴퓨터 기본게임)도 합니다. 이거도 중독성 최고..
19/04/13 18:11
수정 아이콘
과고 나온애들끼리 모여서 마이티 엄청 하더군요
만년유망주
19/04/13 18:24
수정 아이콘
동아리방에서 밤새 마이티하던 기억이 나네요..
FlyingBird
19/04/13 20:10
수정 아이콘
저도 동아리방에서 마이티/티츄 엄청 했었는데 크크. 시끄럽게 뻥카도 치고 재밌었어요
응~아니야
19/04/13 21:12
수정 아이콘
락페스티벌이나 엠티가면 노래부르고 춤추고 하다가 카드 꺼내기 시작하면 마이티 아니면 계급투쟁 하던게 기억나네요
19/04/14 00:11
수정 아이콘
이런거 하려면 오프라인 말고는 불가능하겠죠?
캡틴아메리카
19/04/14 00:28
수정 아이콘
마이티는 본문 짤에서 보시다시피 온라인 버젼이 있긴 합니다.
19/04/14 12:06
수정 아이콘
boardgamearena 라고 하는 전세계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보드게임 온라인 사이트가 있긴 합니다.
본문의 마이티의 경우에는 검색하시면 컴퓨터랑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 거예요.
캡틴아메리카
19/04/14 00:26
수정 아이콘
마이티 저에겐 최고의 카드 게임입니다 흐흐

서울대 수학과 71학번들이 만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악군
19/04/14 22:24
수정 아이콘
마이티 너무 하고싶은데 5인이 필요해서..
온라인은 정해진 사인 플레이가 저는 좀 재미가 없더라고요. 반칙같음.
19/04/15 12:37
수정 아이콘
현재 보드게임 모임을 운영중인데 마이티와 티츄는 게임을 가르치고 능숙해지기 시작하면 이게임만 하려고 하는 부작용이 있어서...

정말 재미있긴한데 다른 게임을 못하게 되는 부작용이 너무 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223 [일반] 대표성의 트릴레마 [5] 아루에5424 19/05/22 5424 18
81220 [일반]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 감소- 정부 첫 보고서 발표 [160] 사악군12449 19/05/22 12449 25
81200 [일반]  민주당은 차라리 '퀴어당'으로 커밍아웃하라 [ 자유한국당 민경욱 대변인 논평] [148] 나디아 연대기11693 19/05/20 11693 3
81074 [일반] 칼을 빼들은 옆 사이트 근황 [149] 22255 19/05/09 22255 6
80997 [일반] 대학교들이 정시확대를 원하지 않는 이유 [132] 아유15742 19/04/30 15742 18
80868 [일반] (약혐)전쟁도 스트리밍으로 보며 후원하는 세상 [50] 오리공작14366 19/04/23 14366 22
80783 [일반] [보드게임] 트릭 테이킹 게임에 대하여 알아보자! [22] 8252 19/04/13 8252 7
80757 [일반] [보드게임] 외교와 정치, 전쟁이 어우러진 극한의 비대칭 게임 REX [27] 9288 19/04/11 9288 6
80713 [일반] 한국형(Korea) 히어로의 개발 - 캡틴아메리카의 극복 [56] 산들바람뀨9470 19/04/09 9470 22
80273 [일반] 건국훈장 독립장 3인 [39] 1028505 19/03/01 8505 17
80056 [일반] [삼국지] 유비와 조조 (1) - 첫 만남 [13] 글곰9488 19/02/12 9488 40
79862 [일반] PGR21 개발운영진을 추가 모집합니다. [37] 당근병아리7043 19/01/17 7043 4
79834 [일반] 자게, 스연게 운영위원 세 분을 모셨습니다. [44] jjohny=쿠마5901 19/01/23 5901 12
79747 [일반]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한국사회의 성평등 현안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96] 덴드로븀14588 19/01/15 14588 4
79741 [일반] 건게 담당제도 시범운영 경과보고 및 당부말씀 드립니다. [31] jjohny=쿠마5447 19/01/15 5447 9
79692 [일반] 건게/여참심 운영위원 모집기간 연장 및 관리자 선발 관련 추가공지 [4] jjohny=쿠마4408 19/01/10 4408 3
79609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24] jjohny=쿠마5933 19/01/03 5933 5
79607 [일반] 자게, 스연게 및 건게/여참심 운영위원을 모집합니다 [11] jjohny=쿠마5906 18/12/28 5906 1
79270 [일반] 페미니즘은 무너지지 않을겁니다. [236] 페스티16573 18/12/10 16573 32
79203 [일반] 할당제의 한 사례 [69] 절름발이이리14257 18/12/08 14257 7
78942 [일반] 마루마루가 망했습니다 [69] retrieval96670 18/11/19 96670 1
78895 [일반] [스포일러] 드래곤볼 슈퍼 에피소드 간단(?)하게 설명 [3] TAEYEON5621 18/11/17 5621 3
78870 [일반] 일자리 대책 근황. 이래서 됩니까? [365] 아지매20495 18/11/15 20495 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