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06 03:29:28
Name 능숙한문제해결사
Subject [일반] 대한항공 글을 보다가 알아본 글입니다. (수정됨)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이 이사회에서 축출된 일로 인하여 피지알에도 글이 올라왔었는데 댓글까지 쭉읽고

짧은글과 추천할만한 칼럼 하나 남기고 가려고 합니다

추천하려는 칼럼은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였던 주진형님의 칼럼이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88431.html

칼럼에서 본 이야기와 그냥 저의 '주식'이라는것을 보유 했을때의 권한의 행사에 대하여 생각을 짧게 써 봤습니다.

1. 대한항공및 한진그룹에 대한 의결권 반대 의견은 2011년 2014년 2016년 2017년 에도 있던 일이며 국민연금이 반대하였으나 당시에는 표싸움에서 진것이라고 합니다.

2.그외에도 총 607 의견에서 반대의견을 냈다고 하네요 (반대의결된것은 7건이라고 합니다.)

3.유튭같은 곳에서는 이게 재벌의 경영을 쥐락펴락 하려고 하는 좌파의 음모 같은걸로 이야기 하는데 위에 말했던것처럼 이전에도 이루어졌던 일입니다.

4.주식을 보유한다는 의미가 뭔지 생각해보고 국민연금은 주주로서 당연한 권리를 행사하는것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적은돈으로 주식을 하는데 주주총회가 하면 꼭 전자투표라도 하는 편 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운용에 대한 의견들도 조금씩 보였는데

국민연금같은 대형운용사? 라고 해야하나.... 하여튼 그런곳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이 좋을때 일반 다른기관들에 비하여 이익평균값이 높고 주식시장이 안좋아서 마이너스가 나면  시장 평균손해율? 보다 더 많은 손해를 보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연금고갈은.... 출산율 0.98인 나라에서 뭐.. 그냥 우리 윗세대를 위한 기부활동이랄까요......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능숙한문제해결사
19/04/06 03:34
수정 아이콘
207->607 숫자 수정합니다
19/04/06 09:55
수정 아이콘
대한항공이 조양호 리스크 제거라는 공격적 프로모션 전략을 구사하자, 아시아나 역시 박삼구 리스크 제거 전략으로 맞불을 놨다는!

표대결에서 밀려난 조씨와 달리, 박씨는 자진사퇴 형식을 취하긴 했지만 이쪽 역시 채권단을 포함한 금융 당국의 압박이 있었고요.

어차피 둘다 오너에 지주회사대표라 회사 주도권 자체는 그대로 유지하겠지만, 적어도 대놓고 공식적으로 앞에 나서지는 못하게 되었습니다. 약소하나마 연봉도 줄게되었고.

재벌이라는 이유만으로, 존재 자체가 리스크인 사람들을 대표로 공인해 주는 사회는 막내릴때가 되었습니다.
19/04/06 10:26
수정 아이콘
4번은 그럼에도 조심스러울 필요는 있습니다.
첫째 국민연금은 다섯손가락안에 드는 대규모 연기금으로 한 기관에서 가진 자금이 너무 많습니다. 국내 주식만 120조 정도 들고 있습니다. 이름 들어본 대부분의 상장회사에 국민연금의 지분이 있지요
둘째 그 말은 선출되지 않은 기관에서 너무 큼 영향력을 휘두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견제가 따르지 않은 힘이 얼마나 무서운지는 두말할 필요가 없지요.

물론 연금의 힘으로 스튜어드십코드라든지 상장 회사들의 행태를 바로잡는거 자체가 문제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과연 어디까지 가능한가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거죠. 참고로 세계 연기금 1위는 일본의 후생연금으로 아는데 세계 1위가 미국이 아닌 이유는 미국은 국가 연금이란 것이 필연적으로 어미어마한 규모를 이루게 되고 이것이 가진 힘이 자유로움 시장질서를 어그러트릴까 걱정이 되어, 재무부특별증권 외 다른 자산을 못 사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세금과 공공부조가 되어버렸지요.
19/04/06 12:48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지배구조가 정부부처의 입김이나 정치적 압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 의결권이나 주주권 행사의 의도는 끝없이 의심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19/04/06 12:51
수정 아이콘
저도 주진형씨가 라디오에서 이 얘기하는 것 들었습니다.
국민연금은 이명박근혜 때도 내내 반대했었다고...
홍승식
19/04/06 17:48
수정 아이콘
회사는 주총에서 의결할 사항을 2주 전에 공시해야 하죠.
그것처럼 해당 주식을 5% 이상 보유한 연기금도 주총에서 투표할 사항을 사전에 - 1주전? - 공시해야 한다고 봅니다.
능숙한문제해결사
19/04/06 18:17
수정 아이콘
찬성 반대를 1주전에 이야기 해야한다구요?

저거 찬반 투표하는건데 왜 미리 찬반 고지를 해 줘야 하나요...?

그리고 그걸 떠나서 이번에는 이미 다 알고 있는거였구요...
홍승식
19/04/06 18:57
수정 아이콘
연기금은 자기 돈으로 의사표시 하는게 아니니까요.
특히 국민연금은 더욱더요.
그러니 주주권을 행사할 때 그 행사 여부를 공개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189 [정치] 출산률과 눈높이 [35] LunaseA11567 19/08/12 11567 2
82104 [정치] 사실을 쫓는 모험 - 징용, 강제동원피해자 [81] 빅게임피처12122 19/08/04 12122 53
81917 [일반] 생명나무이론 [27] 성상우6531 19/07/21 6531 5
81750 [정치] 국방부 이공계병역특례 축소 강행 소식 [87] 오만과 편견9618 19/07/09 9618 7
81727 [정치] 일본 여론조사로 보는 현 일본의 주류인식 [65] 지부릴11683 19/07/08 11683 5
81629 [일반] 아내가 출산휴가 중에 퇴직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2) [89] 삭제됨11819 19/06/28 11819 10
81487 [일반] 드디어 새차를 받았습니다. [34] 겨울삼각형10367 19/06/14 10367 1
81451 [일반] 아 그 말이 그 뜻이었구나. [25] 블랙초코8805 19/06/10 8805 18
81312 [일반] 신임 인사수석으로 김외숙 前법제처장이 임명 되었습니다. [88] 쿠즈마노프12069 19/05/28 12069 16
81201 [일반] 미국에서도 실종된 아기 울음소리…출산율 '32년래 최저' [75] 군디츠마라11899 19/05/20 11899 2
81194 [일반] 출산율때문에 이민을 받자고요? [155] 주본좌13161 19/05/20 13161 14
81187 [일반] 성평등과 출산율 상관관계에 관련된 논문들. [122] kien14305 19/05/19 14305 1
81048 [일반] 저출산 문제 해결하고 싶으면 징병제부터 폐지해야죠. [378] HiThere17907 19/05/06 17907 23
81044 [일반] 아내가 출산휴가 중에 퇴직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88] 삭제됨18492 19/05/05 18492 11
81024 [일반] 출산율과 상식의 오류 [130] anddddna14913 19/05/03 14913 16
81020 [일반] 한국의 저출산 문제 [276] 브라운15111 19/05/03 15111 8
80981 [일반] 어벤져스: 엔드게임 중에서 인상깊었던 장면들(스포) [41] 아라가키유이12358 19/04/27 12358 8
80888 [일반]  [8]부모가 되어가는것 [22] 스컬리6657 19/04/24 6657 25
80686 [일반] 대한항공 글을 보다가 알아본 글입니다. [8] 능숙한문제해결사9520 19/04/06 9520 2
80654 [일반] 눈팅하다가 흥미롭게 본 "혼인, 출산율의 감소 이유" "마케이누 대란" [265] 삭제됨25710 19/04/04 25710 24
80540 [일반] 타블로처럼 word play 해보자! [58] 2212577 19/03/24 12577 98
80529 [일반] 미혼남녀가 이성교제 안하는 주된 이유 [64] 홍승식18087 19/03/23 18087 2
80473 [일반] 교회 다니기가 부담스러운 개인적인 이유 [111] shangrila4u17925 19/03/18 17925 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