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2/25 16:04:52
Name 카페알파
Subject [일반] " 24시간의 교향곡 " 들어보세요. (수정됨)



상록수 님이 얼마 전에 올린 '24시간의 교향곡' 입니다. 상록수 님 답게(?) 시간을 잘 지켰네요. 24시간...... 은 아니고 24분 00초(!) 짜리 곡입니다. 상록수 님 본인의 곡 소개에 보면 불치의 병에 걸려 더 이상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된 그림 작가의 이야기를 듣고 모티브를 얻어 작곡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유튜브 페이지 첫 댓글에 아마도 상록수 님이 들었던 그 그림작가일 것으로 생각되는 분의 이야기가 나오네요. ( 위 곡의 해당 유튜브 페이지는 입니다. )

제목에 '교향곡' 이라는 말이 들어 있기는 하지만, 교향곡이라고 보긴 어렵구요, 굳이 이야기하자면 '교향시' 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저도 달려 있는 댓글들을 보면서 떠올린 건데, 말러의 교향곡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습니다. 상록수 님 본인이 해당 페이지 댓글의 댓글에서 마이크 올드필드와 말러 교향곡의 영향을 받았다고 적었는데, 제가 말러리안 분들처럼 말러를 잘 아는 것은 아니나, 확실히 말러의 교향곡을 떠올리게 하는 점이 있긴 한 것 같습니다.

모든 부분을 좋아하지만, 특히 14분 20초쯤부터 시작되는 'IV. 천 줄기 바람이 되어' 라는 부분이 특히 인상깊네요. 가사도 아주 마음에 들고 전개되는 멜로디도 좋습니다. 뭔가 주먹을 꽉 쥐게 만들면서 전율이 온 몸을 흝고 지나가는 느낌 같은 것이 듭니다.

전에 다른 곡 리뷰에도 적은 내용이지만, 곡이 이 정도 수준이 되면 가수가 보컬로이드냐 아니냐는 별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뭐, 사실 조교 자체도 어떤 부분은 사람이 불렀다고 해도 믿을 만큼 잘 되었구요.

실은 제가 원하는 것 중 하나가 '태초의 노래,  노래의 종말' 을 실 연주로 공연하는 것을 보는 것이었는데, 거기에 하나 더 추가되었네요. 이 곡 또한 실 연주로 연주되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물론 보컬은 유니가 맡고 노래하는 모습은 홀로그램으로 보여 주고요. '태초의 노래, 노래의 종말' 의 경우도 실 연주로 해서 시유가 홀로그램으로 나와 노래하는 공연을 보고 싶기는 한데, '태초의 노래, 노래의 종말' 의 경우는 실제로 구현이 좀 까다로운 부분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24시간의 교향곡'은 연주도 그렇고, 연출되는 장면을 상상해 본다면 실제 공연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이 높아 보이네요.

어쨌든 백문이 불여일청! 한 번 감상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할러퀸
19/02/25 16:20
수정 아이콘
유튜브 댓글에 달린 찬사들을 보며.. 이게 그정도인가?싶어서 다시 들어봤는데..잘 모르겠네요. 정성 가득한 곡이고, 보컬로이드도 발전했고, 가사도 특유의 서브컬쳐 감성을 잘 살린 것 깉기는 한데요..'양방언'이나 '말러'와 비슷한지는 정말 모르겠습니다. 클덕으로서 교향시나 교향곡이란 말에도??가 붙네요.
음향측면에서 흉내낸 부분은 있는 것 같은데 뭔가 이것저것 짬뽕한 느낌이랄까.. 그냥 제 취향이 이쪽이 아닌가봅니다.
19/02/25 16:33
수정 아이콘
저도 평소에 클래식 자주 듣는 사람이라 최대한 색안경없이 들어보려고 했는데 수준높은 곡이냐? 글쎄요 완성도 높은 곡이냐? 글쎄요. 어떤 측면에서 말러의 교향곡을 연상시키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만 굳이 분류한다면 크로스오버 뮤직쪽으로 분류해야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저도 이쪽 취향이 전혀 아닌건 확실한게 저 보컬목소리가 사람이 아니라 기계음? 인것같은데 굳이 지직거리고 어색한 저런 기계음쓸빠에야 실제 사람목소리를 쓰거나 차라리 가사를 다 없애고 악기로 대체하는게 훨씬 듣기 편했을거같아요.
19/02/25 16:49
수정 아이콘
따지는 거 아닙니다. 어떤점이 말러랑 비슷하다고 생각시는건가요?
카페알파
19/02/25 1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사실 제가 뭔가를 적을 정도로 클래식 음악에 대해 잘 아는 것도 아니고 하여 의견을 적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일단 그렇게 까지 말씀해 주셔서 제 생각을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아마 제목 부분의 '교향곡' 이라든가, 제가 써 놓은 글의 '교향시에 가깝다' 는 부분이 클래식 애호가 분들을 자극한 것 같은데요. 우선 제목의 '교향곡' 은 프로듀서 분이 어떤 의도로 붙였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곡을 보면 교향곡이라고 할 수는 절대 없습니다. 형식이나 구성이 교향곡의 그것과는 완전히 거리가 있고요. 다만 일종의 표제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교향시에는 좀 근접하지 않나 싶어서 '굳이 이야기하자면 교향시에 가깝다' 라는 표현을 쓴 것입니다. 그리고 이전에 프로듀서 분이 작곡한 곡을 보면 클래식에 전혀 소양이 없는 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말러의 교향곡을 떠올리게 한다' 는 부분은, 음, 말러리안 분들이 들으시면 펄쩍 뛸 이야기겠지만, 말러의 교향곡은 개인적으로는 말러가 그렇게 넘고 싶어했던 베토벤보다는 오히려 슈베르트의 교향곡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슈베르트의 교향곡을 듣다보면 가곡을 많이 작곡한 사람이라 그런지 곱고 예쁜 선율을 오케스트레이션에 잘 녹여냈다는 느낌을 받는데, 말러의 교향곡을 들을 때 같은 느낌을 받았거든요. 마침 가곡을 많이 작곡했다는 것도 두 작곡가의 비슷한 점이고...... 물론 말러의 교향곡이 장대하고 웅장한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듣다보면 섬세하고 예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부분부분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이 '24시간의 교향곡' 에서 느껴졌다는 점이고, 그래서 말러의 교향곡을 떠올리게 한다고 쓴 겁니다. 물론 그 역량에는 차이가 있겠습니다만...... 아, 그리고 혹시 몰라서 말씀드리는데 선율이 비슷한 점이 있다는 뜻은 아니었습니다.

...... 뭐, 솔직히 이것도 제작자 분의 대댓글을 보지 않았으면 생각 못했을 겁니다. 거기에 말러의 영향을 받았다는 글을 보니 퍼뜩 '아 이런 부분은 말러의 교향곡이랑 비슷한 점이 있네.' 라고 생각한 것 뿐이지요.
19/02/26 20:39
수정 아이콘
답글 감사합니다 ^^
김성수
19/02/25 17:02
수정 아이콘
조금 멜로디가 뻔한 느낌이긴 한데 포인트 짚는 것 보면 대중적으로는 포텐이 꽤나 있는 느낌입니다. 어떤 분인지는 몰라도 잘 다듬으면 볼만할 것 같습니다. 잘 들었어요.
19/02/25 18: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좋게 들은 부분은 다들 어느 특정 작곡가의 특정 곡을 떠오르게 하는 부분이네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나 구스타브 홀스트 그리고 말씀하신 양방언 등등.
특히 도입부는 슈트라우스 샘플링 아닌가 싶을 정도.
19/02/26 04:34
수정 아이콘
2222
뭔가 처음듣는 느낌이 안나네요. 멜로디가 달라도 낯설지 않은 느낌이... 관악기 부분때문인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330 [일반] [속보]이명박 전 대통령 조건부 보석허가 [51] 알레그리12559 19/03/06 12559 3
80329 [일반] 버닝썬 사건에서 언급된 물뽕, 그리고 마약 이야기 [9] 모모스201314017 19/03/06 14017 22
80328 [일반] [단상] 한반도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한 접근 [27] aurelius9350 19/03/06 9350 3
80327 [일반] 지나가는 이야기. [4] 크라슈4637 19/03/06 4637 0
80326 [일반] To watch or not to watch? 캡틴마블 보고왔습니다 :)(스포일러 자제) [24] 복슬이남친동동이10387 19/03/06 10387 12
80325 [일반] 캡틴마블 소감(노스포) [92] 아이즈원13028 19/03/06 13028 3
80324 [일반] 성창호외 사법농단 의혹 판사들 기소 [91] ppyn10889 19/03/06 10889 14
80321 [일반]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서 수소차 활성화 하는 방안 어떻게 생각하세요? [61] 헝그르르10492 19/03/06 10492 0
80320 [일반] '이미지 구축' 과 '스토리텔링' 의 역사에 대한 반발 - 영국의 역사 [12] 신불해10707 19/03/05 10707 25
80319 [일반] 삼국통일전쟁 - 13. 다시 요하를 건너다 [4] 눈시BB8860 19/03/05 8860 18
80318 [일반] 환경부 장관이 민간 차량 2부제를 언급했습니다. [342] 아유23163 19/03/05 23163 24
80317 [일반] 삼성전자 DDR4 8G 21300 램 값이 4만원대에 진입했습니다. [92] 내꿈은퇴사왕16059 19/03/05 16059 2
80316 [일반]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 인민일보의 기사 [62] 醉翁之意不在酒16042 19/03/05 16042 2
80315 [일반] 장하성씨가 중국대사로 내정되었다네요. [205] 벌써2년22563 19/03/05 22563 13
80314 [일반] 워싱턴포스트 기자에게 메일을 보내보았습니다. [47] aurelius13776 19/03/05 13776 11
80312 [일반] 다이어트에 대한 소고 [75] 블루레인11404 19/03/05 11404 13
80311 [일반] 부부싸움, 그 사소함에 관하여 [26] 비싼치킨8963 19/03/05 8963 12
80310 [일반] 중국산 불매운동에 대한 단상 [37] 프로그레시브11488 19/03/05 11488 2
80309 [일반]  내가 광해군 미화에 꺼림칙해지는 근원, 노무현 = 광해군 등치 [64] 삭제됨12445 19/03/05 12445 38
80308 [일반] 개그맨형 과학자와 UFO 그리고 타이타닉 [17] 醉翁之意不在酒11221 19/03/04 11221 12
80307 [일반] [속보] 서울교육청, 한유총 설립허가 취소하기로 결정 [194] 修人事待天命27281 19/03/04 27281 23
80306 [일반] 경력단절 이전 20대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331] 대관람차30405 19/03/04 30405 7
80303 [일반] 어떤이의 총 20여년에 걸친 스토리 작가 도전 실패담. [62] i_terran19254 19/03/04 19254 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