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2/14 14:43:49
Name 아유
Subject [일반] 방심위가 독립기관이라 정부 개입이 있을 수 없다는 방통위의 입장 (수정됨)
https://kcc.go.kr/user.do?boardId=1113&page=A05030000&dc=K00000001&boardSeq=46840&mode=view
접속차단의 대상이 되는 해외 불법사이트에 대한 판단은 정부가 임의적으로 개입하여 결정하지 않음
독립기구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방통위설치법」 제21조(심의위원회의 직무)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심의위원회의 심의대상 정보 등)에 따라 심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임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심의·의결한 「해외 불법사이트」는 ISP사업자(통신사업자)가 직접 이용자의 접속을 차단하는 것으로 정부의 개입이 있을 수 없음

제가 살다살다 이런 변명을 듣게 될 것이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네요.

방송통신위원회 설립 목적 (본인들 홈페이지에 버젓이 설명)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담당하는 주요 기능은 지상파방송 및 종편·보도PP 정책, 방송통신사업자의 금지행위 위반시 조사‧제재, 방송통신 이용자 보호정책 수립·시행, 개인정보보호정책 수립․시행 및 불법유해정보 유통방지, 방송광고, 편성 및 평가정책 수립․시행, 미디어다양성 정책 등에 관한 사항이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구성

[대통령]이 위촉한 9인의 심의위원으로 구성함.(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2항)
심의위원 중 3인은 국회의장이 국회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협의하여 추천한 자를, 3인은 국회의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추천한 자를 위촉함.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3항)
심의위원장 1인 및 부위원장 1인과 1인의 상임위원을 둠.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2항)
심의위원장, 부위원장 및 상임위원은 심의위원회에서 호선함.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4항)
심의위원의 임기는 각각 3년이며, 1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음. 위원장.부위원장.상임위원의 임기는 심의위원의 임기와 같음.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5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2&aid=0002156241
해당 기사에 보면 방통위는 본인들이 쓰는 기술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도 못 내놓고 있습니다.
그래놓고 이것을 무소불위의 칼인냥 사용하고 있는 꼴이죠.

가장 재미있는 변명은 방심위는 독립기관이다. 차단은 민간 ISP 업체들이 하는 것이다. 이런 식의 변명식 해명입니다.
도대체 방통위는 뭐하는 기관이죠? 민간이 함부로 결정하는데 손 빠는 기관인가요?

그리고 본인들이 하는 행위가 잘못된 것이라는 것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불법정보의 유통이 잘못이라 하는데 그런 의미라면 이미 1970년대 독재시절에 잘만 하던 짓 아닌가요?
그런 의미로 정부의 인터넷 통제가 되고 있는 나라 꽤 있죠? 결국 이게 어디까지 악용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당장 방통위 스스로도 민간이 알아서 기는 것인데 우리가 무슨 책임이냐 이런 꼴이잖아요.

그렇게 이명박근혜의 서슬퍼런 독재 회귀를 막기 위해 등장했다던 정부가 오히려 그들의 방향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 꼴을 보니
정말 이 나라는 국민들 때려잡는게 일상 생활화가 된 나라인지 그야말로 의심스러울 정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씨아저씨
19/02/14 14:46
수정 아이콘
이번껀 너무 했죠 전 절대 찍을 생각 없습니다
19/02/14 14:47
수정 아이콘
유체이탈화법 벤치마킹 잘하네요
새강이
19/02/14 14:48
수정 아이콘
변명하는 꼬락서니가 더 별로네요 내가 때린게 아니고 내 손이 때린거야 이거네요 완전히..
복슬이남친동동이
19/02/14 14:49
수정 아이콘
이명박근혜의 서슬퍼런 독재 회귀를 막기 위해 등장했다는건 아마 그들 스스로도 진심으로 생각한 명분이겠지만,
통제와 권위의 페티시즘은 한국에서 논외인 정당이 없었고 정치세력이 별로 없었죠.
솔직히 말하자면 한국에서의 아주 고전적인 통치방법이 적절한 통제였고, 만약 이게 남성의 다수를 빡치게 만드는 타겟팅만 아니었다면 지금과 같은 반응을 불러오지도 않았을 겁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당간의 차이나 정파간의 차이는 걍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민주당이 자한당에 비해 통제를 극혐하고 일상에서의 자유주의를 옹호한다? 리얼 절대 아님.
새벽하늘
19/02/14 14:49
수정 아이콘
그럼 묵인하는게 문제아닌가. 저게 옳다고 생각하는지
오늘날씨맑음
19/02/14 14:50
수정 아이콘
국정감사하면 가장많이 털리고 이슈되는 메인of메인 기관이 방통위인데 이걸 꼬리짜르기 하는건 너무했습니다.
아우구스투스
19/02/14 14:51
수정 아이콘
이게 무슨 참신하고 허접한 개소리인가요?
19/02/14 14:52
수정 아이콘
그렇다 우리는 전국시대에 살고있던 것이었다.
차오루
19/02/14 14:52
수정 아이콘
[전두환도 전혀 잘못없죠. 518도 자기 당시 보직상 무관하다고 했고
장세동이가 각하는 책임없다고 했고요.]


이딴말을 문재인한테 해주고 싶네요.


전두환급 궤변인데 진짜 얼마나 국민을 개돼지로 아는 건가요
아지르
19/02/14 14:56
수정 아이콘
??? : 탱크는 조종사가 몰았기때문에 전두환은 잘못 없다

급 논리
대패삼겹두루치기
19/02/14 14:55
수정 아이콘
야동 혐오야 어느 정부나 다 그러니 까기 그렇지만 저런 내로남불은 웃기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9/02/14 14:55
수정 아이콘
아... 그럼 kt가 방통위 말 안들어도 된다는거네요.

뭐하냐 kt.. 방통위에서 직접 자기말 안들어도 된다고 유권해석 해줬잖아...

군데 kcc.’go’.kr
19/02/14 14: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한당이랑 민주당차이는 둘다 똑같은 짓을하는데 자한당은 자기들이 못된넘인지 알고하고 민주당은 자기들이 진짜 정의의 사도인지 암
랑랑이
19/02/14 14:59
수정 아이콘
엥 이거 완전
일베와 워마드랑 똑같은 비유네요 허허
심지어 비슷..
박찬호
19/02/14 15:10
수정 아이콘
일베는 그걸로 자위행위하는거죠
자기는 자기들이 못난걸 안다 하는데
너 누구보다 못났다 하면 누구보다 열심히 화내죠
그거만큼 웃긴말이 없습니다
19/02/14 14:56
수정 아이콘
근데 저도 잘 모르는 부분인데 저게 법적으로 넘어가면 불법으로 판결이 되나요?
저도 꽤 구리다고 보는데 법적으로 불법이 되는지 자신이 없네요.
대패삼겹두루치기
19/02/14 15:17
수정 아이콘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까지 하면서 막으려 했는데 통과되고나서는 합법이니까 꽤 구린 정도로 넘어가면 돼나요?
19/02/14 15:36
수정 아이콘
넘어가야지 별 수 있습니까? 특별히 문제가 되는 사안이 생기지 않는 이상 법을 바꿀 동력이 없습니다.
테러방지법 자체의 문제보다는 일부 부분에 대한 문제인데 그건 구린정도가 아니라 좀 더 문제가 될 소지가 있긴 합니다만 통과된 법을 되돌리는 건 현 제1 야당을 상대로 다른 많은 걸 포기해야 되는 사안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문대통령이 수정을 공약으로 걸었다면 동력이라도 확보할텐데 그것도 아니니까요.
DreamCatcher
19/02/14 14:56
수정 아이콘
이쯤 되면 정말 구별 안되는 건데..
이러면 진짜 나가린데..
valewalker
19/02/14 14:57
수정 아이콘
꼬리자르기 크크
Bemanner
19/02/14 14:57
수정 아이콘
정부가 검열을 해서는 안된다 X
내가 야당일 때 정부가 검열을 해서는 안된다 O
19/02/14 14:59
수정 아이콘
근데 이게 검열이 맞나요? 법적으로 검열이면 불법일텐데 불법이라면 방통위를 고발해야 할 것 같은데 말이죠?
Bemanner
19/02/14 15:01
수정 아이콘
우리편이 하면 정보수집이고 상대편이 하면 검열이죠
19/02/14 15:02
수정 아이콘
아뇨. 정말 검열이 맞느냐는 겁니다. 법적으로...
법으로 막으라고 되어 있어서 막으라고 통신사에 요청하는 자체가 꼰대스럽긴해도 그게 진짜로 불법이냐는 궁금증이 있는 겁니다.
Bemanner
19/02/14 15:04
수정 아이콘
테방법은 확실하게 법안통과되어 합법이지만 그걸 검열 아니라고 하는 분 있나요?
19/02/14 15:05
수정 아이콘
합법이어도 검열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이야기군요. 그 부분은 알겠습니다.
19/02/14 15:07
수정 아이콘
그거와는 관련 없을 겁니다. 꼰대스러움이 문제이지 감청이라고 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긴 한데...
그래도 검열이라고 부를 수 있으면 비판할 수 있는 일이죠.
19/02/14 16:25
수정 아이콘
검열이라고 글 아래에 엄청 올라왔었어요. 그 때 답글도 다셨던걸로 기억하는데
19/02/14 16:27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8&n=80109&c=3481844 여기에 댓글 단거 아직 못 보셨나 보군요.
레몬커피
19/02/14 14:59
수정 아이콘
[전두환이 직접 탱크를 몰고 소총을 쏘진 않았다]
뚱그루
19/02/14 15:03
수정 아이콘
종편을 때려잡으라고 뽑아 놨더니 검열이나 하고 자빠젔으니
19/02/14 15:07
수정 아이콘
이 정부에서까지 꼬리 자르기를 봐야하나.
19/02/14 15: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방통위는 MB 정부 출범하자마자 방송장악과 종편 승인을 위해 기존 정보통신부에서 통신과 방송위원회를 합쳐서 만든 겁니다. 박근혜 정부까지 하도 논란이 많아 문재인 정부 들어 방통위를 유지하지만 독립성 명목으로 운영중입니다. 그리고 방통위와 방심위는 엄연히 다른 기관이에요.
22강아지22
19/02/14 15:15
수정 아이콘
설립목적이 정부의 [방송장악]이라구요? 함부로 허위사실 유포하지마세요.
19/02/14 15:21
수정 아이콘
제 댓글에 ‘설립목적’이라는 문장이 있나요? 의도를 내포하는 ‘~위해서’가 목적이 되는 군요.
22강아지22
19/02/14 15:25
수정 아이콘
네. 의도나 목적이나 그게 그거같아보이지만, 트집 잡으셨으니까, 그러면 방통위 설립의도가 [방송장악] 이라고 하시는거죠?
19/02/14 15: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시 뉴스들이나 정부 방통위 보고서 찾아 보시고, 아니라면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하세요.
팩트를 말해도 트집이라 하시나요.
스프라켓
19/02/14 15:12
수정 아이콘
방송통신위원회랑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다른 위원회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민간,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불법사이트를 선정해서 민간업체에 목록을 보내면 차단 이런식입니다.
스프라켓
19/02/14 15:15
수정 아이콘
물론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순수한 민간이냐 물으면 세금 안들어간 위원회가 어디 있겠습니까?
19/02/14 15:16
수정 아이콘
민간이 알아서 기어서 했다 이말인가요? 그런데 왜 해당보도자료를 정부가 낼까요?
마도로스배
19/02/14 15:17
수정 아이콘
잉? 이게 사실이면 본문 논리 자체가 잘못 아닌가요?
19/02/14 15:23
수정 아이콘
이건 좀 재미난 반전이네요 ;;
근데 본문의 논지를 크게 벗어나는 정도는 아닌 것 같고...본문의 오류 일부를 수정하는 수준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말씀하신바대로 민간이라고 해도 정부의 자본이 투입되면 순수민간이라고 보긴 좀 그러니까요
근데 방통위가 민간에서 한거다..라고 주장하는 말의 진의는 놔두더라도 일단 그 말은 맞네요 크크크
BibGourmand
19/02/14 17:51
수정 아이콘
헌재피셜은 이와 다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설립, 운영, 직무에 관한 내용을 종합하면, [심의위원회를 공권력 행사의 주체인 국가행정기관이라 인정]할 수 있다.
2011헌가13, 2012. 2. 23
http://www.law.go.kr/detcInfoP.do?mode=1&detcSeq=18874

민간 아닙니다. 헌재피셜 국가행정기관입니다.
스프라켓
19/02/14 15:24
수정 아이콘
아유님이 쓰신 글에 방송통신위원회랑 방송통심의위원회랑 구분 설명이 되어 있네요.
제 억측이지만 이번 일은 그냥 하던데로 불법사이트 차단하려니 기술문제가 있어서 두 위원회가 서로 연합했는데(실적도 올리고)
문제가 커져서 서로 책임 미루기 들어갔다고 봅니다.
레펜하르트
19/02/14 15:49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거라고 생각합니다.
19/02/14 19:02
수정 아이콘
그게 맞다고 봐야죠. 당연히 기술적인 개발은 방심위가 아니라 방통위가 했죠. 당장에 그에 대한 보도자료를 낸 곳이 방통위니까요.
방심위는 그냥 심의만 내려서 규제하는 정도죠. 기술은 방통위와 민간 ISP 업체들이 하는 것인데
이번에 규제하는 사이트는 방심위 결정이니 우리는 아니다라 하는 꼴이죠. 정말 재미있습니다.
19/02/14 15:35
수정 아이콘
검열에 대한 판례를 좀만 보아도 위원회라는 이유로 검열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은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로하스
19/02/14 15:53
수정 아이콘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대통령 직속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순수 민간도 전혀 아니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구성을 보면 대통령이 위촉한 9인의 심의위원으로 구성하고
심의위원 중 3인은 국회의장이 국회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협의하여 추천한 자를,
3인은 국회의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추천한 자를 위촉합니다.
즉 대통령 및 정치인과 떼어놀 수 없는 위원회인데 다만 위원들 신분은 민간인일 뿐이죠.
던져진
19/02/14 16:02
수정 아이콘
민주당 정권에서 이딴걸 변명이라고 할 줄은 몰랐네요. 책임의 외주화 좋네요.

사람을 죽이라고 청부했지만 죄가 없다. 사람을 직접 죽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람한테 총을 쏴서 사람이 죽었지만 살인을 한건 아니다. 사람을 죽인건 총알이기 때문이다 ^^
강호금
19/02/14 16:03
수정 아이콘
마찬가지로 최저임금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정하는거라고도 했었죠. 이런 기구들은 어차피 정부 뜻대로 결과를 내놓는 곳들입니다.
옳고 그름을 떠나서 책임떠넘기기 하는 모습은 좋지 않아요. 본인들이 밀어붙이는 정책이면 책임도 본인들이...
그린우드
19/02/14 16:46
수정 아이콘
그냥 계약관계일뿐인 외주업체에서 터진 문제로 갑을관계 이유로 대기업들 공격하면서

아예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는 위원회는 나몰라라하는군요.
매일푸쉬업
19/02/14 20:46
수정 아이콘
진짜 인간이길 포기한 사람들이네요. 와 진짜 악질이네
아루에
19/02/14 23:57
수정 아이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하위 부서가 아니고, 방송통신위원회는 행정부 소속의 정부 부처가 아닙니다. 둘 다 '합의제' 위원회이고, 따라서 야당 위원도 위원회에 포함되며, 정부로부터 '독립'한 위원회입니다. 방심위나 방통위나 독임제가 아니라 합의제이기에, 공식적으로 정부로부터 '독립'해 있고, 따라서 정부가 공식적으로 '책임'이 적습니다. 정부의 무-책임과 위원회의 독립이 이 제도 자체의 취지입니다.

물론 실질적으로야 방통위와 방심위가 정부의 영향을 받고, 따라서 정부의 입김이 전혀 없다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방심위나 방통위의 정책에 대해 정부가 공식적으로 나서서 "방통위와 방심위의 잘못은 정부 '잘못'이다. 정부가 '책임'지고 '통제'하겠다."라고 선언한다면 그건 훨씬 더 잘못된 겁니다. 그건 책임 있는 모습이 아니라, '정부로부터의 독립', '정부가 간섭하지 않음', '통제하지 않음'이라는 취지 자체를 부인해버리는 겁니다. 그러므로 정부가, "방통위 방심위는 독립 기구라 책임이 없다"고 말하는 건, 단지 비겁한 변명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은 "정부가 방통위 방심위의 독립을 내세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비겁하고, (반대로) 방통위 방심위를 제대로 책임지고 통제하겠다고 말해야 책임 있고 솔직한 거다"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제 생각은 그렇지 않습니다. 방심위가 방통위의 소위원회고, 방통위가 가령 문화부의 부처라면, 당연히 정부가 책임지고 통제해야 합니다. 그런데 공식적으로 (그게 아무리 명목이더라도) 방심위는 방통위로부터, 방통위는 정부로부터 독립해 있습니다. 정부가 방통위와 방심위의 잘못된 (그리고 정부가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을 수도 있는) 정책을 시정한다고 해서 방통위와 방심위를 '책임'지고 '통제'하겠다고 말하면, 저는 그거야말로 제도의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상의 예를 들어, MBC 사장을 방문진이 임명하고, 방문진 이사를 방통위가, 방통위를 다시 대통령이 임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BC가 대통령에게는 유리하지만 명백한 오보를 했다 합시다. 이에 대해 대통령이 (실질적인)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대통령이 나서서 "MBC 잘못은 제 '잘못'이고, 제가 '책임'지고 MBC가 저한테 유리한 오보 안 하도록 '통제'하겠습니다."라고 나서면 그건 더 심각한 잘못입니다. 누가 대통령에게 왜 MBC 제대로 컨트롤 안 하냐고 따지면, 행정부는 "MBC는 독립 기관이어서 우리 책임이 아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바가 없다."라고 반응하는 게 정석일 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방심위의 새로운 모니터링 정책이 검열이 아니게 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방심위는 엄연히 정부가 위원을 위촉하고, 정부의 재원을 지원받고 있으니, 방심위의 "검열"은 곧 정부의 "검열"로 보아,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으로 엄중히 다루어져야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706 [일반] 누군가의 기부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 [80] 피터피터10147 19/04/08 10147 24
80629 [일반] 북한: 우리가 철수한다 했습네까? [224] 닭장군21446 19/04/01 21446 10
80624 [일반] 여가부가 연말부터 인터넷 개인방송 모니터링을 시작한다고 하네요 [161] 푸른하늘은하수15995 19/04/01 15995 17
80539 [일반] 이 정부 이후로 어쩌면 진짜 정치 세대교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93] 닭장군18958 19/03/24 18958 39
80388 [일반] 문재인 정부와 여성 할당 [10] kien9028 19/03/12 9028 5
80332 [일반] 이명박의 보석 허가와 사법개혁의 어려움 [49] 파이톤사이드11339 19/03/06 11339 8
80330 [일반] [속보]이명박 전 대통령 조건부 보석허가 [51] 알레그리11925 19/03/06 11925 3
80228 [일반] 역대 대통령들의 개인적인 평가. [193] 크라슈16742 19/02/25 16742 5
80180 [일반] 민주당 청년위원장 "문재인정부, '20대 남성' 보호할 수 있는 정부" [155] Practice15794 19/02/19 15794 16
80109 [일반] 방심위가 독립기관이라 정부 개입이 있을 수 없다는 방통위의 입장 [54] 아유8626 19/02/14 8626 16
80077 [일반] 괴물 대통령이 등장한다(?) [63] 인생은이지선다14546 19/02/12 14546 6
80075 [일반] 문재인이 노무현인 줄 알았다. [313] TAEYEON16556 19/02/12 16556 29
80071 [일반] 어떤 인간이 했던말 레전드.txt (수정) [438] 차오루23806 19/02/12 23806 118
80017 [일반] 재미있게 돌아가는 자유한국당 전대 상황-섣부른 옥중정치와 황교안의 반격 [60] 독수리의습격15327 19/02/08 15327 5
79959 [일반] 20살의 내가 느꼈던, 그리고 33살의 지금의 내 달라진 가치관과 생각들의 혼란스러움/부록 87년생 김철수 [115] 뮤지컬사랑해11764 19/02/01 11764 64
79942 [일반] 예비타당성 조사가 SOC 최후의 보루인 이유 [120] 아유12733 19/01/30 12733 15
79919 [일반] 워마드의 친미 시위 [110] LunaseA18986 19/01/29 18986 6
79693 [일반] "북한 요구대로 스위스 타미플루 공급"…제약업계 '술렁' [264] ageofempires19337 19/01/10 19337 14
79677 [일반] 지만원에 질질 끌려다니는 이해할 수 없는 자유한국당 [22] Jun9119815 19/01/09 9815 11
79640 [일반] [JTBC 뉴스룸 신년토론] 2019년 한국 어디로 가나 - 패널별 주요 주장 [244] 껀후이22793 19/01/05 22793 31
79606 [일반] 신재민 전 사무관의 유서(로 추정되는 글)과 관련해 민변측이 공식적으로 부인했습니다. [41] 원시제10100 19/01/03 10100 4
79556 [일반] 민주당 vs 자한당 역대 여성부 장관들의 출신 해부 분석. [128] 마재10992 18/12/31 10992 19
79518 [일반] [잡담] 민주당 의원들에게 메일을 보내고 답장을 받았습니다. [35] aurelius11353 18/12/28 11353 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