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2/02 22:54:27
Name 라임트레비
Subject [일반] 성범죄 통계를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아래에 마치 성범죄는 무죄가 나올 수 없다는 뉘앙스의 글이 있어서 성범죄 재판 통계를 좀 찾아봤습니다. 워낙 길어져서 별개의 글로 작성합니다.

사법연감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강간과 추행의 죄"로 기소된 사건에 대한 1심 판결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 무기징역: 1
- 유기징역: 1197 (20.57%)
- 집행유예: 2238 (38.47%)
- 재산형: 1769 (30.41%)
- 선고유예: 142 (2.44%)
- 무죄: 203 (3.66%)
- 공소기각: 3
- 소년부송치: 13
- 기타: 252
- 합계: 5818

무죄만 따지면 3.66%, 선고유예 + 무죄 + 공소기각을 합치면 5.98%입니다.

참고로 2017년 형사사건 전체의 판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기: 29
- 유기: 40787 (29.87%)
- 집행유예: 42374 (31.04%)
- 자격형: 2
- 재산형: 35534 (26.03%)
- 선고유예: 1748 (1.28%)
- 무죄: 3414 (2.50%)
- 형의 면제: 176
- 면소: 41
- 관할위반: 1
- 공소기각: 1657
- 소년부송치: 1040
- 기타: 9732
- 합계: 136535

무죄만 따지면 2.50%, 선고유예 + 무죄 + 형의 면제 + 면소를 합치면 3.94%입니다.

따라서 1심을 기준으로 [강간 및 강제추행에 대해 유죄판결을 받을 확률은 형사 재판 평균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유죄가 나오더라도 징역보다는 집행유예나 재산형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면 10년전인 2007년과 비교할 때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 무기: 4
- 유기: 579 (26.99%)
- 집행유예: 730 (34.03%)
- 재산형: 276 (12.87%)
- 선고유예: 8
- 무죄: 33 (1.54%)
- 공소기각: 314 (14.64%)
- 소년부송치: 27
- 기타: 174
- 합계: 2145

당시에는 무죄가 1.54% 밖에 되지 않습니다. 선고유예를 합쳐도 1.91%에 지나지 않습니다. 즉, [10년전과 비교하면 성범죄 무죄율은 늘어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눈에 띄는 것은 당시에는 공소기각이 14.64%로 높았다는 것입니다. 아마 당시에는 성범죄가 친고죄였기 때문에 고소를 취소하면 공소가 기각된 것이 아닌가합니다. 그런데 공소기각 된 건을 제외하더라도 무죄율은 1.80%입니다.

단, 2007년에는 다른 형사 사건들도 무죄율이 2017년보다 낮아서 1.77%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를 고려하더라도 2007년의 무죄율은 다른 형사사건보다 약간 낮은 수준(형사 1.77% vs. 성범죄 1.54%)인 반면에, 2017년의 무죄율은 다른 형사사건보다 훨씬 높습니다(형사 2.50% vs. 성범죄 3.66%).

이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로 가능합니다. 우선 직관에는 반하지만 법원이 과거보다 성범죄에 유죄 판결을 더 까다롭게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치상으로는 10년전보다 무죄 판결을 더 많이 내리고 있으니까요.

또 검찰이 과거보다 더 적극적으로 기소를 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법원이 같은 기준으로 판결하더라도 무죄율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사건 수가 2145건에서 5818건으로 2배 넘게 늘었습니다.

대검찰청에서 발간한 2018 검찰 연감으로 검찰이 기소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강간 및 강제추행으로 뭉뚱그리고 있는 사법연감에 비해 검찰연감은 항목을 좀 더 세분화해두고 있습니다. 또한 한 권에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비교해둔 것도 편리한 점이군요.

1998, 1999년은 범죄 분류가 좀 달라서 2000년부터 보도록하겠습니다.

우선 강간 및 준강간은 2000년 2120건이 접수되어 385건이 기소되었습니다. 기소율은 18.16%입니다. 2007년에는 2,156건 중에 350건이 기소되었습니다(16.23%). 2017년에는 4,051건 중에 1,045건이 기소되었습니다(25.80%). [강간은 접수된 사건 수가 거의 2배로 늘었고 기소율도 16~18%에서 25%로 올랐습니다.]  형법범 전체의 기소율은 2007년 28.74%에서 2017년 21.13%로 낮아진 것과 비교하면 더 적극적으로 기소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강간 및 준강간에 대한 접수 건수는 매년 꾸준히 늘었습니다만 기소율이 크게 변한 것은 2012년~2014년 무렵입니다. 이 기간에 기소율은16.27%에서 26.83%으로 올라갑니다.

그런데 [강제 추행의 경우에는 접수 건수는 늘었지만 기소율은 높아졌다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2000년에는 1,933건 접수, 411건 기소로 기소율이 21.26%이었다가 2007년 5,076건이 접수되어 1925건이 기소되어 기소율이 37.92%로 올라갑니다. 2017년에는 15,626건이 접수되어 5335건이 기소되어 기소율이 34.14%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강간에 대한 기소율이 증가했던 2012~2014년에는 강제추행도 기소율이 40%를 넘었습니다.

그 외에도 다른 유형의 성범죄들이 있습니다만 숫자가 너무 많은 관계로 일단 넘어가겠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강간 및 추행의 죄로 기소되었을 경우 1심에서 무죄율은 3.66%로은 일반 형사 사건 비해서나, 과거에 비해서나 높은 편]입니다
- [강간으로 접수되었을 때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을 확률은 74.20%로 일반 형사 사건이나 과거보다는 낮은 편]입니다.
- [강제추행의 경우에는 불기소 처분의 확률이 65.86%로 일반 형사 사건보다는 낮지만 몇 년 전보다는 높은 편]입니다.

참고자료:

- 사법연감:  http://www.scourt.go.kr/portal/justicesta/JusticestaListAction.work?gubun=10
- 검찰연감: http://www.spo.go.kr/spo/info/issue/spo_history02.jsp?mode=view&article_no=685163&pager.offset=0&board_no=64&stype=&sort_year=2018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2/02 23:04
수정 아이콘
시간내서 찾아주신 자료 잘 봤습니다.
성범죄의 경우는 [일반 범죄보다 피해입증이 어려운 점이 고려되지 않은 부분]도 무죄율에 영향을 많이 주지 않을까요?
헤어진 여자친구가 홧김에 강간으로 고소하거나 가출 청소년이 주운 핸드폰으로 연락해서 고소하는 등의 무고가 많을 것 같아서요.
조유리
19/02/02 23:10
수정 아이콘
성범죄뿐아니라 말도 안 되는 무리한 기소는 대부분 검찰 선에서 컷됩니다.
야다시말해봐
19/02/02 23:07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홍승식
19/02/02 23:08
수정 아이콘
자료 감사합니다.
기소를 많이해서 무죄가 많아진다면 접수 대비 무죄율을 보는 것도 필요하겠네요.
한번 시간내서 두 통계 한번 합쳐서 봐야겠네요.
19/02/02 23:13
수정 아이콘
오 재미있는 통계입니다. 성범죄와 다른 범죄간의 비교는 범죄의 스타일이 다르니 그렇다 치더라도, 연도별 패턴은 전혀 생각지 못한 부분이네요. 기소 숫자가 많아져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래도 의외입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돌돌이지요
19/02/02 23:14
수정 아이콘
성의있는 글 감사합니다, 근데 비율 말고 말씀대로 사건 수치만 보면 10년 전에 비해 2017년도 수치가 두배 이상 많은데 이에 따른 영향도 있지 않을까요?

통계만 보면 인도보다 스웨덴이 성범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게 통계의 함정이라는 것을 본 적이 있거든요
솔로14년차
19/02/02 23:25
수정 아이콘
징역 : 583 -> 1198 (205%)
집행유예 : 730 -> 2238 (307%)
재산형 : 276 -> 1769 (641%)
선고유예 : 8 -> 142 (2367%)
무죄 : 33 -> 203 (615%)
공소기각 : 314 -> 3 (1%)
소년부송치 : 27 -> 13 (48%)
기타 : 174 -> 252

비율만으로 따지기에는 10년간 대한민국에 성범죄에 관련해서 몇 배로 증가할만한 사회적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결국 기존에는 걸리지 않았을만한 범죄가 추가로 발각되었다던가, 기본엔 범죄가 아니었던 것이 범죄가 되었다고 봐야겠죠.
무엇보다 재산형이 6배가 넘게 증가했다는게 충격적입니다.
zoroaster
19/02/02 23:54
수정 아이콘
아내 강간 판례가 언제 처음 나왔나 생각해보면 별로 놀랍지도 않네요.
울컥쟁이
19/02/05 13:09
수정 아이콘
성범죄에 대한 신고 비율이 늘어났다고도 해석할 수 있죠.
19/02/02 23:53
수정 아이콘
성범죄 수사 건수 대비 기소율의 통계자료도 보면 좋을 듯 합니다.
예전엔 쉬쉬해서 신고자체가 안되거나, 경찰 수사 선에서 종결되고 검찰 기소로 안가는 건수가 꽤 많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초록물고기
19/02/03 01:12
수정 아이콘
범죄 상호간 통계는 약식이냐 구공판이냐를 나눠서 봐야할것 같고, 또 자백율이 높은 범죄이냐 무죄주장이 많은 경우니냐로 나눠서 봐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검찰의 높은 유죄율은 가벼운 범죄나 약식명령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범죄의 경우 점차 무죄를 다투는 비율이 더 높아 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친고죄 시절에는 피고인이 무죄주장을 요청해도 변호인이 그냥 합의가 최선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친고죄폐지 및 수많은 부가형벌의 존재와 무척 강화된 처벌로 인해 합의는 포기하고 무죄를 다투는 경우도 많습니다.
19/02/03 09:54
수정 아이콘
선고유예도 유죄 판결에 넣어야 하지 않나요? 법정형과는 별개로 성범죄의 경우 확실한 무죄판결이 아니면 피고는 사회적으로 사형인데요.
도르래
19/02/03 10:16
수정 아이콘
통계 감사합니다.
세인트루이스
19/02/03 12:16
수정 아이콘
시간들여서 자료 정리해주신점 감사합니다. 인터넷 커뮤니티 & 언론에선 보통 가장 특이한/자극적인 사례만이 다뤄지니 이러한 통계자료가 아주 고맙네요.
레펜하르트
19/02/03 13:09
수정 아이콘
이런 통계 정리글이야말로 진짜 건전하고 의미있는 토론이 오갈 수 있는 좋은 여건이라고 생각하는데 페미니즘과 성범죄 관련 수십플, 수백플을 달고 억울함과 분노, 불공정과 비논리함을 표출하던 분들은 막상 이런 글에는 썰렁하네요.

하긴 인터넷 토론은 사실상 감정싸움이지요. 이런 글보단 자극적이고 희소한 기사 하나 슥 긁어와서 분노유발 및 정신승리 가능하게 해주는 글이 더 팔리는 게 현실이고요.
NoGainNoPain
19/02/03 13:3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페미들 혜화역 시위처럼 여자 몰카범이라서 빨리 잡았다는 말도 안되는 논리로 글을 적은 뒤 분노유발 및 정신승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글이 사회적으로 더 큰 반향을 일으키는 게 현실이죠.
레펜하르트
19/02/03 13:5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쪽처럼 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페미든 반페미든 점점 양상구도가 비슷해져가는 것 같아서 우려스럽습니다.
19/02/03 14:40
수정 아이콘
원래 극과 극은 닮아가는 법이라서요...
19/02/03 13:14
수정 아이콘
전 접수건수에 주목해야 된다고 봅니다. 강간/준강간은 접수건수가 2배, 강제추행은 10년사이 접수건수가 3배로 늘었네요.
명란이
19/02/03 13:31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이런 통계자료와 함께 서로의 주장이 오가는 건전한 토론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감정배설을 하기 위한 불판 글들이 너무 많아진 것 같아요.
19/02/03 14:40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저도 이런 글을 많이 써보고 싶은데 막상 찾아보고 나서 정리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기에 어려운 일을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가고또가고
19/02/03 15:31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다만 성범죄와 관련된 유죄추정 논란의 계기가 된 곰탕집 사건 판결과 대법원의 성인지 감수성 언급 판결, 한국 미투운동의 촉매제가 된 검찰 성추문 사건 모두 2018년에 있었던 일이라 2017년의 1심 성범죄 판결 통계는 현재의 논란과 꽤 거리가 있다고 봅니다. 2017년까지는 작년만큼 성범죄와 관련해서 페미니즘 이슈와 맞물려 뜨겁게 화제가 됬던 적은 없으니까요. 오히려 2010년 성폭법 제정 등 형량이 강화된 성범죄 관련 특별법들로 인해 법원이 성범죄 유죄판결에 더 보수화되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현재의 성범죄 유죄추정 논란과 관련된 1심 법원의 태도를 조사하려면 최소한 2018년 하반기부터의 판결들로 통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19/02/04 07:26
수정 아이콘
한국 페미니즘의 만행은 이미 적어도 김대중때 이후로 쭉~이어져 왔다고 봐야합니다. 전원책이 이 이슈로 떠서 정확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울컥쟁이
19/02/05 13:11
수정 아이콘
두 번 정독했습니다. 보석 같은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056 [일반] [삼국지] 유비와 조조 (1) - 첫 만남 [13] 글곰10627 19/02/12 10627 40
80055 [일반] 결혼 찬성론자의 소소한 일상이야기 [35] Hammuzzi7985 19/02/12 7985 55
80054 [일반] 너무 빡쳐서 처음으로 청와대 청원을 넣어봤습니다. [77] aurelius16528 19/02/12 16528 46
80052 [일반] 청나라 vs 프랑스 [16] 신불해13940 19/02/12 13940 32
80051 [일반] 나의 작년과 좋은 여자는 어디있는가? [8] 깐따삐야7946 19/02/12 7946 9
80050 [일반] 테러방지법과 예타면제로 보는 민주당=자한당 [55] 3.14159212851 19/02/11 12851 34
80049 [일반] 서울시교육청, 평양 수학여행·스포츠 교류 추진 + 2032 서울·평양 올림픽 추진 [73] 플로렌치9198 19/02/11 9198 10
80047 [일반] 오늘자로 강화되어 논란중인 인터넷 감청과 검열 [97] Complacency17018 19/02/11 17018 35
80046 [일반] 왜 자한당 비판은 하지 않을까 [87] LunaseA16675 19/02/11 16675 15
80045 [일반] 어디까지가 할수있는 표현인걸까요 [37] 하니9145 19/02/11 9145 1
80044 [일반] 40대 중반의 미혼이신 형님들과 술 한잔씩 하는 편입니다. [93] 음냐리14443 19/02/11 14443 3
80043 [일반] 홍카콜라와 알릴레오, 숨지 말고 나오세요. [45] 마담리프10557 19/02/11 10557 3
80042 [일반] 홍준표, 전당대회 불출마 공식선언…"끝까지 함께 못해 유감" [41] kicaesar9276 19/02/11 9276 2
80041 [일반] [잡담] 민주당의 이념형 극단주의자 때문에 가끔 깊은 빡침을 받습니다. [56] aurelius10201 19/02/11 10201 34
80040 [일반] 인도 방랑기 (1) -1(내용추가) [36] 안유진6948 19/02/11 6948 26
80039 [일반]  꿈만 꾸고 청춘 다 보내고 불혹에 결혼하는 할배 [34] 센터내꼬야10119 19/02/11 10119 10
80038 [일반] (스포일러)레고 무비 2- 듀플로 제국의 역습 [5] 꿈꾸는드래곤4708 19/02/11 4708 0
80037 [일반] 일본아주머니와 같이탄 지하철 속에서 생각해보는 민도와 민폐 그리고 관계에 관하여.. [29] 안유진11402 19/02/11 11402 30
80036 [일반] [다큐] 프랑스에서 만든 북핵의 역사 다큐 추천 [11] aurelius7074 19/02/11 7074 2
80035 [일반] 마초적이고 세속적인 아재의 결혼론 [100] 상한우유13412 19/02/11 13412 20
80034 [일반] 잘 싸우고도 외교적 헛짓으로 성과를 날려먹은 청나라 [24] 신불해14925 19/02/11 14925 62
80033 [일반] 화웨이는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46] 김유라14495 19/02/10 14495 35
80032 [일반] 결혼 너무 어렵습니다 진짜 ..... [172] 神의한수21240 19/02/10 21240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