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24 11:56:26
Name 사업드래군
Link #1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24000412
Subject [일반] BMW 차량결함 은폐, 축소, 늑장리콜
BMW가 엔진결함으로 인한 차량의 화재 위험을 미리 알고도 이를 은폐, 축소하고 '늑장 리콜' 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올해 여름을 가장 뜨겁게 달궜던 이슈 중 하나가 BMW 화재사건입니다.
520d 모델을 중심으로 특히 자주 발생하였으며, 7~8월에 걸쳐 거의 매일마다 화재사건이 발생하여 일부 주차장에서는 아예 BMW 차량은 진입을 금지시키기도 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BMW 차량 운행 자제를 3일 공식 권고하였고, 결국 42개 차종 10만 6,317대에 대해 공식리콜을 결정하였습니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이 그 원인으로 지목되어 국토부와 BMW 화재 관련 민관합동조사단이 조사에 들어갔고, 오늘 조사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조사결과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EGR) 쿨러 균열로 인한 냉각수 누수'에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질소산화물 (NOx)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키는 장치인 EGR 쿨러에 균열이 생기면서 냉각수가 누수되고, 누수된 냉각수가 엔진오일 등과 뒤섞여 EGR 쿨러, 흡기다기관에 엉겨 붙어 있다가 500'C 이상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면서 과열, 발화돼 화재로 이어졌다고 결론을 내었습니다.

사고원인은 BMW의 자체조사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문제는 BMW가 차량 결함을 미리 알고도 은폐, 축소하고 늑장 리콜을 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BMW가 2015년 10월 독일 본사에 EGR 쿨러 균열 문제 해결을 위한 TF를 구성해 설계변 등 화재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에 착수하였고, 2016년 11월에 '흡기다기관 클레임 TF'를 구송하고, 문제가 있는 엔진에 대한 설계변경에 들어갔다는 자료를 확보하엿다고 합니다.

또한 7월 520d등 차량 10만 6천대에 대한 자발 리콜을 시행하면서 같은 문제가 있는 EGR을 사용하는 일부 차량에 대해서는 리콜에 들어가지 않았으며, 조사단이 해명을 요구한 다음에야 9월 118d 등 6만 5천대에 대한 추가리콜을 실시하여 '늑장 리콜'을 했다고 봤습니다.

또한 올해 상반기에 제출할 의무가 있던 EGR 결함 및 흡기다기관 천공관련 기술분석자료를 153일 늦은 9월에야 제출하면서 은폐 정황도 포착하였습니다.


추가조치

BMW에 대해 형사고발, 과징금, 추가리콜 조치에 나설 방침이라고 합니다.

추가리콜 - 65개 차종, 17만 2,080대에 대해서 흡기다기관 추가리콜 요구
과징금 - 112억 7,664만원 (2016. 6. 30 이후 출시된 BMW 리콜 차량 매출액의 1%)
형사고발 - 검찰에 고발, 수사협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지 좀 더 지켜봐야 겠군요. 과징금은 적절한 건지 저는 잘 모르겠고, 결국 검찰 고발 후 법원에서의 판결 및 이후 진행될 소송의 결과가 중요해지겠군요.

근데 뭐 그렇다고 BMW 판매에 장기적으로 차질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잠시 benZ로 옮겨 가는 수요는 있겠지만, 대폭 할인을 해주거나 하면 판매에 큰 지장은 없을 것 같기도 하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CP재단
18/12/24 12:02
수정 아이콘
큰 프로모션 나오려나요 크크
아우디 생각나네요
WhenyouinRome...
18/12/24 12:02
수정 아이콘
역시 기업은 다 똑같군요
관지림
18/12/24 1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8/12/24 12:09
수정 아이콘
현대차 타는 사람들을 개돼지로 만들어버리시네요 크크크
이건 뭐 졸지에 개돼지가 되어버렸으니 아프면 이젠 동물병원으로 가야 할 판이네요.
관지림
18/12/24 12:14
수정 아이콘
억울해도 어쩔수 없죠 뭐.. 틀린말은 아니니..
미나토자키사나
18/12/24 14:32
수정 아이콘
틀린말 맞는거같은데요
고작들고온게 쉐보레에 르노면 누가개돼지인지 한번 다시생각해볼수는 있을거같습니다
잉크부스
18/12/24 12:25
수정 아이콘
현차가 자국민을 개돼지로 여기는건 사실이죠..
동일차종도 미국에서만 리콜하고
강판기준 안전기준 다르고..
가격도 자국에 더 비싸게 팔아먹죠

왜냐? 독점적 위치라 그래도 됬으니까요
킹리적갓심
18/12/24 13:34
수정 아이콘
다른 외제차들은 안 그런가요?
제가 렉서스 사려고 알아봤는데 국내에는 옵션은 다 빼먹고 들어오면서 값은 비싸게 받던데요?
잉크부스
18/12/24 16: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차가 욕먹는 이유는 내수차별때문이죠
심지어 안전사양을 변경하죠
렉서스는 수출차별이니 일본인들에게 욕은 안먹겠군요..
프로그레시브
18/12/24 12:28
수정 아이콘
현대차 국민들 호구 취급하는건 어제 오늘일이 아니었고
알 사람들은 다 알지만 싼맛에 타는건데
비엠같은 프리미엄 브랜드는 다르죠
좋은 품질에 비싼차를 누리겠다인데, 실상은 그게 호구짓이 되고있으니깐요
아우디도 그렇고 비앰도 그렇고 제대로 과징금 때리고 리콜 받을거 받아내야한다고 봅니다
과징금 100억이라...
솔직히 껌값 아닌가요? 걔네들 입장에서
18/12/24 15:21
수정 아이콘
암만 봐도 개돼지는 따로 있는 것 같은데요..
Lord Be Goja
18/12/24 12:23
수정 아이콘
나는 잘만 타는데 호들갑이다도 나와야죠
킹리적갓심
18/12/24 13:36
수정 아이콘
일반 국민들이 많이 사는 5천만원대 이하에서 현기차 빼고 다른 선택지가 크게 있나요?
제한된 선택지에서 선택한 사람들이 개돼지인가요?
어처구니가 없네요.
관지림
18/12/24 13:51
수정 아이콘
쉐보레 르노삼성 알티마 닛산 캠리 등등
킹리적갓심
18/12/24 14: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포괄적 벌점
관지림
18/12/24 14: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포괄적 벌점
킹리적갓심
18/12/24 14: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과한 비아냥(벌점 4점)
관지림
18/12/24 14: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과한 비아냥(벌점 4점)
킹리적갓심
18/12/24 15:07
수정 아이콘
자기가 먼저 사람들보고 개돼지 그래놓고는 뭐가 그렇게 억울한데요?
관지림
18/12/24 15:10
수정 아이콘
뭘 억울해해여 내가??크크
내가 님보고 개돼지라고 한것도 아니고 님이야말로 뭘 억울해해여??
킹리적갓심
18/12/24 15:11
수정 아이콘
관지림 님// 개돼지처럼 현기차 사준다면서요.
현기차 산 사람들 다 개돼지로 만드는 발언 아닌가요?
18/12/24 14:18
수정 아이콘
다른 브랜드는 몰라도 쉐보레 르삼은... 글쎄요.
방금 제가 올린 글만 보셔도...
관지림
18/12/24 14:26
수정 아이콘
저는 완성도만 따지는게 아닙니다
마인드가 현대가 구리다는거죠
사건 사고가 나도 국토부에 다~~현대맨들로
구성 되있으니 일반소비자가 피해보상 받기도
힘든구조이고 법개정도 힘들고 이런 문제야 뭐
한참 뒤로 가는 문제이니 패스하고
쉐보레 르삼이 절대 좋다는게 아닙니다
대체자가 있다는거지
우리가 남양유업 불매 하는게 비단 남양유업만
밀어내기 하고 다른 기업은 없어서 그런게 아니자나요
18/12/24 14:27
수정 아이콘
르삼이나 쉐보레도 마인드가 구려서요.
외국 브랜드도 우리나라 들어오면 헬적화되고...
그 중 유독 현기가 심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존중합니다.
관지림
18/12/24 14:38
수정 아이콘
왜 헬적화가 된다고 생각하세요?
유독 우리나라만 왜 그럴까요?
법이 그러니깐 법에 마추어서 행동하는거죠.
그럼 법이 왜 유독 기업입장에 마추어서
바뀌고 진행될까요?
국민들이 개돼지라 그런겁니다
DogSound-_-*
18/12/24 16:48
수정 아이콘
네이버에서나 볼법한 댓글이네요 꺌꺌꺌
국토부에 현대맨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증거내놓으셈
WhenyouinRome...
18/12/24 2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과한 비방 표현(벌점 4점)
관지림
18/12/24 21: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반말, 회원 비방(벌점 4점)
몽키매직
18/12/24 14:29
수정 아이콘
열거하신 브랜드 중에 현기차보다 좋다고 할만한 건 없습니다. 이름있는 브랜드도 저가 라인은 국산차보다 더 구려요.
그리고 다 같은 기업인데 마인드 도토리 키재기 정량적으로 하실 거 아니면 현기차만 욕할 이유도 딱히 없습니다.
우리나라 사람 삼성 욕하고 미국 사람 애플 욕하는 그냥 눈 앞에 있는 정보 보고 욕하는 패턴일 뿐입니다. 기업 성격은 본질적으로 다 비슷해요.
관지림
18/12/24 14:49
수정 아이콘
전 현대차보다 좋다고 한적 없습니다
대체자가 있다고 한거지
다른것도 구려요 하는건 물타기 그이상도 아니죠.
남양유업은 그럼 불매운동을 아직까지 하는 사람들은 다른 기업은 문제가 없어서 남양만 하나요?
어차피 밀어내기 하는건 다 똑같은데
1등기업이고 본보기로 해야 다른기업들도
무서워서 그런짓을 안하게 되는거지
(안그런 국민들이 많아서 다시 또 하겠지만)
몽키매직
18/12/24 14:55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들 보니까 남의 의견 들을 생각 없으신 것 같은데 저도 관두겠습니다. 지적할 부분이 짧은 글 사이에서도 산더미 같지만 그냥 여기서 정리하는 걸로 하죠. 좋은 하루 되세요.
관지림
18/12/24 15:10
수정 아이콘
네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관지림
18/12/24 15:14
수정 아이콘
앗 그리고 그냥 의견이 다르시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굳이 사족을 붙혀가면서
남의 의견을 안듣는다는둥 그런 소리는 할필요가 없죠
18/12/24 17: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기거르고 나오는 선택지가 르? 쉐?? 닛산???
그냥 최선의 선택을 하는 사람들한테 왜 개돼지라고 싸잡아 모욕하나요?
현기가 계속 잘못하고 있으면 그걸 놔두는 정부 관리 감독에게 따져야죠

외제차를 제외한 국산상용차시장의 현기 비중이 70-80%정도 되는데 이 많은 개돼지들이 생각이 없어서
현기를 살까요 아니면 현기가 저 저래도 르쉐뭐시기 이런애들보나 나으니까 선택하는걸까요?

르쉐중 몇몇차 빼고는 그냥 현기라면 일단 고민없이 거르는 사람들때문에 팔리는게 커요.
차대차로 진지하게 고민하면 르쉐쌍을 선택할 이유가 별로 없거든요.
아이지스
18/12/24 12:08
수정 아이콘
정말 클린한 디젤이었습니다
18/12/24 12:14
수정 아이콘
X7 사려했는데 ㅠㅠ.
18/12/24 13:17
수정 아이콘
부럽네요 ㅜㅜㅜ gls 도 있어요 gle 도 있구요
러블세가족
18/12/24 12:28
수정 아이콘
중고차값이.......
루크레티아
18/12/24 12:40
수정 아이콘
전 폭스바겐 디젤게이트에 당한 사람이라 앞으로 구라쟁이 폭바 차는 쳐다도 안 본다는 심정인데 비엠 사는 사람들은 진짜 강심장인 것 같습니다. 배기가스 수준이 아니고 잘못하면 사고로 자신과 남을 다 죽일 수준의 차량 전소인데도 할인 한다고 사겠다니, 그것도 싸지도 않은 프리미엄 브랜드라 대체재가 있는 상황에서도 말이죠.
파랑파랑
18/12/24 12:41
수정 아이콘
믿을 브랜드가 없습니다 -_-
그린우드
18/12/24 12:44
수정 아이콘
독일차와 독일에 대한 이상한 환상은 이제 걷어낼 때가 왔죠.
18/12/24 1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차량결함이야 생길수 있고 기업이야 최소비용으로 수습하려는게 당연한지라 시장크기와 정부 관리감독 차이 때문에 기업들 태도가 달라지는거죠.
한국사람들이 개돼지라 그런게 아닙니다. 여기서 우리정부가 비판받아야 하는게 비머야 우리정부가 미국처럼 조져대면 장사접고 나갈수라도 있겠지만 현기는 아니거든요.

일반 국민들은 국산차중에 최선의 선택을 하는겁니다. 그런데 개돼지 안되려고 현기피하고 보니 남은게 르쌍쉐?
이걸가지고 개돼지라고 하는건 상당히 잘못된 발언이에요.
백년지기
18/12/24 13:11
수정 아이콘
현기차는 요즘 정신차리고 있습니다.
스팅어, G70, 코나, 벨N, 넥쏘, 펠리세이드..
제조업의 기본인 좋은 상품을 연달아 힛트하고 있구요 안전, 디자인, 성능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어요..
CS와 결함대응만 좀 더 신경썻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18/12/24 14:20
수정 아이콘
현대차가 수소전기차에 올인까지는 아니어도 엄청 투자하고 있던데, 과연 성공할지 궁금합니다.
경제기자나 자동차기자들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던데 말이죠. 전기차 다음엔 수소차로 갈거라고...
주식 반토막난 지금 사둬야하나... 흐흐흐
백년지기
18/12/24 14:29
수정 아이콘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수소충전소 인프라와 차량 가격 현실화가 관건이죠.
전기차는 여러 브랜드가 내연기관차 단종과 더불어 개발이 경쟁적으로 진행 중이라 차량 가격 및 배터리 효율기술이 급속도로 발전 중인데
수소전기차는 차종이 몇개 안되서.. 젤 문제는 미국에서 수소연료단가가 비싸다고..
곽철용
18/12/24 13:23
수정 아이콘
안사요 안사(돈없음)
18/12/24 13:46
수정 아이콘
못사요 못사 (돈 진짜 없음)
버티면나아지려나
18/12/24 14:17
수정 아이콘
샀는데 폐차 되었습니다 (투자실패로 돈 날림)
벙아니고진자야
18/12/25 08:26
수정 아이콘
현기는 국민들을 개돼지로 여기는 회사 크크
한두번 속나요?
18/12/26 09:02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현기의 GDI엔진 결함이 BMW화재보다 못한 이슈인가요? 미국이나 중국에서는 GDI로 난리인거 같은데 국내는 조용.. 물론
BMW도 응당 처벌받아야 하지만 현기에 대한 국가적인 쉴드는 좀 짚고 넘어가야할듯합니다. 요새 차 잘만들고 못만들고는 둘째치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432 [일반] 군대로 이해하는 미국의 간략한 현대사. [32] Farce9737 20/05/27 9737 36
86298 [일반] 현재 미국의 식료품 상황.... [16] 쿠키고기11888 20/05/18 11888 7
86177 [일반] 시대의 주인(Master Of Age) [11] 성상우6279 20/05/12 6279 1
86115 [일반] 제논의 역설과 볼츠만의 비탄 [14] 나는모른다10228 20/05/08 10228 4
84612 [일반] [도서] 우리집 서재 도서 목록 공유합니다 [14] aurelius15868 20/02/23 15868 17
84431 [일반] 생태학적 레닌주의를 시도할 때이다 [번역] [15] 아난6354 20/02/18 6354 3
84385 [일반] 조던 피터슨 근황 [26] Volha14452 20/02/13 14452 2
84159 [일반] 우한 폐렴에 대해 제가 보고 들은 것들. [49] 오클랜드에이스19352 20/01/27 19352 68
84020 [일반] 2020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 발표 [21] Rorschach11295 20/01/13 11295 5
84008 [일반] Elfenlied의 오프닝 테마 송 - LILIUM [6] 아난4988 20/01/12 4988 0
82266 [일반] 어정쩡한 신용카드가 단종됩니다. [14] style10180 19/08/19 10180 0
81884 [일반] [역사] 스페인 유대인들의 역사 [8] aurelius8398 19/07/19 8398 14
81700 [일반] [토막글] 트위터로 팔로우하기 좋은 사람들 [14] aurelius7958 19/07/05 7958 0
81531 [일반] [연재] 마나 소모량을 줄이자, 습관화 - 노력하기 위한 노력 (6) [29] 228731 19/06/19 8731 37
80215 [일반] (부분 번역) 여가부 방송 가이드라인에 대한 뉴욕 타임즈 기사 [21] OrBef10850 19/02/22 10850 3
79976 [일반] 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63] Danial11882 19/02/02 11882 28
79942 [일반] 예비타당성 조사가 SOC 최후의 보루인 이유 [120] 아유12738 19/01/30 12738 15
79719 [일반] 조지 워싱턴의 급박한 열흘 [32] OrBef12362 19/01/12 12362 67
79660 [일반] 33세. 음악감상. 40세 [6] MelanCholy6825 19/01/07 6825 1
79528 [일반] 심리학의 중대한 오류들 [25] 나는모른다13409 18/12/29 13409 0
79463 [일반] BMW 차량결함 은폐, 축소, 늑장리콜 [50] 사업드래군7645 18/12/24 7645 0
79284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6. 민자에 관한 오해와 오해 [41] 루트에리노7166 18/12/11 7166 23
78142 [일반] 수학적 아름다움은 물리학을 어떻게 이끌었는가? [103] cheme20112 18/09/06 20112 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