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23 22:08:40
Name 홍승식
Subject [일반] 신재생발전의 필수부품(?)인 ESS에서 올해만 16번의 화재가 났답니다.
170956.jpg

[단독] 삼척서 정밀안전진단 받은 ESS 화재 발생...올 들어 16번째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45544457171056100

22일에 삼척 태양광 ESS에서 화재가 났답니다.
올해 들어서 16번째 화재라네요.
처음에 나온 표에는 이번 화재는 빠져 있습니다.

ESS는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으로 화력발전 - 원자력, 석탄, LNG 포함 - 과 달리 꾸준한 발전이 불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치입니다.

개략적인 ESS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세요.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저장시스템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0335&docId=3409113&categoryId=60335

이 ESS에서 작년에는 1번의 화재가 났는데 올해는 무려 16번째 화재랍니다.

잇따른 ESS 화재에 산업부 '전면 가동 중지 권고' 강수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45034915170680100

그래서 산업부도 정밀안전점검을 통과하지 못한 모든 ESS 는 가동 중지를 권고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화재가 난 삼척 태양광 ESS는 9월과 11월 두번의 점검을 해서 가동 중지 권고 사업장에는 들어가지 않았답니다.
다만 LG화학에서는 11월 점검 후 가동중지를 권고했는데 사업장에서 따르지 않았다고 하네요.

문제는 이렇게 잦은 화재사고가 났지만 각 사고마다 다른 원인이라는 겁니다.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배터리 손상, 안전기준의 부재, 배터리 랙 과밀, 습도 등이 화재의 원인이라네요.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특정 배터리 제조사에 치우친 것도 아니구요.
전문가들도 ESS에 대한 정확한 안전기준을 아직 정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아마도 관련기술이 안정화되지 않은게 아닌가 싶어요.

탈핵을 하건 하지 않건 신재생 발전은 더 확대되어야 하니 안전기준이 빨리 정착되기를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irrorShield
18/12/23 22:14
수정 아이콘
아이고 세금 살살 녹는다
열역학제2법칙
18/12/23 22:18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짓던 건 마저 지었어야...
18/12/23 22:21
수정 아이콘
그 합숙 공청회로 짓던건 완성하기로 결론 나지 않았나요? 그리고 건설중으로 알고 있는데요.
18/12/23 22:22
수정 아이콘
탈원전은 최소한 신재생 기술이 안정화 된 이후에 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geofempires
18/12/23 22:27
수정 아이콘
탈원전을 하는 것 자체가 정신 나간 건데 이걸 국민들은 한참 뒤에나 알게 될 듯.
18/12/23 22:32
수정 아이콘
탈원전이 말이 탈원전이지 그냥 지금 짓는걸 좀 덜지으면서 하나하나 없애는 것에 불과하니, 그런 탈원전을 굳이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전혀 할 필요가 없거든요.
신재생 기술의 안정화도 그렇고, 원전 및 해체 관련 기술 등의 상황을 봐가면서 아주 나중에 되겠다 싶으면 급속히 줄이는게 차라리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급속히 줄여야 그게 '탈'이죠. 급속히 안줄일거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타마노코시
18/12/23 22:37
수정 아이콘
탈원전이 되는 것도 엄청 한참뒤죠..
탈원전의 선언은 초장기적 대책이예요..
닉네임좀정해줘여
18/12/23 23:14
수정 아이콘
초장기적인 정책인데 느닷없이 짓던 거 중단하고 제대로 되먹지도 않은 태양열 발전소 같은 거 짓다가 세금 수천억 날려먹었죠.
18/12/23 22:39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기술이 아니라 전력수급과 관련해서도, 향후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2017년에 수정한 전력수요전망이 틀리고 2015년의 기존 전망이 맞고 있거든요. 엄밀히 말하면 2015년 전망도 틀렸습니다. 그거보다 오히려 좀 많습니다.
2015년의 전망이 설령 나중가면 틀리더라도 2017년의 전망도 같이 틀릴수가 있습니다.
그게 당장 한 2025년까지는 사실 상관이 없습니다. 업계 분들이 강조하듯 웬만하면 문제가 안됩니다.
근데 이대로라면 그 이후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안생길수도 있고 생길수도 있으면 생기는 것에 대비를 해야합니다. 근데 2017년에 전망을 수정하면서 너무 이상하게 수요를 낮게 잡고 추이도 2025년 이후에 눕는걸로 만들었죠. 눕지 않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되고, 만약 눕지 않고 위로 살짝 들린다면 문제가 상당히 심각해집니다. 해결에 시간이 너무 걸립니다.
국내 자체적 문제, 북한 개발 등의 문제, 세계적 문제 등으로 수요가 전망보다 훨씬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없다고는 누구도 장담하지 못합니다.
18/12/23 22:49
수정 아이콘
만약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탈원전을 추진하지 않는것만 못하게 됩니다.
탈원전을 추진하지 않는다면 수급에 다소 문제가 생기더라도 폐쇄할건 스케쥴대로 그냥 폐쇄를 할 수 있으나, 추진을 하는데 문제가 생기면 폐쇄할걸 폐쇄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만약 그렇게 되면 안전과 관련해서는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이 됩니다.
안전을 추구하다가(탈원전) 안전을 오히려 놓치게 되는겁니다. 그것도 그냥 놓치는 정도가 아니라 가장 나쁜쪽으로 가게 되죠.

그러니 수요를 좀 높게 잡으면서 탈원전의 속도는 낮추는 것이 최선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해야 석탄화력을 대폭 줄일수가 있죠.
지금 하는대로라면 이것도 저것도 아니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18/12/23 22:53
수정 아이콘
계획 잡혀있던 중국 이외에 전세계적으로 신규원전은 말그대로 탈원전 하향 추세입니다. 그래서 아레바나 웨스팅하우스가 망해가는 이유이기도 하죠.
18/12/23 22:29
수정 아이콘
산업용은 리튬이온을 안쓰는 쪽으로 가는게 대세인데, 한국이 유독 늦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정 기업들을 밀어주던가 혹은 다른 이해관계때문일텐데, 이제 바꾼다고 했으니 바뀌겠죠.
iPhoneXX
18/12/23 22:41
수정 아이콘
ESS가 사실 배터리를 통칭하는건 아닌데 한국에서 유독 배터리로 통칭이 되는 현실입니다.
거기엔 글로벌 배터리 2사가 한국에 있기 때문일수도 있고...
지금 배터리 외 다른 ROI가 나는 비즈모델도 없는게 현실이겠죠.
MicroStation
18/12/23 22:32
수정 아이콘
탈원전하고 별개로 ESS는 지금 단계에서 계속 운용하면서 보완기술 개발이 계속 되야될 산업이죠.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분야중 하나 인데요..
iPhoneXX
18/12/23 22:40
수정 아이콘
태양광 발전에 대해서도 비슷합니다. 여기도 엄청 화재 많이 나는데 뉴스 별로 안나오더군요.
일단 DC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이 많이 없습니다.
다들 AC는 많이 해봤지만 DC의 무서움을 아시는 분들이 많이 없죠.

그리고 지금 태양광이든 ESS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도 더 올려야 됩니다.
싸게 어떻게 지어서 수익 볼려는 풍조가 강하다 보니 이런 문제도 더 생기는거 같네요.
아마 제대로 배선이나 공사 들어가게 되면 태양광 발전도 다시 한번 생각해야 될수도 있을꺼 같네요.
제대로 된 태풍 한번 오면 날라다닐 태양광 패널이 얼마나 많은지 상상도 못하실꺼라고 생각합니다.
retrieval
18/12/23 22:57
수정 아이콘
신재생에너지쪽이 신적폐죠. 보은성 인사 넘치는데요
18/12/23 23:30
수정 아이콘
회사에 ESS 엄청 많은데... 옥상에는 태양광패널도 많구요.
무섭네요..
superiordd
18/12/24 02:21
수정 아이콘
장기 정책의 관점에서 초기 비싼 기술을 정부가 지원해주는 경우는 역사적으로 많습니다. 다만 ESS는 자체적인 결함보다 운영의 문제에 가깝습니다. ESS 운영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게 전문성이 필요한데..그냥 막 굴려서 그런 부분이 있다고 업계 관계자에게 들었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8/12/24 07:52
수정 아이콘
연료전지 가즈아~~
오오와다나나
18/12/24 08:52
수정 아이콘
신재생에너지가 발화,화재 에너지였나요...
decision maker
18/12/24 12:16
수정 아이콘
ESS는 신재생 에너지랑 사실상 기술적으로 상관없는데 ESS 터졌다고 신재생 에너지가 싸잡아서 욕먹는게 조금 이해는 안되네요.
신재생에너지에 의구심이 있든말든 ESS는 결국 미래에 필요한 산업일텐데 좀더 홍보가 필요할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562 [일반] 2019년에 펼쳐질 소소한 이야기들. 그리고 복 많이들 받으세요 :) [9] 은하관제7845 19/01/01 7845 7
79561 [일반] 서울 대형병원에서 정신과 의사를 찔러죽인 환자 [29] 치느14458 19/01/01 14458 0
79559 [일반] 2번째 통풍발작후기 [16] 읍읍11605 19/01/01 11605 0
79558 [일반] 올해의 목표... 다들 얼마나 이루어지셨나요? [29] Goodspeed7025 18/12/31 7025 4
79557 [일반] 운영위원회는 왜 열었는지 모르겠네요 [72] Jun91113250 18/12/31 13250 15
79556 [일반] 민주당 vs 자한당 역대 여성부 장관들의 출신 해부 분석. [128] 마재12619 18/12/31 12619 19
79555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 [16] 성상우9052 18/12/31 9052 4
79554 [일반] 2018 히어로 영화 및 작품들 소감 [14] 잠이온다7459 18/12/31 7459 1
79552 [일반] 무심코 뽑아본 2018년에 즐겨 들은 음악 [5] KOZE5705 18/12/31 5705 4
79551 [일반] 과연 성차별문제 해결을 위해 중년층이 대가를 치뤄야 할까? [85] 유소필위10008 18/12/31 10008 1
79549 [일반] 올해의 영화는 무엇인가요? [64] 작고슬픈나무8221 18/12/31 8221 1
79548 [일반] 2019년 개통 예정인 수도권 전철역 [24] 光海10713 18/12/31 10713 6
79547 비밀글입니다 차오루17143 18/12/31 17143 32
79546 [일반] 일본이 레이더 갈등 홍보영상을 영문판으로 제작해서 유튜브에 홍보했습니다. [48] retrieval11023 18/12/31 11023 4
79545 [일반] 미스터션샤인-동경에 대하여 [16] Asterflos7022 18/12/31 7022 1
79544 [일반] 표창원 의원에게 문자를 보냈고, 답장을 받았습니다. [313] 마재20200 18/12/31 20200 53
79543 [일반] (원글)신재민 전 사무관이 기재부를 그만둔 이유 [170] 내일은해가뜬다22731 18/12/31 22731 36
79542 [일반] 레이더 사건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가 나왔습니다. [10] 츠라빈스카야8023 18/12/31 8023 0
79541 [일반] 내일부터 마트/슈퍼에서 비닐봉지가 전면 금지랍니다. [53] 홍승식11742 18/12/31 11742 1
79538 [일반] 일본에서 요양원 케어소홀로 사건이 있었습니다. [22] 짐승먹이9041 18/12/31 9041 1
79537 [일반] 운수 좋은 해 [61] 39년모솔탈출7875 18/12/31 7875 23
79535 [일반] 군대인가 학원인가…병사는 병사 다워야 정상 [220] 홍승식21612 18/12/30 21612 26
79534 [일반] 물증 없이 진술만으로 성폭력 유죄 선고 [169] 라임트레비20317 18/12/30 20317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