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23 17:44:27
Name minyuhee
Subject [일반] 나의 코인투자기(코인 아님)
노력 없이 무엇인가를 불리기 위한 방법은 투자이다.
명예를 불리고 싶은 시민들은 스스로의 명예를 이용하여 코인을 구매한다. 그로써 발행인은 힘을 얻는다.
코인의 가치는 발행인이 명예를 얻으면 상승하고, 그 반대의 경우 하락하게 된다.
많은 이들이 그러하듯이, 나도 노력없이 명예를 가질 것을 기대하며 거래소를 찾았다.

최초로 내가 투자한 코인은 인제코인이었다. 충청에 견고한 입지를 가진 인제코인과 호남의 DJ 코인이 결합하면
전국을 좌우할 수 있으리라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제코인은 무현코인에게 패배했고, 인제코인은 탈퇴를 선언했다.
인제코인을 손절한 나는, 무현코인을 관망하고 있었다.
무현코인과 경쟁한 것은 몽준코인이었는데 나는 무현코인과 몽준코인에 반반식을 투자하고, 회창코인과의 결전을
기대했다.
결전의 결과 무현코인은 승리하고 우상향, 몽준코인은 몽니를 부리고 떡락. 나는 몽존코인을 손절하였고
또한 무현코인은 상향이 있었으나 하향세가 강해지고 결국은 손절하게 된다.
다음은 동영코인과 명박코인의 결전이었다. 동영코인과 명박코인이 떡락할 것을 예상한 나는 회창코인에 최소를
투자하고 바로 손절하는 트릭을 사용하기로 마음먹고, 실행한다.
예상대로 동영코인과 명박코인이 떡락한 가운데 나는 학규코인을 적당히 매수한다. 그러나 학규코인이 새로이 등장한
재인코인에 밀려 이번에도 손절을 맞이하고, 재인코인을 매수하게 되었다. 재인코인이 근혜코인에게 패배하자
이번에는 근혜코인에 소액매수를 시도하지만, 근혜코인은 빠르게 망하기 시작했고, 나는 피해를 최소하하기 위해 빠른 손절을
하게 되었다.
다음은 부활한 재인코인, 그리고 경쟁자 철수코인이었다. 재인코인은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그에 비등할
정도의 철수코인을 매수하였다.
근혜코인이 산하의 무성코인과 마찰이 발생, 재인코인과 철수코인은 함께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나는 최초로
익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 와중에 세계 코인러들이 흥분하는 축제가 시작되었다. 러리코인, 더스코인, 럼프코인의 삼종코인이
세계를 무대로 상장된 것이다. 기술과 통신의 발달로 일부특정코인은 지역인들이 아닌 타지역의 세계인들도
투자가 가능해졌다.  
세계의 코인러들이 투자의 열기에 빠져든 가운데 일개 코인러만이 아닌 세계의 지도적인 코인들도 축제를 맞이하여 전략을 세운다.
독일의 르켈코인과 일본의 아베코인은 러리코인과 제휴했으며, 러시아의 푸틴코인과 필리핀의 르테코인은 럼프코인에 편의를
제공하였다. 더스코인은 영국의 코빈코인, 각지의 노동단체와 녹색연합, 각지의 시민들이 동맹을 이루었다.
나는 이 시점에서 럼프코인을 상당수 매수하였고, 또한 프랑스의 마이너코인 르펜코인의 가치에 주목하고 르펜코인을 소액매수한다.
러리코인은 더스코인을 흡수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하락이 있었고, 기축코인 경쟁에서 럼프코인이 승리하면서 떡락을 맞이한다.
중국의 진핑코인을 대량매수했던 한 석학은 진핑코인의 떡락으로 탄식하며 손절, 브라질의 룰라코인, 베네수엘라의 베스코인 등에
투자했던 국내의 신념있는 자들도 떡락을 맛볼 때였다.

근혜코인의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기축코인지위를 박탈당하게 되자, 재인코인이 급상승하기 시작했다. 서둘러 재인코인을 구매하여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재인코인의 경쟁자로 철수코인이 떡상할 기미가 보였고, 재인코인의 반절 가량을 매도하고
철수코인으로 일부 옮겼다. 그리고 철수코인이 자폭하면서 나는 또 손절하게 되었지만 재인코인의 상승으로 손해를 보충하였다.
재인코인의 상승세가 지속되는 와중에, 나는 대단히 과감한 선택을 하게 된다.
재인코인의 반수를 익절하고, 럼프코인를 추가매수한 것이다. 그것도 2년간 매도금지라는 옵션을 동원한 대량구매였다.
이것으로 나는 내가 거주하는 소규모 지역에서 수위권의 럼프코인 보유자가 되었다.
지금까지 나는 다양하게 손절을 경험했으나, 재빠른 매도로 떡락하기전 손절할 수 있었지만 이번은 강제존버하게 되었다.
럼프코인이 떡락한다면 나는 복구하기 어려울 정도의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현재는 재인코인이 하향세를 보였고, 프랑스의 기축코인 경쟁에서 르펜코인을 압도했던 크롱코인이 반발을 맞으면서
르펜코인의 상승여부를 주목하고 있는 중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음냐리
18/12/23 17:52
수정 아이콘
혹시 르펜코인 떡상하면 이득이 있나요? 그럼 나도 투자해보게요.
minyuhee
18/12/23 18:00
수정 아이콘
나의 가치관으로, 직접 선택한 정치가 프랑스를 장악하게 되었다는 명예를 얻게 되겠죠.
SCP재단
18/12/23 17:54
수정 아이콘
럼프코인 이러다 기축코인에서도 떨려나는거 아닌지..
18/12/23 18:00
수정 아이콘
럼프코인 존버!!
알레그리
18/12/23 18:02
수정 아이콘
러리코인 재상장 가능합니까?
곤살로문과인
18/12/23 18:57
수정 아이콘
당신의 러리코인 버니코인으로 대체되었다
And I also 럼프좋아
아유아유
18/12/23 22:53
수정 아이콘
외국 코인은 솔직히 잘 모르겠고..극내 코인중에선 투자할 코인이 안보이는게 문제이긴 합니다.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599 [일반] 나도 그런 순수함이 있었던 때가 있었지 [8] chilling5630 19/01/03 5630 12
79598 [일반] 로아 디스트로이어 사태로 생각해본 최근의 인터넷 분위기 [53] 킬리언 머피9611 19/01/03 9611 0
79597 [일반] 신재민 전 사무관 자살암시 후 잠적 - 이후 모텔에서 발견. 무사합니다. [329] 츠라빈스카야31653 19/01/03 31653 2
79596 [일반] 어떤 공무원 사회 [34] 9693 19/01/03 9693 19
79595 [일반] 여러분께서 가장 즐겨보는 주간지/매체는 무엇인가요? [34] aurelius7608 19/01/03 7608 9
79594 [일반] 이순자 "내 남편 전두환은 민주주의 아버지" [208] 모모스201318950 19/01/02 18950 3
79592 [일반] 미국판 복면가왕 1화 방영 임박 [21] 타카이11458 19/01/02 11458 0
79591 [일반] 최근에 들린 맛집들(부제 '좋아하지 않은 메뉴에서 인생의 맛을 찾다', 데이터주의) [22] 치열하게10444 19/01/02 10444 7
79590 [일반] 저커버그 후원 연구팀 "원숭이 뇌에 칩 심어 행동 제어 성공" [47] 타카이13482 19/01/02 13482 0
79589 [일반] [잡상] 외교관에게 허용된 국내정치간섭은 어디까지인가? [12] aurelius8306 19/01/02 8306 9
79588 [일반] 보험에 대하여 Araboza -1- [50] QuickSohee11457 19/01/02 11457 4
79582 [일반] 평범한 30대 여자사람의 성별 논쟁에 대한 생각 [328] 희랑20712 19/01/02 20712 134
79581 [일반] 김어준의 뉴스공장, 임요환 인터뷰 [57] 어강됴리14187 19/01/02 14187 0
79580 [일반] 인스타그램 마케팅 장단점 [7] RnR11545 19/01/02 11545 2
79579 [일반] 이 정권은 사회주의 정권인가요? [223] 고통은없나20346 19/01/02 20346 29
79578 [일반] 살찌는 계절, 겨울 (Feat. 에어프라이어) [50] 비싼치킨10563 19/01/02 10563 15
79577 [일반] 신재민 건 관련 기재부 공식 반박 [113] aurelius17538 19/01/02 17538 33
79576 [일반] [뉴스]“30년 함께한 숙련기술자 내보내… 정부 눈귀 있는지 묻고 싶어” [87] 동굴곰14969 19/01/02 14969 16
79574 [일반] 하태경 “새해는 ‘워마드’ 종말의 해…초전박살 내겠다” [118] 삭제됨16487 19/01/02 16487 48
79573 [일반] 애플워치 4로 알아보는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딜레마 [31] 후상13465 19/01/02 13465 33
79572 [일반] 당나라 태종이 교묘하게 역사를 왜곡하다 [3] 신불해11441 19/01/02 11441 25
79570 [일반] 기재부에서 신재민 전 사무관을 공무상 비밀누설죄로 고발. [144] 19086 19/01/01 19086 12
79569 [일반] 헐리우드 남자들의 몸만들기 - 다이어트의 어려움 [12] 사진첩9728 19/01/01 972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