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7 13:18:2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수정됨)

weimar_carnival_horst_naumann_1929.jpg

"Weimarer Fasching", Horst Naumann 1928-1929


1929년 작품입니다.

제목은 "바이마르의 축체"

나치문양을 한 사람을 묘사한 최초의 그림 중 하나라고 합니다.

당시 나치는 요즘 우리나라 민중당만큼이나 존재감이 없었던 듣보잡 마이너 그룹이었는데

이 그림의 통찰력은 정말 대단하네요. 


이 그림에는 1차세계대전으로 죽은 사람들의 묘비

힌덴부르크 대통령

부패한 은행가들

신음하는 노동자들

발가벗은 채 춤을 추는 퇴폐적인 카바레 무용수 

무기력한 성직자 등을 그려넣고 있는데

한 가운데에는 스와스티카 문양을 한 군인이 무섭게 쳐다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는 빨간 자켓을 입고 있습니다.

그는 빨간 자켓에 군인 철모.... 그는 공산주의자인가 파시스트인가.... 

실제로 공산당 활동 하던 사람 중 나치로 180도 전향해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이 그림을 그린 저자는 당시 예술가들이 대게 그러했듯이 공산주의자였고, 

극우단체를 극혐했었는데...


나치가 갑자기 부상하게 되는 상황을 아주 우려스럽게 바라본 거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소름끼치는 예언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템플러
18/12/17 13:35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참 히틀러라는 개인이 없었을지라도 그 양상은 달랐을뿐 파시즘의 도래는 막을수없었을것같습니다.
Zoya Yaschenko
18/12/17 13:44
수정 아이콘
하필 또 이탈리아 옆이 독-오 였으니까요..
18/12/17 13:48
수정 아이콘
근데 또 프랑코 파시즘 처럼 국내 독재에만 열을 올린 케이스도 있으니 지도자가 히틀러가 아니었다면 번지는 양상이 달랐을 가능성은 높을 거 같습니다.
네로울프
18/12/17 14:05
수정 아이콘
스와스티카라고 하기 보단 하켄 크로이츠라고 하는 게 정확하겠죠.
18/12/17 14:48
수정 아이콘
NAZI가 거창한 명칭의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이었으니 민족주의에 혹한 공산주의자나 사회주의자가 많이 넘어갔겠지요.
처음과마지막
18/12/17 19:13
수정 아이콘
다큐보니가요 히틀러가 젊은시절에 화가가 되고 싶어했으나 미술학교에 탈락하더군요
교장이 유대인이였다는 썰이 있구요
미술학교에가고 화가로서 평생 살아갔다면 역사가 달라졌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852 [일반] 나도 모르게 물이 엎질러지는 시대 [11] 잰지흔6183 19/01/24 6183 0
79831 [일반]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개설후기 [128] 읍읍12465 19/01/23 12465 0
79790 [일반] [역사] 비운의 소련 외교관 막심 리트비노프 [17] aurelius8424 19/01/18 8424 30
79730 [일반] 보험에 대하여 Araboza -3- [20] QuickSohee9091 19/01/13 9091 13
79708 [일반] 제로페이에 관하여 [45] 철님9829 19/01/11 9829 11
79662 [일반] 오늘 국민은행 노조가 파업을 진행합니다. [70] 及時雨14596 19/01/08 14596 0
79579 [일반] 이 정권은 사회주의 정권인가요? [223] 고통은없나19047 19/01/02 19047 29
79568 [일반] 십진법을 쓰는 인간들을 구경하러 온 이진법 세계 인간의 충고 [55] 2213014 19/01/01 13014 52
79445 [일반] 짧은 글. [9] PROPOSITION5021 18/12/23 5021 21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9038 18/12/17 9038 2
79351 [일반] [도서추천] 근래 구매한 책들 목록입니다. [8] aurelius6537 18/12/16 6537 7
79338 [일반]  [뉴스 모음] No.220. 악마라는 말도 아깝다 외 [59] The xian13790 18/12/15 13790 27
79322 [일반] 국가부도의 날: 정부와 자본에 속지 말라고? 정작 속이는 건 이 영화다! [64] handmade13143 18/12/13 13143 20
79104 [일반] [알쓸신잡] 레닌이 독일로부터 지원받은 자금 액수. [27] aurelius10772 18/11/30 10772 3
79103 [일반] 가족의 재발견 – 아버지는 오늘도 성장하신다. [9] RushHour7191 18/11/30 7191 49
79102 [일반] 지금으로부터 900년 전, 중국 송나라의 수도 개봉의 모습들 [45] 신불해18654 18/11/30 18654 37
79096 [일반] '파이세대' 들어보셨나요? [75] chilling12487 18/11/29 12487 17
78901 [일반] 제가 좋아했던 대전 음식점들 [108] 나플라13848 18/11/17 13848 13
78654 [일반] 경기가 문제라는데 왜 소비는 증가할까라는 기본적 의문 [162] 곰주15363 18/10/26 15363 38
78574 [일반] [펌][혐]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담당의사의 글 [117] 이혜리16993 18/10/19 16993 24
78477 [일반] 워렌버핏 그 위대한 선구자.... [21] noname1110399 18/10/09 10399 6
78446 [일반] 편안한 토요일 [28] 영혼5971 18/10/06 5971 11
78436 [일반] 혼자왔어염 [66] 현직백수9763 18/10/05 9763 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