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4 09:31:54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해외뉴스] 앙겔라 메르켈의 후계자가 결정되었습니다. (수정됨)

신임 CDU 당수로 안네그레트 크람프 카렌바우어가 선출되었습니다.

부유한 로펌 출신 맞수를 상대로 당내 경선에서 가까스로 승리했습니다.

친메르켈파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는데, 안네그레트 본인이 메르켈의 측근이기 때문입니다. 


그에 대해 잠깐 살펴보죠. 


 Annegret Kramp-Karrenbauerì ëí ì´ë¯¸ì§ ê²ìê²°ê³¼


그녀는 현재 만 56세이고 독실한 가톨릭 신자입니다.

자르란트 출신으로, 이과출신인 메르켈과 달리 법과 정치학을 전공한 전통 정치인입니다. 

고등학교 때부터 CDU 청소년 당원으로 활동을 했으니, 평생 직업정치인으로 살아온 베테랑입니다.


정치노선은 중도


사회문화적으로는 보수적이고, 경제적으로는 진보적인 편이라고 합니다.

엄격한 이민정책에 찬성하며, 동성결혼은 반대합니다. 

메르켈의 난민정책에는 찬성했으나 보다 엄격한 집행방식을 주장합니다.

가령 신원확인을 철저히 하고, 신원이 확인되지 않으면 바로 추방하고 영구입국금지를 하는 방식으로 말이죠. 

경제적으로는 최저임금 보장, 고소득자 증세와 같은 정책을 지지하며

기업과 정치에서의 여성할당제 증가를 찬성합니다. 

한편 독일의 최대 인프라 프로젝트 중 하나인 '노르드라인 2'(러시아로부터 가스수입을 두배로 증가시키는)에 대해서는 비판적입니다. 

이건 경제가 아니라 정치의 문제라고 말하면서 말이죠. 

따라서 그녀가 이끄는 독일은 러시아에 대해 보다 강경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한 칼럼을 읽어보니, 그는 [프로이센] 출신 [개신교]도 메르켈과 달리 [자르란트(Saarland)] 출신 [가톨릭]이어서

보다 유연하고 철저히 [유럽적인] 노선을 따를 거 같다는 기대감도 있더군요. 

독일에서는 아직도 프로이센 출신이니 어디 출신이니 하는 지역감정이 있는 모양입니다.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AKK)는 한편 CDU 당 총서기로 85년생의 젊은 남자를 임명했는데, 그의 이력 또한 특이하더군요.

그의 이름은 파울 지미악(Paul Ziemiak)으로 폴란드 출신입니다. 88년 가족이 서독으로 망명했는데, 

ê´ë ¨ ì´ë¯¸ì§

그는 여전히 폴란드어를 완벽히 구사한답니다. 또한 역시 독실한 가톨릭교도로 사회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스탠스이고요.

다만 젊고 열정적이어서, 늙어가는 당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주이기도 합니다. 


메르켈이 은퇴하고, CDU가 총선에서 다시 승리하면 자연스레 차기 총리는 그녀가 될텐데,

이제 이분이 독일의 새로운 얼굴이 되겠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2/14 09:34
수정 아이콘
독일애들은 총리는 원래 여자가 하는 일인줄 안다면서요?
18/12/14 09:35
수정 아이콘
미국이든 유럽이든 지방에 따라 이념 차이가 있는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죠
한국만 해도 뭐...
예니치카
18/12/14 09:41
수정 아이콘
가톨릭이면 난민이나 경제정책은 진보적일 수 있어도 결혼이나 성 문화에 대해서는 상당히 보수적일 것 같은데....본문에도 나와있네요. 이것도 몬가...몬가 스노우볼이 굴러갈 것 같은....
영원한초보
18/12/14 09:46
수정 아이콘
당총서기가 이중국적자라니 놀랍네요
총서기가 정확히 뭔지 모르겠으나
일본 자민당 사무총장을 한국인이 한다면...
aurelius
18/12/14 09:49
수정 아이콘
정정합니다. 다시 찾아보니 국적은 독일 단일 국적이네요
18/12/14 10:37
수정 아이콘
사회 문화적으로 우경화는 진행되긴 하겠네요.
중도 보수가 잡으면 그래도 나으려나?
18/12/14 11:57
수정 아이콘
메르켈들이랑 반대네요.

메르켈은 사회문화적 진보 경제적으로는 보수정책이었는데..

근데 친메르켈이라니 그건 또 특이하네요
그린우드
18/12/14 12:33
수정 아이콘
하나의 국가로 통일된게 200년도 안된 나라니까요. 거기에 심지어 또 반쪽 났다가 통일했고.
Lord Be Goja
18/12/14 12:59
수정 아이콘
심지어 그 통일을 주도한 프로이센은 지금 남의 땅.
됍늅이
18/12/14 18:27
수정 아이콘
아직 통일 안 된 남독일이 있죠. 미영프러중 허가 받아야 되는...
스카피
18/12/14 12:37
수정 아이콘
경제적으로 진보적인 편이면 사민당의 지지율 회복은 요원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367 [일반] (스압, 펌)한국으로 돌아온 이유 : 영어의 한계 [88] adwq2216749 18/12/17 16749 15
79366 [일반] "소년원 들어가 봤자 6개월" 인천 중학생 추락사 가해자들 반성 안해 [132] TAEYEON15086 18/12/17 15086 11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9711 18/12/17 9711 2
79364 [일반] 취약 계층의 보호를 위한 역차별 [41] 홍승식10047 18/12/17 10047 1
79363 [일반] Burn Out [49] 치키타10708 18/12/17 10708 30
79361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18] jjohny=쿠마7587 18/12/17 7587 9
79360 [일반] 지난 날을 반성합니다. [18] 삭제됨10290 18/12/16 10290 9
79359 [일반] SKY캐슬 실재의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나. [90] 펠릭스30세(무직)17777 18/12/16 17777 14
79358 [일반] [독일 드라마] 1929 바빌론 베를린 [2] aurelius10663 18/12/16 10663 4
79357 [일반] 입시 스릴러 드라마 SKY캐슬 추천글 [74] 삭제됨10222 18/12/16 10222 4
79356 [일반] 저탄고지의 위험성을 파헤친 괜찮은 방송이 있었군요. [113] 미트파게티19942 18/12/16 19942 11
79355 [일반] 2018 올해의 영화 BEST 10 [16] 송파사랑8631 18/12/16 8631 4
79354 [일반] 전자·조선·타이어·태양광 '업종불문'…동시다발 희망퇴직 시작됐다 [164] 삭제됨15635 18/12/16 15635 14
79353 [일반] 2018 올해의 책들 [12] KID A8217 18/12/16 8217 17
79352 [일반] 소득분위별 성취도에 대한 잡상 [112] 절름발이이리13386 18/12/16 13386 6
79351 [일반] [도서추천] 근래 구매한 책들 목록입니다. [8] aurelius7304 18/12/16 7304 7
79350 [일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양성평등 승진인사 홍보 트윗 [95] 모데나11025 18/12/16 11025 12
79349 [일반] 랜섬웨어에 감염되었습니다 [25] 갈길이멀다9113 18/12/16 9113 0
79348 [일반] pgr21에 굉장히 실망한 한 주 였습니다. [113] 로각좁19628 18/12/16 19628 27
79347 [일반] (삼국지) 조위의 인사제도 (9) 위나라의 종말 -끝- [35] 글곰10811 18/12/16 10811 39
79346 [일반] 보스 슬립버드 Bose Sleebuds 2차 리뷰. 단점 수정할것 몇가지. [2] 랜슬롯8126 18/12/16 8126 5
79345 [일반] [좋은 음악 셋]사운드클라우드 특집 [5] Roger6976 18/12/16 6976 2
79344 [일반] ??? 가 올랐네요 [33] Gloomy17878 18/12/15 1787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