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04 19:31:24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File #1 lib_kor.PNG (382.7 KB), Download : 60
Link #1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2901711?od=T31&po=0&category=&groupCd=allreview
Subject [일반] 국내 공공/대학 도서관 장서 순위 (수정됨)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2901711?od=T31&po=0&category=&groupCd=allreview
2017년 기준, 국립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등)은 통계제외

클리앙의 한 회원분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1000여개의 공공/대학 도서관 장서 순위를 뽑으셨습니다.

장서가 제일 많은 공공도서관은 대전의 한밭도서관입니다. 2위보다 10만권이 더 많네요. 비도서 자료수도 압도적이고 좌석수도 제일 많군요.
국외 도서 한정으로 보면 서울 남산 도서관이 압도적입니다.
국내-국외 도서 밸런스는 부산시립시민도서관이 제일 좋은 거 같군요.
장서 50만권이상의 초대형 공공도서관은 의외로(?) 서울엔 없군요. 국립중앙도서관 때문일수도 있으나.. 여긴 관외대출이 안되죠.
이용성 면에서는 성남시중앙도서관이 개관시간 압도적 1위, 좌석수 2위라 가장 이용이 편한 도서관으로 보입니다. 그래선지 회원수도 가장 많네요

아래 전체 리스트에서 나머지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순위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사는 동네의 도서관은 100위권 밖...
모두가 예상했듯, 대학 도서관은 서울대가 모든 부문에서 1위를 차지 했네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는 각 도서관별로 보다 자세한 정보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체리스트: https://drive.google.com/file/d/1BW0-4l5t_m6RcJF4_nzJg0AksTFb7q1_/view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s://www.libsta.go.k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나가다...
18/12/04 19:35
수정 아이콘
경기평생교육학습관이 참 크다고 생각은 했는데, 역시 상당한 규모였군요.
18/12/04 19:37
수정 아이콘
창원도서관이 저기 끼일 정도로 크구나
제 기준서 중소형 도서관인뎅...
그런게중요한가
18/12/04 19:42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중도 애매하다고 생각했는데
솔로14년차
18/12/04 19:39
수정 아이콘
부산진구 몰빵이네.
마그너스
18/12/04 19:39
수정 아이콘
제가 있는 학교 도서관 소장서적수가 꽤 되네요 학부 전공 분야책은 심각하다 싶을 정도였는데 의외...
풍각쟁이
18/12/04 19:47
수정 아이콘
들은 이야기로 예전에 도서관 평점에 장서수가 있다보니 소위 썩은책이라 불리는(판차가 지난 도서들이나 오래된 도서들) 책들이 기획수서로 대량으로 납품되었더랍니다. 이 책들은 구제옷처럼 무게단위로 판매되는책들인데 가격이 싼 책들로 예산을 소모하다보니 정작 필요한 희망도서 예산이 충분치 않게 되는 부작용이 생겼죠. 실제로 도서관 서가에 가 보면 이상한 책들이 많이 보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18/12/04 20: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래된 장서가 많은 이유는 장서수와 별개로 폐기가 힘든게 주 이유입니다.
법적으로는 7%까지 가능한데 실제로는 어느 정도 규모만 되도 폐기하면 감사나옵니다.
장서수 때문이라면 기증으로 들어오는 그 많은 오래된 장서 및 중복 자료를 처치하지 못 해 국중으로 재기증 할 일은 없겠죠.
강미나
18/12/04 19:53
수정 아이콘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은 중소규모 수준이라고 생각했는데 도립 과천도서관보다 크네요. 10년 동안 열심히 확장했나보네요.
18/12/06 01:25
수정 아이콘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은 쌩뚱맞게 놀라운 책들이 가끔식 보이더라구요.
심심할때 가서 이거저거 본 기억이 있습니다.
18/12/04 20: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밭의 비도서가 많은 이유는 거기에 시각장애인용 음성녹음 자료가 압도적으로 많아서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시청각 자료실도 잘 되어 있구요.
물론 크기 자체도 상당하지만요.
홍승식
18/12/04 20:05
수정 아이콘
우와.. 이걸 다 정리하시다니 정말 대단하시네요.
순위 높은 지자체에서는 이걸로 홍보도 좀 하고 그래야 겠어요.
18/12/04 20:05
수정 아이콘
성남시 우승!!! 성남중앙도서관 서울도서관 2개만 다니는데 다니는 2곳이 규모가 큰 도서관이었군요.
18/12/04 20:07
수정 아이콘
국회도서관, 국립도서관, 서울대중앙도서관이 우리나라 3대 도서관이라고 어렸을 때 들었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네요.
다크템플러
18/12/04 20: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마 맞지 않을까요. 원 링크보니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법원도서관/국립세종도서관/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모두 '국립도서관'이고 '공공도서관'의 범주에 속하지 않아요. 요 통계는 시민들이 대출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기준입니다.' 라고 한걸보면 국립&국회도서관은 기준이 달라서 못들어간거고, 비교한다면 저 두곳에 엔간한 모든책들 다 들어가는걸 생각해보면.. 서울대는 일단 한밭도서관의 5배규모.....
찾아보니 국립도서관은 240만, 국회도서관은 단행본 250만 +학위논문 160만 등으로 450만권정도네요
영혼의공원
18/12/04 20:12
수정 아이콘
한밭 도서관이 제일 많네요 동네 도서관일줄 알았는데...
딸하고 한번 가봐야 겠네요
18/12/04 20:15
수정 아이콘
규모도 상당하고 시청각 자료실이 괜찮게 되어 있으며 기획전시도 가끔하고 어린이, 청소년 프로그램도 진행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녀분과 함께하기에 괜찮을거 같네요.
영혼의공원
18/12/04 20:22
수정 아이콘
학교 다닐때 그냥 시험공부? 하러만 다녔었는데 아이에게 좋은 경험 될거 같습니다.
홍승식
18/12/04 20:17
수정 아이콘
인구수대비로 잠시 찾아보니 경산시가 인구 26만인데 장서수가 상당히 많네요.
프리더
18/12/04 20:2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위치가 너무 구석에 있네요. 경산중심가에서 차타고 30분거리니...
18/12/04 20:26
수정 아이콘
할머니댁 바로 옆 한밭도서관이 이걸??
어렸을 때 이후 안 가봤는데 다음에 기회되면 가봐야겠네요.
말다했죠
18/12/04 20:32
수정 아이콘
집 근처였던 성남중앙도서관이랑 학교 도서관 말고 다른 데는 갈 일이 없어서 좀 큰 도서관은 그래도 이 정도는 되는 줄 알았는데 서울 공립 도서관 중 장서량 많다는 데 가보고 아니 이거밖에 책이 없어?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독수리가아니라닭
18/12/04 20:47
수정 아이콘
한밭도서관은 위치가 조금만 더 좋으면 좋을텐데
18/12/04 20: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경북대는 10년전에 300만 넘고 폐기 10만권할때도 그러더니 신간소설 라노베 신청 다 막은후에 장서가 별로 안늘었네요 크크크
전체 3위는 굳건하게 지키고 있구만유...했는데 4위네요. (중앙,국회,서울대 다음..)

경북대에서 몇년 구르니 구수산 도서관이 눈에 안차는게 당연...
프리더
18/12/04 23:34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책방출할때 피네간의 경야와 한길그레이트북스 겟!!
4막2장
18/12/04 21:12
수정 아이콘
대구에 있는 도서관들이 꽤 많네요~
설탕가루인형형
18/12/04 21:21
수정 아이콘
부산시립시민도서관 개관년도 무엇?
순종이 만들었나...
몬스터피자
18/12/04 21:23
수정 아이콘
저 표를 보니 급 PSAT 풀던 기억이.. 하아..
한글날
18/12/04 21:40
수정 아이콘
책의 도시는 무슨 10위 언저리구만....
18/12/04 22:36
수정 아이콘
개관년도 1901년 후덜덜
BetterThanYesterday
18/12/04 22:37
수정 아이콘
천당 밑에 분당.....

성남시는 여러모로 살기 좋은 곳이네요,,,
ChojjAReacH
18/12/04 23:42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흐흐
나스이즈라잌
18/12/05 00:30
수정 아이콘
대학교별 순위를보면서 우리나라에 이렇게 대학이 많구나를 세삼 다시 느끼네요...
육돌이
18/12/05 00:53
수정 아이콘
분당좋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948 [정치] 서울대 의대 교수들, 박근혜 정부 때는 "공공의대 연간 7백 명 운용" 제안 [135] 파어15998 20/09/03 15998 0
87926 [정치] 보건복지부는 왜 공공의대를 고집하는가? [226] 러브어clock20606 20/09/01 20606 0
87899 [일반] [공지] 공공의대 이슈 관련글 갯수 제한 및 댓글화 정책 공지 [27] 오호8259 20/08/31 8259 7
87886 [정치]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안으로 보는 공공의대 팩트체크 [50] 24cm12643 20/08/31 12643 0
87882 [정치] 공공의대설립추진은 그렇게 갑작스러운 정책인걸까? [219] 러브어clock18258 20/08/30 18258 0
87833 [일반] 공공병원 의사로서... 정부를 못믿는 이유(feat. 공공병원 현실) [122] 바위꿈틀70128 20/08/28 70128 54
87779 [정치] 공공의료원의 추억. 우리는 이용할 준비가 되어있을까? [95] ZzZz13198 20/08/25 13198 0
87777 [정치] 공공의대 학생 선발은 시도지사 추천으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294] 김연아21728 20/08/24 21728 0
87685 [정치] 공공의사인력의 의무복무 해결법 [66] 그랜즈레미디11890 20/08/17 11890 0
87553 [정치]  공공임대주택이 성공하려면 세대간 차별적으로 지어야한다 [70] 부자손11684 20/08/06 11684 0
87497 [정치] 공공의사인력의 의무복무와 소림18동인 [113] 그랜즈레미디8903 20/08/03 8903 0
87388 [일반] 노후 공공와이파이가 업그레이드 됩니다 + 그외 소식 [21] 토니파커12071 20/07/26 12071 0
85651 [일반] 전직 배달 종사자가 본 공공배달앱까지의 여정 [125] neuschen15134 20/04/11 15134 32
85596 [일반] 공공배달 앱 개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77] Lelouch16313 20/04/07 16313 0
83647 [일반] 수도권 및 6개 특광역시 공공기관 차량 2부제가 실시되었습니다. - 이과의 산수놀이로 보는 실효성 [62] 초록옷이젤다11348 19/12/05 11348 9
83226 [정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이 청년 일자리를 빼앗았나? [97] 러브어clock15166 19/10/24 15166 0
81642 [일반] 최근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이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 [70] 아유10924 19/06/30 10924 7
80070 [일반] 공공기관이전과 지역균형발전 [57] 삭제됨8883 19/02/12 8883 36
79369 [일반] 도로·철도·항만…모든 공공시설물에 민자 허용 추진 [143] 여망14714 18/12/17 14714 10
79339 [일반] 다음은 공공기관 신임 사장의 약력입니다. 어디일까요? [367] 붕어싸만코21140 18/12/15 21140 80
79146 [일반] 국내 공공/대학 도서관 장서 순위 [3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6646 18/12/04 16646 3
78928 [일반] 최신 공익광고의 공공장소 예절 세 가지 [92] 치열하게11536 18/11/19 11536 0
78449 [일반] 미친짓 한번 해본다. 공공의 적, 황교익 쉴드. [149] 김파이18400 18/10/06 18400 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