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7/30 17:58:21
Name 낙원
File #1 0003360454_001_20180730084805204.jpg (65.6 KB), Download : 60
File #2 1.JPEG (74.6 KB), Download : 8
Link #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360454
Subject [일반]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내일 출시됩니다. (수정) (수정됨)




내일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출시됩니다.

금리는 원금 5천만원까지 최대 3.3%, 비과세는 이자소득 500만원까지 비과세 적용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본 주요 Q&A입니다.

Q. 가입대상
A. 만 19세 이상 34세이하 (병역 기간은 별도 인정), 연 3000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무주택 세대주. 근로소득자/프리랜서/학습지교사도 가입대상입니다.  [수정:국토교통부는 하반기 세법 개정에 따라 청년 범위가 만 19세 이상에서 만 34세 이하로 규정됨에 따라 이에 맞게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가입가능 연령을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

Q. 가입기간 및 납입한도
A. 18.07.31 ~ 21.12.31 (일몰제 운영) / 월 2만원 ~ 50만원

Q. 이미 주택청약종합저축에 있는 사람의 경우에도 가입 가능한가요?
A.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요건 충족시, 전환/가입 가능합니다. 다만, 전환/가입으로 인한 전환원금은 우대금리에서 적용 제외(납입기간/납임금액은 인정됩니다.)

Q. 가입요건 충족여부는 어떤 서류로 확인하나요?
A. 가입 시 주민등록등본 및 무주택확약서 등으로 확인, 해지 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및 주택소유시스템등으로 가입기간에 대한 무주택 여부 확인 / 소득원천징수영수증으로 직전년도 소득을 확인 / 병역기간은 병적증명서로 확인한다고합니다.

Q. 소득공제 혜택은?
A. 연소득 7000만원 이하 무주택세대주로,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하면 연간 납입액 240만원 한도로 40%까지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가입은 우리·KB국민·IBK기업·NH·신한·KEB하나·대구·부산·경남은행에서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포털, 국토교통부 콜센터(1599-0001), 주택도시보증공사 콜센터(1566-900) 및 은행에 문의하면 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철(33세,무적)
18/07/30 18:02
수정 아이콘
청년이 아니군용...ㅠ
Hysteresis
18/07/30 18:15
수정 아이콘
우린 아니라니 ㅜㅜ 너무하잖으(33세)
Zoya Yaschenko
18/07/30 20:43
수정 아이콘
나이 많은게 죄네요. 하하
18/07/30 18:02
수정 아이콘
아직 소득이 없는 학생도 가능한가요?
학교만 몇 년째 다니고 있는 불효자는 웁니다 ㅠㅠ
레이오네
18/07/30 18:02
수정 아이콘
병역 기간 별도 인정이면 군필일 경우 31세까지 가능하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
노틸러스
18/07/30 18:03
수정 아이콘
이건 어디에 가서 가입하면 되나요?
18/07/30 18:05
수정 아이콘
30세이하 자취생만 가능하군요....
Liberalist
18/07/30 18:06
수정 아이콘
무주택 확인서 떼려면 지금 세대에서 분리해나가야 하는데... 으으...
smallsteps
18/07/30 18:07
수정 아이콘
만 34세까지 늘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http://news1.kr/articles/?3385583

만 34세까지 가능합니다 !!
18/07/30 18:07
수정 아이콘
내년에 가입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La La Land
18/07/30 18:09
수정 아이콘
유주택이었다가 무주택 된 사람은 가능한가요?
하카세
18/07/30 18:15
수정 아이콘
학생은 안되는지 궁금하네요 ㅠㅠ
현직백수
18/07/30 18:16
수정 아이콘
님들
제가 어제 이거 예비가입신청하고 왔습니다. 전 젊으니까요

쟤네은행에서 가입했고요

기존에 청약있으면 안된다해서 4년전에 2만원 박아두고 신경안썼던 주택청약 해지하고 저걸로 새로 예약했습니다.

그 2만원은 내통장으로 넣어주더라고요. 이자가 2천원이 붙었어요.

이거저거 구비서류 빡세보이길래 짜증났는데

은행에서 싸인만하면 관련 자료 (소득증빙같은거 ) 자체적으로 검토할 수있다고 해서 오키 했습니다.

나중에 등본같은거만 가져오면 된다고 하더라고요.

무주택 세대주이고...또 뭐가 필요했더라 기억안나서 그때 받은 자료 사진찍어서

https://i.imgur.com/QgdDJtV.jpg

올림


그냥 내가 자격요건이 되는지 은행가서 대리로 검토해달라하면 이것저것 해줍니당
18/07/30 21:29
수정 아이콘
해지가 아니라 전환을 하셨어야 하는거 같은데...
현직백수
18/07/30 21:45
수정 아이콘
전환말고 아예취소하고 넣는다고하더라....고요...한번만 넣었다고
18/07/30 18:19
수정 아이콘
서울이나 근처 수도권에 청약넣고 싶으신분들은 굳이 기존꺼 해지하지 않으시는게.. 전환하시면 상관없지만요
18/07/30 18:35
수정 아이콘
해당조건되는 사란들은 기존꺼 전환하는기 무조건 이득아닌가요?
이율이 더 높은데요
시노부
18/07/30 18:49
수정 아이콘
8x년대 생들은 진짜 뭔 죄를 지었길래...ㅠㅠ
착한아이
18/07/30 19:54
수정 아이콘
ㅜㅜ
조폭블루
18/07/30 21:20
수정 아이콘
ㅠㅠ
18/07/30 22:28
수정 아이콘
Been & hive
18/07/31 08:15
수정 아이콘
89년생은 됩니다? 흐흐
강미나
18/07/30 19:09
수정 아이콘
내일로도 그러더니 뭐 나만 다 안된대
18/07/30 19:18
수정 아이콘
저한테도 적용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거 보면 좋은 정책이라 봅니다. 힘들 내시길.
MirrorShield
18/07/30 19:22
수정 아이콘
연소득 3천이라는게 세전이겠죠..?
18/07/30 19:59
수정 아이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이 서류에 있는거보면, 세전 금액같습니다.
스키피오
18/07/30 19:25
수정 아이콘
만36세는 광광 우러따
하르피온
18/07/30 19:54
수정 아이콘
주택사야할 나이대는 혜택못보는 주택청약통장이라니
18/07/30 20:08
수정 아이콘
나이대가 좀 뜬금없기는 합니다.

25세 이상은 3년 부은 이후 나중에 몇년내로 써먹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보다 낮은 나이대는 일단 만드는 사람도 매우 드물고 써먹기도 쉽지 않죠. 22살인 가입자가 3년 붓고 3년 묵혀놓으면 28살이 되는데, 그때 주택구입 가능한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있겠습니까.
그게 가능하다면 그건 집에서 거금을 지원해주니까 그런거죠.
거금 지원이 가능한 계층에게 이자혜택을 줄 필요는 없겠죠.

그리고 '청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34세 이하는 너무 연령이 낮은것 같네요. 표현상으로는 40세 이하가 딱 적당할 것 같습니다.
아직 미혼인 청년층 가구의 주택구입을 지원, 유도하기 위한 것인데, 이 문제에 있어 35~40세의 미혼 가구는 굉장히 중요한 연령대라고 봅니다.

35~40세 전후의 세대들은 이래저래 소외를 너무 많이 받는것 같네요.
Zoya Yaschenko
18/07/30 20:44
수정 아이콘
좋은 정치 전략은 버릴 세대를 빨리, 확실히 버리는거긴 하죠..
로즈엘
18/07/30 20:00
수정 아이콘
무주택세대주 조건이 까다로운데..
18/07/30 20:05
수정 아이콘
연봉..
앙겔루스 노부스
18/07/30 20:06
수정 아이콘
피지알 고령화의 슬픈현장...ㅠㅠ
18/07/30 20:14
수정 아이콘
부모랑 같이사는 무주택 세대원은 아쉽네요...
이호상
18/07/30 20:17
수정 아이콘
이거랑 새마을금고 비과세예금이랑 차이가 많이 날까요?
페로몬아돌
18/07/30 20:17
수정 아이콘
와 크크크 이놈은 나이는 다 안걸리네
18/07/30 20:19
수정 아이콘
나이도나인데 소득이...가입전년도 수입 3천...인거죠?
Lovely Rachel
18/07/30 20:23
수정 아이콘
나이도 나이인데 소득 3천이라서...
배두나
18/07/30 20:29
수정 아이콘
... 나이는 딱 맞는데 수입 허들이 3천이라니.. 3천 넘는 사람은 쉬운줄 아나 (...)
화이트데이
18/07/30 20:38
수정 아이콘
하.. 그런데 보통 소득이라는게 인센티브와 성과금을 포함하는건가요?
18/07/30 20:57
수정 아이콘
보통 연말정산할 때 나오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의 합계 금액이죠
페로몬아돌
18/07/30 20:39
수정 아이콘
와 소득도 3천 이하면...만 35~ 라인들은 뭘해도 커트에 걸리네 ㅡㅜ
유유히
18/07/30 20:46
수정 아이콘
연봉 3천만원 세전 이하라면 월급이 250만원 이하라는 얘기군요.. 더 어려운 분도 계시겠지만 많은 분들에게는 힘든 조건이네요.
18/07/30 20:59
수정 아이콘
별 의미 없는 상품이네요.
18/07/30 21:01
수정 아이콘
무주택세대주 조건이 말이안되네요 크크
17롤드컵롱주우승
18/07/30 21:04
수정 아이콘
나이가 되도 돈이 읎네요 ㅠㅠ
18/07/30 21:07
수정 아이콘
참고로 우리나라 중위소득이 월170만원 정도긴 합니다...
다시만난세계
18/07/30 21:13
수정 아이콘
무주택 세대주라니.. 돈이 없어서 나가살지도 못하는데...
NㅏRㅏ
18/07/30 21:13
수정 아이콘
무주택 세대주는 뭐죠??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으면 안되는건가요?
사나없이사나마나
18/07/30 21:15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만 34세 인가 교통비 지원 나와서 그것도 몇개월 차이로 갈렸는데... 이런...
18/07/30 21:16
수정 아이콘
[해지 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및 주택소유시스템등으로 가입기간에 대한 무주택 여부 확인 / 소득원천징수영수증으로 직전년도 소득을 확인 / 병역기간은 병적증명서로 확인한다고합니다] 이 말은 가입기간 동안 연소득 3000만원 이하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야 혜택 받을 수 있다는 말이겠죠?

작년에 일을 잠시 쉬어서 작년 기준 연소득 조건은 만족하는데, 계속 유지하는 조건이면 그냥 현재 통장 유지해야겠네요...
와룡봉추
18/07/30 21:38
수정 아이콘
말장난인건지 무주택 세대주라니 크크크
꿈꾸는사나이
18/07/30 21:41
수정 아이콘
세전 3천 넘으면 안되는건가요??
18/07/30 21:58
수정 아이콘
거의 의미 없는 상품이죠.. 부모님 밑에 있으면 무주택 아니신분도 많고... 차라리 조건을 완화시켜야..
18/07/30 22:09
수정 아이콘
자취하시는 분들이 제법 혜택 보겠네요
18/07/31 0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모님이 60 이상이면 노부부자택으로 자식을 무주택세대주 인정한다는데, 이거 만나이일까요? 1년만 기다리면 되나.. 환갑 소소하게 차려드리고 은행갔다와야하나
꺄르르뭥미
18/07/31 02:47
수정 아이콘
만 34세인데 가입하면 1년만에 보통 청약으로 다시 올아오는건가요?
18/07/31 03:12
수정 아이콘
우 서
18/07/31 03:14
수정 아이콘
무주택 세대주는 그냥 전세나 월세만 살고있으면 되는데..
캐모마일
18/07/31 07:15
수정 아이콘
그 놈의 무주택 세대주... 이거 현실이랑 안맞다고 예전부터 개정해야 된다는 소리 있었는데 역시나 탁상행정은 안바뀌는군요 부모님집에 얹혀살면 집따윈 필요 없는 것이죠
송파사랑
18/07/31 08:49
수정 아이콘
무주택 세대주라는게 무슨 뜻이죠?

나는 집이 없는데 부모님이나 형제자매가 집을 소유하고 있으면 무주택세대주에 해당되나요?
18/07/31 09:01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오네요.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세대주를 말한다. 세대주와 동일한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세대주의 배우자 및 배우자와 동일한 세대를 이루고 있는 세대원을 포함한다. 무주택세대주는 관련법규에 따라 주택을 우선하여 분양받거나 임대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 예로 국가는 10년 이상 복무한 군인 중 무주택세대주에게는 군인복지법에 따라 주택을 우선 공급할 수 있다. 관련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이다.
사신군
18/07/31 08:55
수정 아이콘
일단 연소득 3천에서 안되는걸 기뻐해야하는지 ..
김철(33세,무적)
18/07/31 09:42
수정 아이콘
저도....흐흐
내년에 만 34세로 확장되면 잠깐 가입할 수 있을듯하네요 ㅠ 한 4달 정도...생일 전까지...ㅠ
사신군
18/07/31 10:45
수정 아이콘
저는 3천은 넘어서 일단 안되서요.
이걸 기뻐해야하는 건지 조건에서 계속 아슬아슬하게 넘거든요.
근데 생각하면 월급좀 줄이고 저런 혜택 다 받는게 더 이득이더라고요.
애매합니다. 기뻐해야할지 슬퍼해야할지.
18/07/31 11:22
수정 아이콘
작년 소득이 삼천 넘어가시나요?
작년소득 기준입니다.
사신군
18/07/31 13:08
수정 아이콘
작년에 일단 회사에서 확인해보니 넘긴넘었네요..
18/07/31 11:22
수정 아이콘
지금도 가능합니다. 세법 개정되서 가능합니다.
김철(33세,무적)
18/07/31 12:39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뉴스 기사에서는 내년부터 만 34세가 가입된다고 나와서 그렇게 알았는데
좀 더 찾아봐야겠네요. 흐흐.
Eulbsyar
18/07/31 10:29
수정 아이콘
뭐 무주택 세대주라는게 걸려 있는거 자체가 부모님 집에 살고 있는 사람빼고

독립해서 사는 사람을 위한 거 같네요
올포유
18/07/31 10:55
수정 아이콘
총 급여 3000원은 너무 적은것 같은데..
그 이상 급여라도 이십대후반~삼십대초야 다 사정이 비슷한데, 엄청 큰 혜택도아닌것 같은데 해당이 안되는군요.
르크르크
18/07/31 14:34
수정 아이콘
무주택 세대주라니...아니 굳이 세대주이어야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거참 월세 살도 있는 처지데
18/07/31 17:23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되는데 3천 가까스로 넘어서 탈락은 웃어야될지 울어야될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898 [일반]  [뉴스 모음] No.192. 차든지 덥든지 외 [17] The xian9733 18/08/15 9733 31
77852 [일반] 외상센터의 효과와 효율 - 권역중증외상센터 갯수 논쟁 [64] 여왕의심복11788 18/08/09 11788 16
77759 [일반]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내일 출시됩니다. (수정) [73] 낙원16301 18/07/30 16301 0
77746 [일반] 산 속의 꼬마 - 안도라 [32] 이치죠 호타루11288 18/07/29 11288 31
77717 [일반] 메모장의 내용을 정리하며 - 아이의 예감 지니팅커벨여행4700 18/07/25 4700 9
77698 [일반] 여행자의 밥상 : 전국 먹거리 이야기(스압/데이터) [39] 살려야한다16028 18/07/24 16028 36
77546 [일반] 전국일주 다녀온 이야기 - 스압/데이터 [47] 살려야한다8799 18/07/09 8799 27
77373 [일반] 대구 수돗물 사태 대구시/환경부 해명 [34] DogSound-_-*12053 18/06/23 12053 0
77319 [일반] 다스뵈이다 23회 이제야 대선이 끝났다 [17] 히야시12343 18/06/18 12343 13
77285 [일반] 왜 재건축 이야기하는지 깨닫다. [37] s23sesw14155 18/06/14 14155 4
77210 [일반] 나도 써보는 저탄고지 4주차 수기 [32] ShuRA16323 18/06/07 16323 3
77087 [일반] (정보공유) 서울시청역 근처 식당 소개합니다.(장소 추가합니다.) [29] 파츠15884 18/05/25 15884 21
77002 [일반] 담배를 바꾼지 한달 (후기) [48] Janzisuka17126 18/05/17 17126 0
76905 [일반] 수도권출신이 써보는 청주근처살면서 쓰는 청주썰 [109] zzzzz24080 18/05/08 24080 0
76821 [일반] 2018년 대한의사협회장 선거와 시사점 [42] 여왕의심복13564 18/04/30 13564 32
76716 [일반] Pgr운영유감 2 [541] 사악군20871 18/04/20 20871 40
76633 [일반] [뉴스 모음] 사스가 김성태!! 외 [93] The xian15159 18/04/15 15159 32
76614 [일반] [뉴스 모음] 문준용씨 관련 허위사실 유포 및 대선조작 의원 민사소송 외 [29] The xian12258 18/04/13 12258 29
76611 [일반]  통일되면 가장 큰 골치가 북한각계각층 주민들에 대한 의식개선 이라고 봅니다. [65] Agni10471 18/04/13 10471 0
76584 [일반] [뉴스 모음] '팩폭'당한 뉴스룸, '조선'한 조선일보 외 [51] The xian17901 18/04/11 17901 63
76504 [일반] 지방선거 예상 [89] 레슬매니아11575 18/04/05 11575 1
76447 [일반] [7](삼국지) 한중왕표 번역 및 주석입니다 [20] 글곰13411 18/04/02 13411 30
76428 [일반] [뉴스 모음] 벌써 일 년 외 [50] The xian11083 18/03/31 11083 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