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5/21 07:25:45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모스크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련의 흔적
마천루가 높이 솟아있으며, 스타벅스와 쉑섹버거도 들어와있습니다. 자본주의가 곳곳에 스며들어있고 한때 국영백화점이었던 “굼” 백화점에는 루이뷔통, 프라다, 아르마니가 입점해서 일반인들은 감히 쇼핑하기 어려울 정도의 고급 부티크로 변했습니다. 심지어 공산주의의 심장인 붉은 광장에서는 레닌이나 스탈린 분장을 한 사람들이 사진 찍으면서 돈을 요구하기도 하죠. (참 아이러니 하죠 크크)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 소련의 흔적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요, 바로 도시를 하나로 연결시키는 지하철, 그리고 관공서에서 이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하철이 매우 인상적인데, 지하철 역 하나하나가 미술관이니 박물관을 연상케합니다. 웅장함과 화려함은 가히 루브르나 내셔널갤러리에 못지 않습니다. 과거 소련이 프로파간다 목적을 위해 지었다고 하는데, 동시에 유사시 방공호로 사용할 수 있을만큼 실용적이기도 합니다.

지하철역을 돌아보면, 소련의 역사, 그리고 세계대전에서 승리했다는 자부심을 읽을 수 있습니다.

천장에는 어머니 러시아가 나치독일을 밟은 모습을 그린 모자이크를 볼 수 있으며, 또한 소련군이 베를린에 입성하는 장면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 벨라루스카야라는 역에는 벨라루스의 전통적인 의상을 입은 여인들이 소련을 위해 봉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또 지하철의 문양자체도 벨라루스의 전통문양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역시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제2차세계대전인 거 같네요. 크렘린 궁 앞에는 이름모를 용사들을 기리는 “꺼지지 않는 불”이 있는데 이곳은 대통령 직속부대가 지키고 있습니다. 나치독일에 맞서 소련은 자그마치 2천만명 희생되었는데, 이들을 위해 공동묘지(?)를 마련한 것이죠. 그리고 그곳을 기준으로 나란히 주요 격전지를 기리는 비석이 쭉 나열되어 있는데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키에프, 스몰렌스크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사람들이 헌화를 합니다.

러시아인들이 대조국전쟁을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심지어 한 지하철의 문은 1941-1945라고 도색되어 있을 정도입니다.

러시아 현지인 가이드도 지하철역의 역사와 대조국전쟁에 대해 설명할 때 뭔가 숙연한 표정을 지었는데, 자기 조부의 가족들도 여럿 희생되었기 때문이라고... 그리고 엄청나게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마지막까지 버틴 러시아인의 정신은 지금도 여전히 영감의 원천이 된다고 합니다.

한편 소련과 공산주의에 대한 자부심도 읽을 수 있는데, 지하철역 곳곳에 쇠낫과 망치 문양을 찾아볼 수 있고, 심지어 현재 러시아 외교부 건물에도 공산주의 문양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물 자체가 사실 압도적인 위압감을 주긴하죠. 엠파이어 스테이트와 하위호환이라고 해야할까...

어쨌든 소련은 미국과 세계를 양분했던 초강대국이었고, 그 영향력은 지대했으니 자부심을 가질만 합니다.

그런데 원래 지하철역 곳곳을 장식했던 스탈린의 동상이나 모자이크는 모두 사라졌는데 흥미롭게도 소련 붕괴한 후 제거한 게 아니라 스탈린 후임자 흐루쇼프가 제거했다고 해요. 갓갓 흐루쇼프!!

모스크바는 무척 매력적인 도시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홀리워터
18/05/21 08:24
수정 아이콘
누가바
바밤바
모스크바!

죄송합니다..
고통은없나
18/05/21 08:41
수정 아이콘
그런데 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었는데 그 폴란드를 독일하고 협잡해서 반반씩 나눠먹은게 소련이잖습니까..
Cazellnu
18/05/21 09:56
수정 아이콘
일본과 불가침 밀약한것도 미국이죠
최종병기캐리어
18/05/21 08:49
수정 아이콘
독소전에서 죽은 민간인이 2천만명이 넘는다고 하니 그럴만도 하죠(물론 순수하게 전쟁 때문에 죽은 인원은 그보다 적겠지만...)
18/05/21 09:26
수정 아이콘
직접 다녀 오신 후에 적으신 감상문인가요?
aurelius
18/05/21 22:14
수정 아이콘
네네 지금 모스크바입니다 흐흐. 정말 아름다운 도시입니다.
18/05/22 00:00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사진도 기대됩니다.
이치죠 호타루
18/05/21 10:01
수정 아이콘
2차대전 아마추어 연구생으로써 꼭 가고 싶은 도시가 오데사와 볼고그라드 그리고 모스크바입니다. 그 참혹했던 격전의 무대를 눈으로 보고 싶네요.
vanillabean
18/05/21 16:49
수정 아이콘
저는 외국인 학생들까지 그때를 기억하게 만드는 교재가 아주 인상적이었어요. 나치 파시스트라고 부르던 선생님의 우아한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마치 과거 반공교육을 연상케 했거든요.
차근차근
18/05/21 22:23
수정 아이콘
모스크바 매력적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544 [일반] 국익관점에서 바라본 시사 평론 [10] singularian11063 21/12/26 11063 0
92921 [일반] [외교] 환구시보, 러시아와 함께 리투아니아를 징벌해야 [26] aurelius13282 21/08/12 13282 4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37707 21/05/02 37707 168
91495 [일반] 시노팜, 시노백, 스푸트니크 V 관련 정보 [70] 여왕의심복16147 21/04/23 16147 81
90531 [일반] EU는 러시아의 실체를 직시해야 한다 [6] elaborate8782 21/02/21 8782 4
90457 [일반] CANZUK에 대한 자유주의적 입장 [3] elaborate7190 21/02/17 7190 1
90340 [일반] EU를 잃어 버린 영국, 앞으로 역할을 찾을 수 있을까? [30] elaborate11724 21/02/08 11724 4
89392 [일반] 일본, 유럽과 비교한 한국 겨울의 추위 [41] 데브레첸13143 20/12/19 13143 0
88805 [일반] 권위주의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공개편지 (번역) [12] 아난8946 20/11/17 8946 7
87824 [일반] 최근 서구권의 출산율 추이와 한국에 시사하는 점 [30] 데브레첸11639 20/08/27 11639 59
87679 [일반] [시사] 벨라루스 집회 사상 최대, 러시아에 군사지원 요청 [24] aurelius12376 20/08/17 12376 1
85084 [일반] 한 스웨덴인 개발자의 넋두리.. [102] 아난15393 20/03/14 15393 3
84979 [일반] [스연] WWE 관련 소식 이모저모 [5] TAEYEON5589 20/03/10 5589 0
84029 [일반] [여행후기] 이스탄불,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19] aurelius8500 20/01/14 8500 13
83365 [일반] 한국 저출산의 미래, 영향 그리고 대책. [519] 아리쑤리랑48743 19/11/06 48743 136
78616 [일반] 쌀쌀한 가을에 먹는 집밥 [42] 비싼치킨8519 18/10/23 8519 25
77037 [일반] 모스크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련의 흔적 [10] aurelius8498 18/05/21 8498 3
76651 [일반] (혈압주의) 네이버 뉴스 리플은 어쩌다가.... [123] 벨라도타14544 18/04/16 14544 1
75547 [일반] 평창올림픽 참가선수는 대마 성분을 복용할수 있을까? [49] kurt10229 18/01/23 10229 0
75400 [일반] 부동산과 어머니 그리고 문재인. [27] 벨라도타9922 18/01/12 9922 14
75242 [일반] 작전과 작전 사이 (0) - 프롤로그 [15] 이치죠 호타루7121 18/01/01 7121 19
75238 [일반] 옥타곤의 알리, 도미닉 크루즈의 재기를 바라며 [18] 돈키호테7920 18/01/01 7920 3
75014 [일반] 방중 기자 맞는거 원본 영상. [280] 벨라도타19454 17/12/16 19454 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