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4/06 09:55:10
Name 글곰
Subject [일반] [7]장엄복수형의 번역에 대해 : 미하엘 주세페의 칙령 (수정됨)
  안녕하세요. 글곰입니다.
  지난번에 한문 번역을 했으니 이번에는 영어 번역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지난글 : 한중왕표 및 주석 https://pgr21.com/?b=8&n=76447)

  영어.....라기보다는 라틴어에 뿌리를 둔 알파벳 계통의 서양 언어를 보면 장엄복수형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황제나 왕 등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자신을 지칭할 때 'I'가 아닌 'We'로 지칭하는 형태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 때 We는 '우리'라고 해석하면 안 됩니다. 대체로 짐(朕)이나 고(孤)로 번역하죠.

  짐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황제가 스스로를 칭하는 낱말이고, 고는 왕이 자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여러분도 사극에서 짐이라는 표현은 자주 접해보셨을 겁니다. 반면 고는 비교적 접할 기회가 적었을 테지요. 하지만 조선시대에 왕이 자신을 짐이라고 칭했을 리는 없습니다. 조선은 중국의 사대질서에 편입된 제후국이었기에 조선왕은 황제가 아니니까요. 고 혹은 과인을 사용했겠지요. 삼국지에서 유비나 손권 등 제후들이 자신을 고라고 지칭하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다시 서양으로 돌아가자면, 장엄복수형은 지금도 가끔씩 쓰입니다.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는 3인칭으로 스스로를 칭하는 방법도 있죠. 이는 로마의 카이사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정복을 다룬 저서 [갈리아 전기]를 집필했는데, 이건 사실 자서전에 가까운 물건이었습니다. 하지만 카이사르는 '내가 공격했다'라고 쓰는 대신 항상 '카이사르는 공격했다'라는 식으로 3인칭 서술법을 채택했죠. 이후 카이사르의 칭호를 이어받은 로마의 황제들이 이 관습을 따라하면서 3인칭이 자신을 높이는 방식으로 거듭났다고 합니다.

  그러니 예컨대 'We said, we were hungry'라는 문장이 있다고 해 봅시다. 이 말을 황제가 했을 경우 '우리는 우리가 배고프다고 말했다'라고 번역하면 당연히 안 됩니다. '짐은 배고프다' 정도로 번역해야 하고, 좀 더 고풍스럽게 한다면 '짐은 허기지도다' 정도가 적절할 겁니다.

  자. 그럼 이제 번역 하나를 해 보겠습니다. 과거에 미하엘 주세페라는 황제가 있었습니다. 어진 군주로 평가받았던 그는 어느 날 굶주림으로 죽어 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목도하고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통치하던 국가, 또 그 경계를 넘어 다른 국가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아이들이 굶주리는 일은 없도록 하라는 칙령을 반포하지요. 그 문장이 자못 아름다운 면이 있어 한 번 번역해 볼까 합니다.

  특히 장엄복수격 'We'의 쓰임새에 유의하며 읽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다행히도 분량이 길지 않아 예전에 한중왕표 번역보다는 훨씬 손쉬웠네요. 번역에는 네이버 영어사전의 도움을 받았으며 의역이 다수 섞여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로 인해 문장의 앞뒤 순서를 변경한 경우가 있습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다면 모두 제 책임입니다.




There comes a time when we heed a certain call, when the world must come together as one.
There are people dying and it's time to lend a hand to life. The greatest gift of all.
가로되 짐이 하늘로부터 이 부름을 들었노라. 말하노니 뭇 국가들이 하나로 뭉쳐질 때로다.
백성들이 죽어 가건만 도울 이 없음에, 오직 모두의 손길만이 유일한 선물이로다.

We can't go on pretending day by day. That someone, somewhere will soon make a change.
We are all a part of God's great big family and the truth, you know, love is all we need.
짐은 차마 가련한 자들을 매일같이 지나치며 다른 이들의 도움이 이르기만을 고대할 수는 없도다.
거룩한 주 앞에서 짐은 곧 백성과 가족일지니, 그대들은 짐에게 오로지 사랑이 필요함을 알지어다.  

We are the world, we are the children. We are the ones who make a brighter day, so let's start giving.
There's a choice we're making, we're saving our own lives. It's true we'll make a better day just you and me.
말하노니 짐은 곧 세계일지며 또한 곧 연약한 어린아이로다. 하여 짐은 더 밝은 나날을 위해 베풂을 시작하도다.
짐이 만백성을 구원할 때가 바로 지금임을 너희는 알지어다. 진실로 모두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구축함이 짐의 책무로다.

Send them your heart so they'll know that someone cares.
And their lives will be stronger and free,
As God has shown us by turning stones to bread.
So we all must lend a helping hand.
백성들을 돌보아 그들이 너희가 있음을 깨닫게 할지라.
백성의 삶이 강하고도 자유로워지게 할지라.
주께서 돌을 빵으로 만드는 기적을 보여주셨음을 알지니,
그것이 짐이 백성에게 손을 내미는 까닭이로다.

We are the world, we are the children. We are the ones who make a brighter day, so let's start giving.
There's a choice we're making, we're saving our own lives. It's true we'll make a better day just you and me.
말하노니 짐은 곧 세계일지며 또한 곧 연약한 어린아이로다. 하여 짐은 더 밝은 나날을 위해 베풂을 시작하도다.
짐이 만백성을 구원할 때가 바로 지금임을 너희는 알지어다. 진실로 모두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구축함이 짐의 책무로다.



- 황제, 자크의 아들 미하엘 주세페(Michael Joseph Jackson, 1958~200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06 10:00
수정 아이콘
영어와 담쌓고 사는 일반인은 전혀 몰랐던 내용이네요. 재밌게 읽고 갑니다.
sen vastaan
18/04/06 10:02
수정 아이콘
하긴 팝의 황제...
18/04/06 10:09
수정 아이콘
크크 제대로 당했네요
VinnyDaddy
18/04/06 10:11
수정 아이콘
하긴 팝의 황제... (2) 크크크크크크크크크
추천드리고 갑니다.
황금사과
18/04/06 10:15
수정 아이콘
하이개그네요
18/04/06 10:15
수정 아이콘
자신을 3인칭으로 이르는 말이 카이사르로부터 유래했다니... Fizz는 감격했다능!
18/04/06 11:00
수정 아이콘
하지만 카이사르는 여자 엄청 후리고 다닌 엄청난 바람둥이였다능!
저격수
18/04/06 10:26
수정 아이콘
휴 안속았네요 크크크크크크크
18/04/06 10:27
수정 아이콘
나 중대장(大 WE)은 실망했다
재활용
18/04/06 10:44
수정 아이콘
받고 행보관은 쉬는것 자체를 뭐라 하는 사람이 야니야 크크크
18/04/06 10:59
수정 아이콘
예비군 여러분. 통솔에 잘 따라 행동하시면 일찍 귀가하도록 하겠다고 대대장이 약속합니다! (와아~)
BibGourmand
18/04/06 10:30
수정 아이콘
그분은 황제 맞지요 크크크크
덴드로븀
18/04/06 10:52
수정 아이콘
구축함은 이지스 아닙니까?
18/04/06 11:01
수정 아이콘
구축함보다 강한 십축함은 삼지스라고도 부릅니다.
18/04/06 10:54
수정 아이콘
왜 주세페인가 했는데 조셉이 미들네임이군요
좋아요
18/04/06 11:02
수정 아이콘
이것이 문과개그다
TheLasid
18/04/06 11:19
수정 아이콘
멋진 글이네요. (아까) 추천 드렸습니다. 그런데 '하는도다'는 약간 어색한 것 같아요. 하노라나 하도다 정도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18/04/06 12:2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게 맞네요. 수정했습니다!
상계동 신선
18/04/06 11:43
수정 아이콘
미하엘 주세페가 누군지 잠깐 생각했었습니다. 이렇게 낚이다니...
아케미
18/04/06 11:51
수정 아이콘
이런 고품격 낚시라니... 잘 읽었습니다.
18/04/06 12:07
수정 아이콘
아 이건 댓글 보고 나서야 깨달았어요 강추
cluefake
18/04/06 12:19
수정 아이콘
하긴 황제 맞네요 크크크크
칼라미티
18/04/06 15:44
수정 아이콘
문 풍 당 당
제랄드
18/04/06 16:20
수정 아이콘
번역문 중간까지 읽다가 이게뭥미? 글곰 님 글 잘 쓰시는 분인데 이번 글은 좀 이상하다? 하면서 스크롤을 내렸는데 아악 크크크크
이래서 글은 끝까지 읽어야.

드래곤 시리즈는 완결인가요?
18/04/06 18:19
수정 아이콘
앗...아아... 제 눈을 믿을 수 없군요.
뒹굴뒹굴
18/04/07 20:02
수정 아이콘
이런 낚시라니 크크크킄
콩탕망탕
18/04/10 09:16
수정 아이콘
본문을 다 읽고서 미하엘 주세페가 어떤 분인가 검색을 해봐야겠다 생각하다가
어라, 58년생이면.. 그분도 58년 개띠였는데.. 하고 보니까
이름도 jackson이네..
다시 한번 찬찬히 읽다보니까 멜로디가 자동재생되네요.
대단한 유머입니다. 감탄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980 [일반] (삼국지) 조조의 세 아들 (4) [36] 글곰8501 18/08/23 8501 17
77962 [일반] (삼국지) 조조의 세 아들 (3) [38] 글곰10005 18/08/22 10005 27
77948 [일반] (삼국지) 조조의 세 아들 (2) [49] 글곰9548 18/08/21 9548 47
77940 [일반] (삼국지) 조조의 세 아들 (1) [90] 글곰13636 18/08/20 13636 53
77602 [일반] 프로듀스 시리즈에 대한 고찰 [23] 애플망고7729 18/07/14 7729 5
77302 [일반] 스토리 작가의 명암. 마사토끼 vs 폴빠. [45] 펠릭스-30세 무직18934 18/06/17 18934 3
77252 [일반] (삼국지) 제너럴리스트인가, 스페셜리스트인가? [62] 글곰12383 18/06/11 12383 26
77147 [일반] (삼국지) 관우가 죽는 이야기 [97] 글곰13065 18/05/30 13065 21
76954 [일반] "안 되는 걸 알면서도 해보는 게 제갈량이네. 우리 같은 사람은 그리 못 하지." [67] 신불해23878 18/05/14 23878 58
76855 [일반] (삼국지) 가정의 달 특집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해답편 [66] 글곰13217 18/05/03 13217 16
76840 [일반] (삼국지)가정의 달 특집 : 등산왕 마속놈 [141] 글곰28315 18/05/01 28315 57
76668 [일반] (삼국지) 한중 전투 - 유비는 마침내 날아오르고 [80] 글곰20155 18/04/17 20155 40
76615 [일반] 그냥 잡담들 - 기부활동 / 장르소설 / 이상한 사람 [26] 글곰5625 18/04/13 5625 2
76525 [일반] [7] 인문사회 신간 위주로 둘러본 서점 나들이 (사진 多) [9] 위버멘쉬10221 18/04/07 10221 29
76508 [일반] [7]장엄복수형의 번역에 대해 : 미하엘 주세페의 칙령 [27] 글곰10628 18/04/06 10628 30
76447 [일반] [7](삼국지) 한중왕표 번역 및 주석입니다 [20] 글곰13392 18/04/02 13392 30
76372 [일반] (삼국지) 한중왕 표로 알아보는 유비 부하들의 지위 [82] 글곰28807 18/03/28 28807 20
76318 [일반] (삼국지) 양수, 재주 있는 자의 선택과 실패 [58] 글곰14723 18/03/26 14723 25
76023 [일반] 중국의 독재화 단계를 보면서 [10] 나가사끼 짬뽕9217 18/03/06 9217 5
75649 [일반] 외부터 시작하라. [20] Love&Hate11994 18/01/31 11994 16
75622 [일반] 선양의 역사. [23] Love&Hate11769 18/01/29 11769 26
75504 [일반] 역사를 보게 되는 내 자신의 관점 [36] 신불해13250 18/01/20 13250 96
75276 [일반] 조씨고아 이야기 [15] Love&Hate9448 18/01/04 9448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