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2/24 02:25:59
Name 솔빈
File #1 download.jpg (9.9 KB), Download : 77
Subject [일반] MAN vs SNAKE 다큐멘터리를 보고 (수정됨)


  1982년에 만들어진 니블러라는 게임이 있다. 게임은 단순히 우주에서 뱀을 조종해서 화면 안에 모든 점을 먹으면 스테이지가 클리어가 되는 게임이다. 점을 먹는 동안 뱀의 길이는 점점 길어지며 스테이지를 넘길수록 뱀의 속도가 빨라져 뱀의 컨트롤이 점점 어려워진다. 게임은 목숨이 다할 때까지 끝나지 않으며 영원히 반복된다. 게임의 끝은 라이프가 다 없어지거나 게이머의 체력이 한계에 다다를 때다. 게임은 특이하게 10억 점이 넘으면 점수가 0으로 되돌아간다.

1984년 게임 제작사는 10억점을 세우는 사람에게 니블러 게임기와 세계 챔피언이라는 명예를 주겠다고 공언했다. 16살의 팀 맥베리는 이틀 밤낮을 지새우며 10억 점을 넘겨 세계 챔피언의 왕좌에 앉았다. 팀이 세운 기록이 도전자에 의해 깨어지고 다시 30년이 지나서 다시 세계 챔피언의 왕좌에 앉기 위해 도전하는 과정이 담긴 다큐멘터리를 봤다.

오락실을 가보지 않은 사람은 그깟 게임 점수가 뭐라고 할 수 있겠지만, 아케이드 키드로 어린 시절을 보낸 나는 십분 공감이 갔다.

어린 시절 오락실에 가면 고수가 어려운 게임을 클리어하고 이니셜을 남기지 않고 홀연히 자리를 떠나면 내 이니셜을 남겨 마치 내가 클리어 한 것처럼 의기양양했던 적, 어렵기로 소문난 게임을 클리어하기 위해 도전하다 갑자기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게임이 적들의 움직임이 예측되고 무의식중에 신들린 플레이를 하고 있으면 어느새 한둘씩 내 뒤로 갤러리들이 모여 내 플레이에 감탄하는 걸 등 뒤로 느낀 적이 있다. 그때의 고양감과 흥분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황홀했던 기억이 있다.

단순히 좁은 동네 오락실에서 잠깐의 주목으로도 그런 감정을 느꼈는데, 세계 챔피언이라는 명예를 얻었을 때 팀은 뿌듯함과 환희는 마치 머릿속에 빅뱅이 일어난 것 격정적이고 흥분했을 것이다. 그리고 세계 챔피언의 명예는 팀의 평생 자랑거리이자 자신을 게이머로서 자신을 규정해주는 상징이었다. 그런데 그 기록이 깨어지다니, 팀은 당연히 챔피언은 자신이므로 챔피언의 자리를 되찾겠다고 공언한다.

어느새 배불뚝이 중년이 되어버린 팀은 다시 왕좌를 탈환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쉽지가 않다. 오랜 시간 번쩍이는 화면을 보고 있노라면 환각이 보이고 레버를 잡은 손은 퉁퉁 부어 주먹도 쥐어지지 않는다. 몇 번의 실패 이후 팀은 2011년 마지막 도전을 트위치를 통해 전 세계에 방송한다.

다큐멘터리를 보는 내내 너무나 공감되는 장면들이 많았다. 오래전에 손을 놓아버린 게임이라 할지라도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다는 자신만만한 팀을 보면서 나도 한때는 그랬던 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너무나 괴수들이 많기에 그런 자만은 하지 않지만 말이다. 또한, 무료하고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팀이 콘솔 게임을 즐기는 모습에 마치 내 모습을 보는 기분이 들었다. 한번 게이머는 영원한 게이머란 말인가. 게다가 중간에 나타난 천재형 라이벌의 출현은 팀에게 위협이 되기도 했다. 모든 게임을 잘하는 천재형 게이머는 언제 봐도 재능이 너무 부럽고 탐나기 그지없다.

백 원짜리 몇 개면 하루종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오락실에서 살았던 적이 있다. 돈이 떨어져도 남이 하는 게임을 보면서 머릿속으로 게임의 패턴을 외우고 숨겨진 아이템이나 보스를 만나는 방법을 배웠던 기억이 난다. 어린 시절의 오락실에 대한 향수와 추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팀을 보면서 팀과 나는 별로 다르지 않다고 느꼈다.

게임 하는데 뭔 이유가 필요한가? 그냥 재미있으니까 하는 거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염력 천만
18/02/24 12:00
수정 아이콘
추천은 많은데 댓글이 없네요
MAN vs SNAKE죠?
다큐멘터리 저도 보고싶네요
18/02/24 1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제목 맞습니다. 넷플릭스에 있으니 한번 봐보세요. 피지알을 이용하는 많은 회원님이 보면 좋을것 같아 글 올렸습니다.
18/02/24 12:28
수정 아이콘
방금 넷플릭스에서 봤습니다. 추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감동스럽네요.
18/02/24 19:35
수정 아이콘
마지막의 여운 때문에 글을 썻어요. 거기서 주인공에게 다른건 별로 부럽지 않은데 아내가 참 부럽더군요. 게임하는 남편을 적극 지지하는 아내라니..
데프톤스
18/02/24 14:56
수정 아이콘
저도 방금 보고 왔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18/02/24 19:36
수정 아이콘
별말씀을요. ^^ 잘 보셨으면 다행입니다.
김첼시
18/02/24 19:18
수정 아이콘
이 글보고 다큐를 찾아봤는데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되네요. 좋은다큐 추천감사합니다.
18/02/24 19: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이머라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는 다큐죠. 저는 보는 내내 어릴적 오락실에서 살던 때와 영화 픽셀이 떠올랐네요. 주말 잘 보내세요.
화염투척사
18/02/25 01:11
수정 아이콘
제목이 무슨 뜻일까 주인공 이름이 MAV 인가 고민했는데 MAN 이군요. 오랫만에 넷플릭스 구독료가 보람차게 봐야겠네요. 추천 감사합니다. ^^
18/02/25 01:26
수정 아이콘
헉.. 오타를 몰랐네요. 다른 분들은 대체 MAV로 어떻게 찾았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015 [일반] [뉴스 모음] 묻히든 말든 그냥 쓰는 뉴스 모음 [37] The xian15687 18/03/06 15687 134
76014 [일반] 안희정 지사가 페이스북에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213] 23년째솔로25001 18/03/06 25001 6
76013 [일반] 불륜을 그냥 사생활로 봐줄 순 없는 걸까요? [287] 싫습니다22523 18/03/05 22523 4
76012 [일반] 잘한 선택일까 [17] 흰둥9440 18/03/05 9440 3
76011 [일반] 가임기 딩크 여성의 셀프변명문 [133] 삭제됨16328 18/03/05 16328 47
76010 [일반] 안희정 지사에 대한 성폭력 의혹 기사가 나왔습니다(JTBC) [714] 修人事待天命43328 18/03/05 43328 8
76009 [일반] 고팍스 이벤트 또하네요 [33] 정공법11128 18/03/05 11128 5
76008 [일반] 삼성이 이정도였나? [124] Jun91116968 18/03/05 16968 21
76007 [일반] 근 10년만에 다시 꺼내본 책, "부러진 화살" [12] Blooddonor7880 18/03/05 7880 1
76006 [일반] 트럼프 대통령의 독재 옹호성 발언에 대해 [44] Misaki Mei8837 18/03/05 8837 1
76005 [일반] 백수입니다.-6- [33] 현직백수10190 18/03/05 10190 7
76004 [일반] 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종 결과 [38] 마스터충달10296 18/03/05 10296 2
76003 [일반] 법원 판결에 반발한 부부가 동반자살을 했습니다. [66] 홍승식15173 18/03/05 15173 1
76002 [일반]  3박4일 제주 여행기 3일차 - 김치덮밥,유채꽃,송악산 둘레길, 혼고기 [5] mumuban7748 18/03/05 7748 7
76001 [일반] 노동당 비선조직 파문 [25] LunaseA18951 18/03/05 18951 4
75999 [일반] 더 늦기 전에, 이미 늦어버린 은혜를 갚아야지. [10] 헥스밤10982 18/03/04 10982 35
75998 [일반] 몬티홀 문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40] 펩시콜라13044 18/03/04 13044 7
75997 [일반] 탁수정은 성관련 범죄자입니다 [90] LunaseA27438 18/03/04 27438 283
75996 [일반] 대북 특사단(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3/5(월) 북한을 방문합니다. [163] 光海13022 18/03/04 13022 9
75995 [일반]  3박4일 제주 여행기 2일차 - 클레이모어, 고기국밥, 매화 [5] mumuban6462 18/03/04 6462 2
75994 [일반] 작전과 작전 사이 (5) - 공피고아 [5] 이치죠 호타루8049 18/03/04 8049 11
75993 [일반] 3박4일 제주 여행기 1일차 [13] mumuban7226 18/03/04 7226 2
75992 [일반] 죽어야 개선되는 한국노동시장 [27] 난될거다12965 18/03/04 12965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