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1/28 19:56:13
Name bigname
Subject [일반] 전세계 음악시장 규모 순위.jpg(+느낀점)
AA.13272936.1.jpg

미국, 일본의 위엄이네요 덜덜덜

왜 많은 유럽과 중남미가수들이 영어로 음반내고 일부 한국가수들이 일본어로 음반내는지 확실하게 설명을 해주는 도표네요

그리고 참고로 자료를 더 찾아보니까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웨덴, 스위스 이국가들은 저 규모에서 자국어 음악시장 지분이 1할도 안되었습니다. 나머지는 전부 영미권 가수들 음반판매량과 콘서트실적으로 채워진 것들이더군요. 이 나라들은 자국어 음악시장 규모는 오히려 한국보다도 한참이나 작았습니다. 그나마 브라질, 멕시코등 중남미는 자국어 음악시장 규모가 저기에서 5할이 넘더군요. 역시 대중문화 잠식은 유럽이 중남미보다 더 심하게 된것 같았습니다.

그나저나 중국은 음반시장은 불법복제때문에 그렇다쳐도 콘서트시장마저도 크지 않은거같군요. 중국가수들은 콘서트보다는 방송이나 행사뛰는것에 더 집중하고 우리나라 가수들과 팝가수들도 중국공연을 잘 안하던데 그 이유를 설명해주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8 20:01
수정 아이콘
지금은 사실 한류 때문에 일본 음악 자체가 약간 평가절하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잘 만들어진 내수 시장 덕분에 오히려 다양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참 부러운 시장이었습니다. (미국은 넘사)
요즘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네요.
아점화한틱
18/01/28 20:02
수정 아이콘
그보단 중국의 위엄이 쩌네요... 저기 사는 십수억명의 사람들이 음악을 안듣는것도 아닐텐데...
18/01/28 20:05
수정 아이콘
중국은 진짜 시장규모가 이해가 안 갈 정도로 낮군요...윗분 말대로 음악을 안 듣는 것도 아닐테고..

우리 나라가 인구수 대비 생각하면 우리나라보다 인구수 적은데 시장규모가 더 큰건 호주/캐나다 정도 뿐이니 확실히 나쁜 시장은 아니군요.
18/01/28 20:13
수정 아이콘
중국은 콘서트문화가 우리나라보다도 더 활성화가 안되어있고 음악은 디지털 음반을 사는게 아니면 공짜로 듣는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퍼져있는걸로 압니다.
그리고 호주 캐나다도 유럽권 국가들처럼 영국과 미국의 가수들 판매량이 전체 규모에서 9할을 차지할걸요?
18/01/28 20:12
수정 아이콘
https://en.wikipedia.org/wiki/Global_music_industry_market_share_data#IFPI_2016_data
최신 자료 찾아보니 중국 시장이 두 배 가까이 커지긴 했네요.
재밌는건 physical/digital/performance가 각각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중국은 96%가 디지털 음원인 반면에 일본은 여전히 73%가 physical 음반 판매로 이루어지고 있네요.
정공법
18/01/28 20:13
수정 아이콘
와 일본이 음반시장 2위인건 들어서 알고있었는데 인구가 2배정도라 많이 차이나봤자 4~5배정도 날줄 알았는데 넘사벽이었네요;;
담배상품권
18/01/28 20:42
수정 아이콘
일본의 문화시장 규모는 어마어마하죠. 요즘 많이 죽었지마는..
Locked_In
18/01/28 22:25
수정 아이콘
아이돌 기획사들이 괜히 죽어라 일본시장노리는게 아니죵... 터지기만 하면 황금어장
염력 천만
18/01/28 20:16
수정 아이콘
중국은 성장가능성이 어마어마한거 아닌가요?
영화 박스오피스는 벌써 미국 다따라왔던데
18/01/28 20:1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외국가수들에 대한 폐쇄성이 미국과 일본에 비해 넘사벽이라서 자기들만의 리그가 될것 같아요
Lainworks
18/01/28 20:28
수정 아이콘
아직도 중국은 어플 뭐 깔면 그냥 음악을 다 들을 수 있는 그런 수준입니다(?!) 중국 외 지역에선 접속이 안되지만 어찌 써 보니 좀 활당하더군요. 물론 중국노래만 나오는것도 아니고 전 세계 노래가 그냥 검색해서 틀면 나와요.......
18/01/28 20:34
수정 아이콘
음악 뿐만 아니라 한국 드라마도 비슷한 상황이더라구요... 회사에 조선족이 있는데 저희는 돈 내고 보는 드라마를 자막까지 입혀져서 공짜로 본다고...
정공법
18/01/28 21:24
수정 아이콘
만화도 일본인들이 일본에 나오기전에 중국에서 일본어로 번역된걸 먼저본다고....
유애나
18/01/28 21:47
수정 아이콘
우리도 10년전까지만해도 그랬죠.
다람쥐룰루
18/01/28 23:27
수정 아이콘
그리운 소리바다...
고타마 싯다르타
18/01/28 20: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은 한국의 인구수는 2배인데 음악시장은 10배차이가 나네요. 이래서 일본진출에 아이돌그룹들이 본진버려가면서도 가는거군요. 단순히 경제력차이인지 궁금하네요
중국은 음악시장도 작은데 sm은 왜 중국맴버 꼬박꼬박 넣는지 모르겠네요. 저기 안잡히는 수익이 많거나 중화 동남아권을 노리는건지
음악시장말고 중국의 다른시장을 노려서 그런건지....
18/01/28 20:44
수정 아이콘
아마 화교인들 지분이 큰 동남아권과 대만시장을 노리고 그런거 같은데요
그래도 저번에 엑소 중국멤버가 난리친 사례때문에 이제 sm에서 중국멤버 당분간 쓰지 않을것같다는(여자멤버는 빅토리아 사고 안친거보면 계속써도 남자멤버는 중국멤버 잘 안쓸듯합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18/01/28 20:47
수정 아이콘
한국은 어찌됐든 겉으로는 올팬문화를 장려하는데 중국맴버만 따로 공작소인지 뭔지하는거 차려서 독자적으로 중국활동하니 그룹내 위화감은 어쩔것이냐 팬들반응은....
집에서나오지맙시다
18/01/28 22:2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일본에서 하듯이 콘서트, 클럽 다니고 음반 모으는 사람, 말그래도 음악 감상이 취미인 사람은 별로 없어서 그런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다람쥐룰루
18/01/28 23:29
수정 아이콘
공연 티켓값이 상당하다는데 우리나라 콘서트 티켓도 비싸다고 생각하는데 얼마나 많이받는지 상상이 안되네요
라울리스타
18/01/28 20:37
수정 아이콘
중국 음반 시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다른 문화콘텐츠 처럼 성장하는 건 시간문제이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저 지표를 보면서 제가 드는 생각은, 최근 한국 아이돌과 일본 아이돌의 퀄리티 차이에 대한 이유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국시장이 워낙에 협소해서 애시당초 해외 진출을 염두하여 아이돌을 제작해야 하는 한국 아이돌은 혹독한 트레이닝에 데뷔 이후에도 소속사 관리를 하고 그리고 해외 트렌드 음악을 곧잘 쫓아가는 반면, 일본 아이돌은 자국민들 입맛에 맞는 아이돌만 내어도...충분히 돈이 되니 굳이 한국 아이돌처럼 해외 진출을 겨냥한 고퀄에 목숨을 걸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일본 대중들은 아이돌은 가수라기 보다는 살짝 모자라는 엔터테이너로 더 선호한다고 하니 말이죠.
트리키
18/01/28 23:44
수정 아이콘
그런 논리라면 중국 아이돌 역시 자국민들 입맛에 맞는 아이돌만 내어도 되니 고퀄에 목숨걸 필요가 없고 자연히 성장하기 어렵겠죠.

단순히 아이돌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 문화컨텐츠 시장 자체가 그런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홍승식
18/01/28 20:45
수정 아이콘
숫자가 좀 의문입니다.
몇년도 자료인지 모르겠는데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표한 2016년 한국 음악산업 매출액은 53,420억원이었거든요.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9/1832773.do
환율을 1,100원으로 해도 4,856M 달러입니다.
18/01/28 20:47
수정 아이콘
보니까 2016년 3분기때 측정한 자료같은데요 본문은?
홍승식
18/01/28 20:48
수정 아이콘
2016년 3분기 매출액은 13,618억원으로 1,100원 환율로 1,238M 달러입니다.
도연초
18/01/28 2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시하신 자료는 수출액을 포함한 금액 아닌가요? 본문의 수치는 내수시장의 크기를 얘기하고있는 것 같습니다.

좀 찾아보니 PGR에서도 비슷한 주제로 장문의 글이 올라온 예가 있었네요.
https://pgr21.com/?b=8&n=71591

읽어보니 GDP같은 경제지표와는 달리, 어디까지를 음악시장으로 정의하느냐에 관한 일관된 기준이 없어서,
국가간 비교는 좀 어려운 측면이 있겠네요.
몰라몰라
18/01/28 21:47
수정 아이콘
내수시장으로 봐도 이상하죠. 최소한 본문 도표의 기준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한 이견이 계속 나올 것 같네요.
매출 중 90%가까이가 음원매출인 로엔의 2016년 매출만 55백억정도 되는데, 도표에서 한국의 음악시장규모가 2억6천만달러로 나와 있으니까요. 일관된 기준이 없다고 하더라도 음원시장을 온전히 음악시장규모 추산에 포함시키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게다가 최근 자료는 찾아보지 못했지만 2013년 정도 로엔의 수출액은 수십억정도로 수출액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할 여지도 없구요.
마지막으로 멜론의 국내 음원시장 점유율은 50%에서 왔다갔다 하는 정도라서 알려진 음원시장규모만으로도 도표의 기준이 뭔지 아리송해집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8/01/29 06:18
수정 아이콘
일단 2014년 자료 같습니다..
도연초
18/01/28 20:46
수정 아이콘
일본은 저것도 사실 전성기의 반토막 이하죠. 피크였던 1998년에는 6100억엔 정도의 시장규모였으니...
베테랑 가수들이 음악시장 불황이다 운운하는게 엄살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상황을 보면 뭐 그런 소리 나올만도 하다고 봅니다.
18/01/28 20:53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우리나라에 진짜 음악듣는거 좋아하는사람 별로 없어요.. 그냥 멜론 스트리밍 결재해놓고 출퇴근길이나 심심할때 듣는정도가90%이상이죠.. 일본은 음악 찾아다니면서 듣고 진짜 리스닝이 취미인 인구가 엄청납니다
저격수
18/01/28 21:18
수정 아이콘
한국노래 듣는 제일 큰 이유는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서입니다. 가사가 있는 음악에 큰 매력을 못 느끼고 있어요.
사나없이사나마나
18/01/28 21:02
수정 아이콘
이상하네요. 바이두에서 검색해보면 2016년 공연 총 경제규모가 근 470억위안, 미화로 약 74억달러 인데요. 중국은 음반도 잘 안 팔리고, 음원도 거의 공짜로 들을 수 있는 곳이라 그쪽 시장은 확실히 작겠지만, 콘서트쪽은 한국과 비교대상이 아니죠. 표값도 훨씬 한국보다 비싸고, 규모야 뭐 두말할 나위 없고요.
괜히 한한령 전까지 중국시장으로 진출하려던 것이 아니죠. 저기 음악시장의 기준이 뭔지 모르겠네요.
Skatterbrain
18/01/28 21:29
수정 아이콘
영국시장이 생각보다 엄청 작네요. 음악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미국과 함께 투톱인데.
18/01/28 23:12
수정 아이콘
인구가 적어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 크죠.. 저 차트는 내수시장의 규모(?) 같은 느낌이네요
태고의 태양
18/01/29 00:40
수정 아이콘
괜히 영미권 팝가수들이 먼저 발매하거나, 노래 몇곡 추가해서 일본판 앨범을 따로 내는게 아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478 [일반] 2018년 10월 IMF의 세계 GDP발표가 나왔네요 [188] 앙겔루스 노부스17101 18/10/09 17101 4
78110 [일반] 브라질 국립박물관에 화재가 나 문화재 2천만점 소실 우려 [42] 홍승식11414 18/09/03 11414 0
77452 [일반] 꼴지팀 인터뷰 [81] Lord Be Goja12311 18/06/30 12311 34
77357 [일반] 실험적으로 입증될 수 없어도, 그래도 여전히 과학인가? [27] cheme12501 18/06/21 12501 40
77333 [일반] 세계에서 농경지가 가장 넓은 나라는 어디일까? [50] 홍승식23576 18/06/19 23576 5
77222 [일반] 제2차 세계대전의 소름돋는 스케일.txt [45] aurelius17304 18/06/07 17304 2
76544 [일반] 영웅의 몰락, 브라질 전 대통령 룰라 구속 [112] 삭제됨18001 18/04/08 18001 2
76205 [일반] [뉴스 모음] 평창에서 숙식한 김정숙 여사 이야기 외 [18] The xian13048 18/03/19 13048 58
76044 [일반] 남자 브라질리언 왁싱 간단한 후기.. [51] 걱정말아요그대16111 18/03/07 16111 1
75626 [일반] [약스포] 내가 본 코코, 내가 본 중남미 [15] 새님7929 18/01/29 7929 22
75617 [일반] 전세계 음악시장 규모 순위.jpg(+느낀점) [35] bigname26006 18/01/28 26006 1
75315 [일반] 여성 관광객에게 가장 위험한 여행지 1위~10위 [74] bigname16002 18/01/07 16002 1
75237 [일반] 세계 X대 요리의 정체는 무엇일까? [40] 다크템플러11810 17/12/31 11810 5
75087 [일반] 스물아홉 살에 세계일주 다녀온 이야기(하) - 스압/데이터 [60] 살려야한다10855 17/12/21 10855 39
74793 [일반] [데이터 주의]나홀로 도쿄 여행 4박 5일 - 2일차 [9] 及時雨10881 17/11/30 10881 3
74779 [일반] "美·中·佛 등 국가 논란은 내셔널리즘과 글로벌리즘 간 투쟁" [8] 테이스터7315 17/11/29 7315 2
74724 [일반] 스크린쿼터 조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41] 순수한사랑10261 17/11/24 10261 1
74234 [일반] [단상] 슈테판 츠바이크, "어제의 세계"를 읽고 [3] aurelius5328 17/10/17 5328 1
74215 [일반] 군대에서 쎄멘바리 걸린 동기 이야기 [35] 유유히14649 17/10/15 14649 27
74073 [일반] 세계에서 성형수술/시술을 가장 많이한 나라 [43] 홍승식13127 17/10/03 13127 3
73900 [일반] 생각해보니 무섭게 단기간에 국력 성장한 국가. 정말 난 민족들 인지 [52] Agni12245 17/09/23 12245 0
73877 [일반] 사람들이 답답한게 북한의 군사력을 너무 우려하고, 공포심을 가지는 거죠. 실상은 우리나라의 상대가 못 될 뿐더러 [162] Agni11930 17/09/22 11930 2
73875 [일반] 제모&왁싱이야기 下 - 브라질리언 왁싱에 관하여 [13] 삭제됨7560 17/09/22 756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