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2/29 21:40:54
Name Farce
Subject [일반] 전쟁과 유럽의 착시현상 (수정됨)
즐거운 연말연시가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재미있으면서도 너무나도 비주류인 역사 이야기를 꺼내오는 파스라고 합니다. 오늘도 잘 부탁드립니다.
이번에는 아주 미묘한 주제 하나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합니다. 저번 글도 그랬지만 이번 글도 확실한 결론은 없습니다.

Norman_Angell_01

이 사람이 바로 노먼 에인절

모든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아 커먼즈

1909년 노먼 에인절(Norman Angell)이라는 영국인이 어떤 책을 하나 썼습니다. 제목은 “Europe’s Optical Illusion” 즉 유럽의 시각적 착시였습니다. 에인절이 보기에 유럽인들은 하나의 거대한 착시현상 속에 갇혀있었습니다. 그의 이야기를 한번 따라가 봅시다. 서구의 19세기는 그야말로 황금기였습니다. 매일 아침에 자고 일어나는 유럽인 주변에는 새로운 종류의 발명과 풍요가 넘쳤습니다. 각국의 외교관, 발명가, 사업가들은 유럽 본토뿐만이 아니라 중동, 미대륙, 아프리카, 아시아 전부를 종횡무진하면서 모든 것을 분배하고 가공하여 풍요를 창출하고 있었습니다. 아샨티, 잔지바르, 콩고, 줄루의 카리스마 넘치는 부족장들도, 인도의 라자들과 이란의 샤와 청의 천자마저도 이들이 이루는 것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져야만 했습니다. 유럽이 지구 전체를 호령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지만 전능한 유럽인들에게도 한 가지 사소한 문제점이 남았습니다. 수단을 점령하고 있었던 영국 총독 허버트 키치너의 군대를 메시아를 자칭하던 마흐디(Mahdi)의 군대로부터 보호해주었던 것은 미국인 발명가 하이럼 맥심의 기관총이었습니다. 1898년 옴두르만(Omdurman)에서 일어났던 두 세력 간의 전투는 유럽인들의 학살로 끝났으니까요. 그렇다면 무엇이 유럽인들의 이 전지전능한 힘으로부터 유럽인들을 보호해줄까요? 에인절이 보기에 유럽은 이 부분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큰 문제였지요.

유럽 대륙은 현대 이전의 대륙들이 다 그렇듯이 전쟁들 사이의 짧은 비정상적인 기간이 평화라고 불리던 대륙 중 하나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상당히 특이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두 강대국 사이의 전쟁이었던 보불전쟁이 1년 만에 끝난 것입니다. 이것은 매우 세련된 일이었습니다. 두 강대국 사이의 전쟁이 두 나라 사이를 갈라놓았음에도 한동안 연속된 전투로 이어지지 않고 1년 만에 끝나다니요! 보불전쟁은 ‘전쟁기술’이라는 단어를 단순히 무기와 전술로 한정해도 근대 전쟁과 현대 전쟁사이의 과도기에 있었던 전쟁이었지만, 동시에 정치적인 의미의 ‘전쟁기술’로도 현대 전쟁으로 향하는 길목에 있었던 전쟁이었습니다. 비스마르크는 매우 제한적이고도 확고한 정치적인 목표를 가지고 독일을 통일시켰습니다. 30년 전쟁은 독일을 수십 년간 불태웠지만, 독일이 통일될 때는 프랑스가 수십 년 불타는 일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역사의 진전이었습니다. 평화의 길이가 전쟁의 길이를 압도하는 분기점이 첫 걸음을 내딛은 것이었습니다.

Chamberlain_Munich

체임벌린은 언제까지 의문의 패배를 당해야할까요?

     

노먼 에인절은 이것을 보고 유럽 대륙에서 이제 전쟁은 일어나기 힘든 일이 되었다고 평했습니다. 물론 유럽 국가들은 아직도 옆 국가가 이상한 마음을 먹고 쳐들어올 수 있으니 더 많은 사단, 더 많은 야포와 기관총, 더 많은 군수품 창고와 사관학교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이걸 보고 유럽에서 전쟁이 자신의 왕좌에서 버티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시각적 착시에 불과했습니다. 에인절은 산업화로 인한 세계시장이 전쟁을 막아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전제군주들의 중상주의는 이미 자본주의자들의 세계적인 자유주의적 경제로 바뀐 지 오래됐습니다. 군주들은 자신의 내탕금으로 무기고를 세워 자신의 나라에서 철광과 노동자들을 수급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입헌군주와 의회로 이루어진 정치집단들은 사업가들의 입찰을 통해서 무기고를 세웠고 모든 종류의 자본은 세계시장의 보이지 않은 손으로 조달했습니다. 그러니 전쟁을 평화 시기에 준비하는 법은 전쟁 시기에 있어 전쟁을 준비하는 법과 크게 달라졌고 전쟁은 영 못마땅한 장사가 되어버렸습니다.
에인절이 이런 논리를 꺼낸 것에는 전쟁에 길들여져 있던 당시 세계의 분위기를 겨냥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식민지를 뜯어내는 재미가 참 쏠쏠했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다툼이 이미 베를린 회의에서 전체적으로 큰 그림이 외교적으로 합의된 다음에 일어난 일이라는 걸 망각하는 국민과 정치인들이 너무나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에인절은 유럽 본 대륙에서 전쟁이 일어난다는 것은 너무나도 끔찍한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프랑스가 불탄다면 독일 무역업자, 금융업자, 군납업자들을 누가 먹여살려준답니까?
다행이도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들이 인간의 좁은 시야를 구제할 것이었습니다. 정치인들과 국민들은 욕심이 많고 감정적이겠지만 집단지성인 시장은 그들의 경제를 망가트리고 지지율을 떨어트려 전쟁을 최대한 매력적이지 못한 정치 선택지로 만들어줄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우리 시대의 진정한 평화가 올 것이었죠.

great-war
전쟁 안 난다면서요!

이미 책이 출판된 년도를 보고 에인절이 참 큰 실수를 저질렀구나 싶으셨을 것입니다. 책이 출판된 지 딱 5년 후인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습니다.

그 전쟁은 분명 크리스마스 전에 끝났어야했던 전쟁이었죠. 모두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독일 청년들은 분명 보불전쟁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일 년 만에 평화조약은 서명될 것이고 다시 좋아하는 프랑스산 제품들로 가득한 집으로 모두 돌아와 화톳불 옆에서 아들딸들에게 전쟁터의 추억을 읊어줄 것이었습니다. 프랑스의 경제 관료는 전쟁이 일어났다는 소식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이럴 줄 알고 최소한의 안전보장을 위해서 프랑스산 철강을 비축해두자고 주장해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계시장에 더 많은 프랑스산 기관총, 기차, 선박을 팔기 위해서는 독일산 철을 수입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뭐 그래봤자 이번 전쟁이 얼마나 오래가겠습니까? 이탈리아 정부는 전쟁에서 승리할지라도 자신에게 줄 땅조차 없는 답답한 게르만족 친구들을 떠나서 영국과 프랑스의 편에 서기로 했습니다. 이존초(Isonzo) 강을 따라서 공세를 시작해 오스트리아가 파렴치하게 뺏어난 베네치아를 돌려받을 생각이었습니다. 운이 좋다면 오스트리아의 방어선을 붕괴시키고 트리에스테와 달마치아까지 거대한 영토를 얻어낼 수도 있겠지요. 이탈리아 왕국의 땅인 적은 없었지만 이탈리아인들이 살고 있으니까 정말 좋은 생각이었지요. 작전을 검토해봤는데 아무래도 몇 달이면 충분했습니다.

1914년 9월 10일 마른 강에서의 첫 번째 전투가 끝났습니다. 독일군은 파리에 도착하기 직전 아주 예상치 못한 불쾌한 패배를 경험했습니다. 1915년 7월 7일에 이존초에서의 첫 번째 전투도 끝이 났습니다. 왕국의 건국 이래 가장 준비되고 열성적이었던 이탈리아군은 오합지졸인줄 알았던 오스트리아군의 방어선을 조금도 헤쳐 나갈 수 없었습니다. 전선의 병사들이 이미 막연하게 느꼈겠지만, 이미 군부와 정치권은 명확한 보고를 받은 상태였고 이내 스스로도 깨달았습니다. 이제 더 이상의 전쟁은 길고 의미 없는 것이 될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 누구도 이미 시작된 전쟁을 끝낼 수 없었습니다. 마른에서의 두 번째 전투는 1918년 7월. 앞으로 카포레토 전투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해질 이존초 강의 12번째 전투는 1918년 10월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도대체 운 좋게 다리만 하나가 날아갔다거나, 아니면 더 치명적인 신체부위가 날아가 땅 속에 묻히지도 못한 병사들에게, 그리고 그 부모님들에게 뭐라고 할 수 있었겠습니까? 이 전쟁은 역사적인 맥락에서 볼 때 매우 발달된 형태의 현대전이라 조약과 함께 깨끗하게 휴전될 것이고 앞으로 당분간은 평화의 시기가 계속될 것이며 당신들이 얼마나 적국을 혐오하던지 간에 원하는 무역을 재개할 수 있을 거라고 말하면 위로가 되겠습니까? 사실 에인절은 그렇게 말하고 싶었습니다. 그가 비교하고 있었던 것은 돈이 모자라면 적국의 곳간을 불태우고 예산안에 약탈품을 반영하던 근대의 군주들이었으니까요. 그래도 그가 원하던 우리 시대의 평화가 오는 것에는 더 많은 시간과 피가 필요했습니다. 그가 얼마나 이미 만족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에 대한 우리의 평가가 복합적이 되는 이유는 거대한 두 개의 전쟁이 필요조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에인절은 틀렸을까요? 옳았을까요? 어려운 문제입니다. 에인절은 단순히 수학공식 하나를 증명한 게 아니었으니까요. 여러분도 한번 저와 같이 함께 생각해주실래요?

하지만 다행이도 에인절은 그보다 위대한 수많은 선각자들도 누리지 못한 권리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한참 뒤 1967년에 죽을 운명이었던 에인절은 남은 일생을 자신의 저서를 옹호하는 데 바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남아있는 글이 다행이도 꽤나 많습니다. 일단 그에 대한 주된 옹호중 하나는 에인절의 책은 조금 이르게 나온 감이 있다는 것입니다. 21세기 현재에도 많은 경제학자들이 전쟁을 이해하려고 하다가 클라우제비츠의 해묵은 전쟁론의 전쟁의 3대 본질 중 하나인 비이성적인 불확실성의 공격을 받고 물러나고 있습니다. 이성적으로는 어떤 정치주체도 전쟁이라는 남지 못하는 장사를 하지 않습니다. 돈 때문에 전쟁을 하는 것도 하나의 분명한 동기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전쟁이 돈이 되는가’ 라는 질문은 자본주의 집단이 정치권력을 잡기 전부터 존재했던 참 유례 깊고 불완전한 질문입니다. 분명 문화나 국가주의 같은 요소도 정치무대에서 자신만의 배역이 있으니까요. 애석하게도 인간의 이성적인 면모와 반대되는 비이성을 주목하려면 두 번의 세계대전이 일어났어야 했으니 에인절의 책에는 이 부분이 빠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가 큰 그림에서는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RIAN_archive_25981_Academician_Sakharov
문제는 경제가 아니라 핵인지도 모른다.

또 다른 옹호 논리는 바로 에인절은 전쟁이 매력적이지 못한 일이 되어 적게 일어난다고 했지, 안 일어난다고는 안했다는 겁니다. 에인절은 말한 전쟁의 파괴력은 세계경제를 흐름을 교란시키는 것이지 무슨 물리적으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화와 증권소를 물리적으로 파괴할 것이라는 뜻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야 부술 수도 있습니다만, 그걸 확실하게 하려면 에인절의 시대가 아니라 그의 사망 이후에 핵무기를 이용한 상호확증파괴를 보고 와야 한다는 겁니다. 막연한 세계경제구조의 교란은 이해하기 힘든 현상입니다. 자본주의가 승리한 냉전이후 체제에서도 현대경제를 이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니 핵무기 이후로는 에인절이 예측한대로 유럽본토에서의 전쟁 중지, 유럽외부에서도 제한전만을 하는 세계에 대한 감사는 에인절보다는 독일에게 핵을 만들어주지 않은 하이젠베르크, 미국에 핵을 안겨준 텔러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에드워드 텔러의 가장 큰 업적은 또 하나의 하이젠베르크가 될 뻔 한 오펜하이머를 퇴출시킨 것이었습니다.), 소련에게 상호확증파괴를 가능하게 해준 사하로프. 이렇게 세 명에게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에인절이 역사의 흐름을 보고 추측하는 역사가였지 미래를 본 예언자는 아니었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역사가의 탈을 쓰고 도망갈 거라면 에인절보다 이 방면에서 유명한 스티븐 핑크(Steven Pinker)만큼 도망갈 수 있겠네요. 인간의 인성은 일상에서의 무력사용 감소와 상호교류의 증가로 더 나아지도 있고, 아무리 대중매체와 문화산업이 ‘착시현상’을 일으키려고 해도 개인적인 살인과 집단적인 살인 즉 정치화된 전쟁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물론 피해가 줄어든다는 거지 전쟁이라는 정치적 행위 자체에 대한 논의는 심리학자이자 역사적 추세만 분석해본 핑커가 직접 해줄 일은 아니라고 했던 그 핑커말이죠. 어쩌면 전쟁의 추세를 논하는 것이 그의 일이고 전쟁 자체에 대한 논의는 에인절이 할 일이 아닌지도 모르겠습니다.

한편 잠시 아시아 학자 마이클 어슬린(Michael Auslin)의 말을 들어볼까요? “아시아 세기의 종언”이라는 책에서 그는 아시아에 거대한 정치적 위기의 시대가 왔다고 합니다. 왜냐면 1차 대전 직전과 너무나도 유사하게도 경제적으로 엄청 복잡하고 이해 못할 정도로 연결되어있지만 동시에 정치적인 합의체가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에인절이 넘어간 부분이 바로 아시아에서 재현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사라예보에서 암살자가 빵하고 총을 쐈을 때, 러시아 군대의 무기에 얼마나 많은 독일의 직간접적으로 경제적인 협력이 필요한지는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내리고 선전포고를 하는 것에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21세기 오늘, 러시아와 독일 사이가 평화롭다는 것은 유발 하라리의 표현을 빌리자면 ‘전쟁을 향한, 문화적, 외교적, 전쟁적, 경제적인 준비 중 그 어떤 준비도 아직 고려된 적이 없다’라는 뜻이지만, 그 당시 20세기에 평화롭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언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당장 어젯밤 사이에 선전포고는 고려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불과했거든요. 그런데 어슬린의 논리에 따르자면 지금 동아시아는 후자의 상태랍니다. 이렇게 보자면 에인절의 경제학적인 분석은 단순한 ‘착시현상’에 불과해집니다.

결론은 무엇일까요. 죄송합니다만 제가 내릴 수 있는 영역은 아닌 것 같네요. 좀 더 공부하고, 더 재미있는 이야기로 강해져서 돌아오겠습니다. 그 전까지는 제가 가지고 오는 것을 흥미 있게 받아주시고 같이 고민해 주실래요? 지금까지 파스였습니다. 지금까지 노먼 에인절의 착시현상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들이었습니다.

*참고도서: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 주경철의 "그해, 역사가 바뀌다", 마이클 어슬린 "아시아 세기의 종언"
(인터넷에 “Europe’s Optical Illusion”의 공개된 판본은 많습니다. 다만 분량이 분량이니 만큼, 선택적으로 읽고 글 작성을 마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낭만없는 마법사
17/12/29 22:4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17/12/30 13:11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좋은 글로 찾아올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17/12/30 11:39
수정 아이콘
읽으면서 이런 좋은 글에 왜 댓글이 없을까 궁금했는데 다들 조용히 추천민 누르고 가셨군요.
17/12/30 13:12
수정 아이콘
이번 글은 댓글이 너무나도 없는 것을 보니 글이 길어서 재미가 없나봅니다! 다시 더 강해져서 돌아오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583 [일반] 최저시급인상을 통해 만난 '재미난 표현' [54] kimera12756 18/01/25 12756 52
75577 댓글잠금 [일반] 자유당은 정말 정치하기 쉽네요 [388] 김익호19959 18/01/25 19959 75
75566 [일반] 어떤 정부가 '프로페셔널'한 정부인가? [169] Finding Joe12040 18/01/24 12040 7
75565 [일반] [단상] 이른바 문꿀오소리라 불리는 지지자들을 보며 [434] aurelius17790 18/01/24 17790 46
75563 [일반] 문재인 대통령 2,30대 지지율이 급하락 했습니다 [434] 밀개서다24958 18/01/24 24958 15
75534 [일반] [뉴스 모음] 문고리 3인방의 법정 상봉 외 [16] The xian10241 18/01/22 10241 39
75517 [일반] 왜 2030세대는 단일팀에 분노하는가 [362] 자전거도둑19304 18/01/21 19304 42
75466 [일반] [여론조사]1/17 데일리안-알앤써치, 문재인 정부 국정지지율 및 아이스하키 단일팀 여론조사 결과 [200] 光海14777 18/01/17 14777 1
75460 [일반] [뉴스 모음]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집사' 구속 외 [35] The xian13967 18/01/17 13967 40
75427 [일반] [뉴스 모음] 다스 관련 검찰 내부의 집안싸움 외 [14] The xian11710 18/01/14 11710 29
75337 [일반] [뉴스 모음] 가짜뉴스 메이커 조선일보 외 [19] The xian13886 18/01/09 13886 34
75274 [일반] 신년 첫째 문재인 대통령 리얼미터 정례조사 & 알앤서치 [73] Darwin11644 18/01/04 11644 35
75252 [일반] KBS 여론조사 76%가 나왔네요. [98] CE50017277 18/01/02 17277 16
75232 [일반] [뉴스 모음] 아직은 갈 길이 먼 MBC 외 [49] The xian15028 17/12/31 15028 61
75216 [일반] 전쟁과 유럽의 착시현상 [4] Farce8564 17/12/29 8564 31
75171 [일반] [뉴스 모음] 여러 기종을 써 보고 싶었다 외 [15] The xian10771 17/12/28 10771 41
75145 [일반] 오늘자 리얼미터 여론조사(여러 악재 속에서 과연?) [72] Darwin13014 17/12/26 13014 34
75124 [일반]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하락시키는 방법은 적전분열, 즉 지지층을 균열 내서 지지층끼리 다투게 만들어야 한다" [206] 동굴곰19186 17/12/24 19186 16
75118 [일반] 인내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16] reionel8059 17/12/23 8059 22
75076 [일반] 리얼미터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68.7% 0.1% 상승 [86] Darwin13298 17/12/21 13298 33
75051 [일반] 여러분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126] 길갈18826 17/12/19 18826 72
75034 [일반] 리얼미터 문재인대통령 지지율 68.6% [236] Darwin27060 17/12/18 27060 34
74964 [일반] 미국 민주당의 약진, 내년 중간선거에서 뒤집혀질수도... [17] 아유7018 17/12/13 70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